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 아워스 비채 모던 앤 클래식 문학 Modern & Classic
마이클 커닝햄 지음, 정명진 옮김 / 비채 / 2018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999년 퓰리처상과 펜 포크너 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2002년에는 스티븐 달드리 감독, 니콜 키드만, 줄리안 무어, 메릴 스트립 주연의 <The Hours>로 영화화되었다.

영화는 못 봤으나 유투브에 몇 장면이 올라와 있어 봤는데 유명한 세 여배우의 훌륭한 연기는 물론 책에서는 나오지 않는 인물의 심리를 영상으로 잘 담아낸 듯 보였다.

 

각기 다른 시대와 장소에 살고 있는 세 여자의 하루 동안의 삶을 그리고 있는 작품이다.

이야기는 먼저 프롤로그에서 1941년 3월 28일 버지니아 울프가 주머니에 돌을 잔뜩 넣고 강에서 자살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1923년 런던 교외에 살고 있는 버지니아 울프가 <댈러웨이 부인>을 쓰고 있고, 1949년 로스앤젤레스에서 사는 로라 브라운이 <댈러웨이 부인>을 읽고 있으며, 1990년대 말 뉴욕에서 살고 있는 클라리사는 댈러웨이 부인이라고 불리는데, 소설 속 댈러웨이 부인의 이름은 또 클라리사이다.

소설은 이 세 여인의 하루의 이야기를 번갈아 가며 보여주는데, 이 세 인물을 연결해 주는 것은 바로 버지니아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이란 책이다.

 

버지니아 울프의 작품은 한 권도 읽어 보지 않았으나 <댈러웨이 부인>은 의식의 흐름 기법으로 전개되는 작품으로 유명하다. 댈러웨이 부인이 꽃을 사러 나가면서 시작되는 하루는 파티가 끝나면서 마무리되고 소설은 이 하루동안 댈러웨이 부인의 머리 속에서 일어나는 여러가지 생각의 흐름을 보여준다.

울프의 <댈러웨이 부인>을 모티브로 하고 있는 이 작품 역시 이런 의식의 흐름 기법을 사용하여 세 여인의 평범하면서도 긴박한 하루를 세밀하게 보여준다.

 

늘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존재하는 여자들의 시간들, 그 속에서 도사리고 있는 우울과 불안, 그럼에도 불쑥 찾아오는 삶의 희열과 의지, 그러다 또 다시 얼굴을 내미는 무기력.

이런 반복되는 시간들을 견뎌내며 자신이 선택한 길을 가는 세 여자를 통해 시대는 다르지만 흐르는 시간 속에서 살아간다는 것은 여전히 같은 어려움과 아이러니를 품고 있음을 알게된다.

이런 삶의 위태로움은 마지막 클리리사와 에이즈로 고통받고 있는 작가 리처드의 대화에서 잘 드러난다.

 

 

"내가 이 일을 견딜 수 있을지 모르겠어. 당신도 알잖아. 파티와 시상식, 그리고 그게 끝나면 이런저런 시간, 그게 끝나면 또 이런저런 시간."

"파티에 안 가도 돼. 시상식에도. 당신은 아무것도 안해도 된다고."

"그래도 그 시간들 the hours 은 남아 있어, 그렇지 않아? 하나의 시간, 그러고 나면 또 그런 시간. 그 시간들을 당신이 다 견뎌낸다고 해도 또 그런 시간이 있어. 세상에, 또 그런 시간이라니. 지긋지긋해."

 p.292,293

 

 

단 하루 동안의 이야기이지만 머리 속에서 펼쳐지는 사고의 폭은 그 끝이 안 보일정도로 얼마나 풍성한지 의식의 흐름으로 전개되는 이야기 속에서 인물들의 심리에 집중하며 읽느라 술술 읽히지는 않았다. 그래서 지난 달에 읽고 한 번 더 읽으려다가 못 읽고 이제야 간단한 소감을 남긴다.

이 책은 뚜렷하진 않지만 매우 섬세하게 짜여진 작품이라, 두 번째 읽을 때 그 재미가 더 클 것이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