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리브 키터리지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 지음, 권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올해 3월 나의 생일을 자축하며 나에게 선물한 책이다.

필기체로 멋스럽게 적혀있는 제목과 골드카키빛 표지에 그려져 있는 여러모양의 나뭇잎들, 평화로운 작은 마을을 검은 실루엣으로 표현한 띠지를 두른 이 책은 정말 탁월한 선택이었다.

책을 읽고 나서 위로를 받은 경험이 있었던가? 기억이 나질 않지만 이젠 <올리브 키터리지>라고 분명히 말할 수 있다.

 

이 책은 메인 주 바닷가 마을 크로스비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13편의 이야기를 연작 형식으로 담고 있다.

주인공 올리브 키터리지는 학교에서 수학을 가르치고 정년퇴임한 74세의 여인이다. 남편 헨리의 말에 따르면 단 한 번도 사과를 한 적이 없는 사람, 아들 크리스토퍼는 올리브에게 편집증적이며 너무 화를 많이 내고, 주변 사람들을 지치게 한다고 한다. 성질이 불같은 엄마를 더이상 참기 힘들다며 "이젠 엄마에 대한 두려움에 지배당하지 않을 거에요."(<불안>) 라며 흥분한 올리브 앞에서 너무나도 침착하게 말을 한다.

 

이말은 틀린 말이 아니다. 그녀는 친절함과는 거리가 멀고 무뚝뚝하며 늘 자신은 옳고 타인은 문제가 있다는 식으로 세상을 대한다. 거구의 몸에 발사이즈는 275, 화난 듯한 얼굴에 "젠장","빌어먹을","염병할","우라질" "닥쳐" 같은 거친 말들도 서슴없이 하는 '쎈'여인이다. 그러나 아버지의 자살로 마음 속에 상처를 지니고 있는 여린 여인이기도 하다.

 

13편의 단편은 올리브를 중심으로 하는 주변 이웃 주민들의 이야기이다.

따뜻한 심성을 지닌 올리브의 남편 헨리의 이야기를 시작으로 각각의 단편들은 마을 사람들의 일상을 하나하나 칼로 도려내듯 날카롭게 보여준다.

 

끔찍하게 자살한 엄마에 대한 트라우마가 있는 한 때 올리브의 제자였던 케빈(<밀물>). 엄마의 그늘에서 자신의 삶을 살지 못했던 피아니스트 앤지 오미라(<피아노 연주자>). 거식증이 걸린 소녀를 도와주는 과정에서 사랑과 관심에 굶주린 자신과 마주치는 하먼(<굶주림>). 모든 것을 함께 했다고 믿었던 남편이 죽은 후 알게 된 진실과 그로 인한 씻을 수 없는 수치심을 느끼는 말린(<여행 바구니>) 등 멀리서는 안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가 보면 각자 짊어져야 할 힘겨운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일상을 풍성하게 보여준다.

 

이런 다양한 사람들 사이에서 주인공 올리브도 힘겹긴 마찬가지다. 사랑하는 아들 크리스토퍼와의 갈등, 남편 헨리와의 냉랭한 관계, 잘난 박사 며느리를 보며 느끼는 상대적 박탈감, 헨리가 뇌졸중으로 쓰러지고 혼자가 된 상황 등 겉은 씩씩해 보이지만 속은 여린 그녀도 일상의 슬픔과 외로움을 견뎌내는 것이 버겁다.

 

<튤립>에서 남편 헨리가 갑자기 뇌줄중으로 쓰러지고 올리브는 혼자가 된다. 매일 요양원에 가서 헨리에게 그날 있었던 이야기를 해주는 올리브. 혼자 있고 싶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사람들과 있는건 더 견디기 힘든 현실. 의지할 곳은 아들 뿐인데 전화기를 통해 들려오는 크리스의 목소리는 늘 어딘가 쌀쌀맞고 올리브의 마음을 더욱 아프게 한다.

"크리스토퍼, 내가 어쨌기에 네가 날 이렇게 대한단 말이니."

크리스와 전화를 끊고 목숨을 끊을 수 있다는 생각을 하며 식탁에 무너지듯 앉아 스스로 내뱉는 말이다.

이 상황이 난 너무 슬펐다. 왜냐면 나도 가끔은 이런 날이 오지 않을까 생각하기 때문이다. 늙어서 자식도 떠나고 혼자가 된다는 상상을 하면서 막연히 그 오지도 않은 외로움에 몸서리를 치곤했는데, 이렇게 글로 마주하니 그 상황이 너무 서글프게 다가왔다.

 

내가 가장 재밌게 읽은 이야기는 마지막 <강>이었다.

매일 아침 하는 강변 산책 도중 쓰러져 있던 잭 케니슨을 발견하는 올리브. 그녀가 평소 재수없다고 여기던 잭 케니슨과의 만남이 그녀의 일상에 특별함으로 다가온다. 누군가에게 필요한 존재가 된다는 것이 사람이 살아가는데 얼마나 큰 힘이 되고 위로가 되는지...

 

 p.466 <강>

둘 다 말을 하고 들어줄 말동무가 필요한 듯했고, 그렇게 했다. 그들은 상대방의 이야기를 들었다. 그리고 말했다. 그리고 좀 더 들었다. 

 

 

서로 말하며 듣고 또 말하며 듣는 그 훈훈한 공기가 나에게 훅 들어와 벅찬 감동에 두 눈을 감게 만들었다. 노년의 혼자가 된 두 사람이 서로에게 유일한 무언가가 될 수 있다는 것은 삶의 축복과도 같은 것.

 

이야기가 끝나가는 마지막 장은 다 쓰고 싶을 정도로 아름다웠다.

 

p.483 <강>

젊은 사람들은 모르지, 이 남자의 곁에 누우며, 그의 손을, 팔을 어깨에 느끼며 올리브는 생각했다. 오, 젊은 사람들은 정말로 모른다. 그들은 이 커다랗고 늙고 주름진 몸뚱이들이 젊고 탱탱한 그들의 몸만큼이나 사랑을 갈구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내 차례가 돌아올 타르트 접시처럼 사랑을 경솔하게 내던져서는 안된다는 것을 모른다. 아니, 사랑이 눈앞에 있다면 당신은 선택하거나, 하지 않거나 둘 중 하나다. 그녀의 타르트 접시는 헨리의 선량함으로 가득했고 그것이 부담스러워 올리브가 가끔 부스러기를 털어냈다면, 그건 그녀가 알아야 할 사실을 알지 못했기 때문이었다. 알지 못하는 새 하루하루를 낭비했다는 것을.

 

 

이제 올리브는 죽음을 생각하지 않는다. 자신의 몸이 누군가를 간절히 원하고 서로의 심장이 뛰고 있음을 안다. 헨리에게 이런 소중한 사랑을 주지 못한 것을 후회한다. 하루하루 낭비한 지난 나날이 너무나 후회스럽다. 하지만 남은 인생에 '언젠가'는 없다. 지금 이 순간을 소중하게 살아야 한다. 얼마나 용기와 위로를 주는 결말인가...

 

p.484 <강>

그녀는 눈을 감았다. 지친 그녀는 파도를 느꼈다. 감사의, 그리고 회한의 파도를. 그리고  머릿속에 그려보았다. 햇살 좋은 이 방을, 햇살이 어루만진 벽을, 바깥의 베이베리를. 그것이 그녀를 힘들게 했다. 세상이. 그러나 올리브는 아직 세상을 등지고 싶지 않았다.

 

 

그동안 많이 지치고 늙었지만 세상을 정면으로 바라보며 사랑이라는 감정에 자신을 내맡긴 올리브. 첫 이야기 <약국>에서의 올리브와 마지막 <강>에서의 올리브는 얼마나 다른가. 사랑스럽고 따뜻한 여인 올리브...너무나 매력적인 주인공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