인간이 그리는 무늬 - 욕망하는 인문적 통찰의 힘
최진석 지음 / 소나무 / 2013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요즘 대한민국의 화두는 창의력, 상상력 이라 한다.

여기에는 애플의 스티브 잡스도 한 몫을 했다고 생각한다.

여기 저기 불고 있는 '인문학 열풍'! 작가는 한국 사회에서 일어난 가장 의미 있는 현상 가운데 하나라고 한다. 맞는 말이다. 편협한 독서를 해 왔던 나의 책꽂이에도 인문에 관한 책들이 조금씩 늘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인문학이라 하면 철학, 역사, 문학 이 세가지를 포함한다고 알고 있다.

요 근래 이 책 저 책 얇팍하게 훑어 본 결과 '문사철'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목표는 우리가 스스로를 자각하고 좀 더 자신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인간의 노력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무늬를 그리는 철학자 최진석 님도 같은 이야기를 다양한 예를 통해 해주고 있다.

 그 중 가장 기억에 남고 가슴에 와 닿았던 것은 우리나라가 왜 그동안 열강의 틈새 속에서 휘둘리기만 하고 한번도 자기 목소리를 내지 못했던가에 대한 해석이다.

조선시대에는 중국의 성리학이 해방이후엔 미국의 이데올로기가 지배하는 가운데 그에 저항하는 사회 변혁 운동도 대부분은 외부에서 온 것들이었다.  우리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리가 스스로 사상으로 무장하지 못하고 외부에서 들여온 이념으로 저항을 했으니 여러가지 문제가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고개를 끄덕이며 인정하지 않을 수 없었다.

 

동양학 그 중에서도 노자와 장자를 공부한 저자는 우리에게 자신이 내뿜는 욕망의 소리에 귀 기울이라고 끊임없이 강조한다.

'나'라는 개별적 존재의 욕구에 귀 기울이기 보다는 '우리'라는 집단 속에서 공통점을 찾아 닮아가려는 건 아닌지...그런 목표에 다다르려 하다 스스로 열등감이나 자괴감에 빠져 허우적 대는 건 아닌지 살펴보라 충고한다.

세상이 좋다고 하는 것을 하는게 아니라 진정으로 내가 좋아하는 내가 원하는 일을 할 때 인간의 무늬를 그릴 수 있다는 것이다.

 

체계,이념,가치관,신념 들에 지배당하는 사람은 절대 인문적 통찰을 할 수 없다.

늘 깨어있는 사람, 예민함을 유지하는 사람, 욕망이 꿈틀대는 사람, 대답보다는 질문하는 주체로 일어서는 자만이 자기가 자기로 존재하는 터전을 만들 수 있다.

 

저자는 인문적 통찰을 위해 자기를 만나는 방법 3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글쓰기를 통해 자기 자신을 표현하려고 노력하라.

최소한 다른 사람의 글을 베끼는 연습이라도 해서 자기 자신을 만나는 일에 게을러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늘 글을 써야지...하면서 생각하는 그 시간이 고통스러워서 미뤄왔는데 앞으로는 이렇게 쓰는 작업을 통해 나를 조금이나마 드러내고 싶다.

 

둘째, 운동을 통해 한계 속의 자신을 만나라.

나는 매일 운동을 한다. 그냥 하는 것이 아니라 집중해서 계획적으로 하는 편이다.

내 몸을 움직여 땀을 흘리는 그 시간이야 말로 나를 확실하게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나는 운동하는 내 모습이 가장 아름답다. 땀에 흠뻑 젖은 옷과 땀냄새...진정 나인 것이다.

 

셋째, 소리 내어 읽는 낭송을 하라.

이 또한 내 입으로 소리 내어 읽고 귀로 들음으로써 몸으로 느끼라는 것이다.

 

윤기나는 삶...

누구나 살고 싶어하지만 어떻게 해야 하는지 모르기도 하고 알면서도 실천하며 살기가 쉽지가 않다.

어렵게 생각하기 보다는 남들의 이목에서 벗어나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며 자신만이 살 수 있는 삶을 살려고 노력할 때 그 과정에서 윤기가 나지 않을까 싶다.

 

살아라, 오늘이 마지막 날인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