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리기를 말할 때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
무라카미 하루키 지음, 임홍빈 옮김 / 문학사상 / 2009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Q84>를 마지막으로 하루키의 작품을 더 이상 읽지 않았다. 그를 별로 좋아하지는 않았지만 그래도 그의 에세이 -<재즈의 초상>,<의미가 없다면 스윙은 없다>- 는 재미있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그가 마라톤을 한다는 사실은 꽤 유명한 이야기라 이 책이 달리기에 관한 에세이라는 점이 특별히 생소하게 느껴지진 않았다.

그러나 나는 읽으면서 '하루키의 마라톤에 대한 열정과 인내가 이 정도 였나' 싶을 정도로 놀랐고 한 인간의 인내와 절제, 집중,고민하는 삶의 자세에 존경의 마음까지 품게 되었다.

 

요즘 나오는 신간 책들을 보면 '삶을 즐기면서 나 편한대로 적당히 대충하며 살자'라는 뉘앙스를 풍기는 제목의 책들이 많다. 요즘 세상이 경쟁이 치열하고 금수저로 태어나지 않는 이상 삶에 희망은 안 보이며 결혼해서 아이 낳고 살기도 버거운 세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더라도 이런 식의 사회 분위기가 형성되는것은 왠지 모르게 불편했다. '아프니까 청춘이다' 이런 말을 하고 싶은건 절대 아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소중하고 한 번 뿐인 인생, 자기 자신에 대한 진지한 성찰과 관조적인 자세는 필요하지 않나 싶다.

 

내 삶의 우선 가치를 두고 하나하나 꾸준히 실천해 나가는 자세. 별거 아닌 거 같지만 그것이 쌓여서 10년, 20년이 된다면 분명 그 인생은 적어도 하루키의 말처럼 '뒤죽박죽'은 아닐 것이다.

 

하루키는 이 책을 에세이라고 하기 보다는 '달리기라는 행위를 축으로 한 일종의 회고록'으로 생각한다고 말한다. 그만큼 솔직하게 쓰려고 했고 달리는 소설가로서 자신이 어떻게 살아왔나를 담고 싶었다고 한다.

 

2019년을 앞두고 감동적인 자기계발서를 본 느낌이다. 처음부터 끝까지 달리는 이야기인데 왜 교훈적이며 감동적인 것인지...

어제보다 더 나은 자신을 위해 끊임없이 자신을 관찰하고 질문하며 노력하는 자세와 그 가운데 놓치지 않고 확실하게 누리는 소소한 행복까지...바로 이런게 '하루키스럽다' 라고 난 말하고 싶다.

 

p. 20~21

그리고 나는-그런 여러가지 흔해 빠진 일들이 쌓여서-지금 여기에 있다.

 

p.27

어제의 자신이 지닌 약점을 조금이라도 극복해 가는 것, 그것이 더 중요한 것이다. 장거리 달리기에있어서 이겨내야 할 상대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과거의 자기 자신이기 때문이다.

 

p.65

내 생각에는, 정말로 젊은 시기를 별도로 치면, 인생에는 아무래도 우선순위라는 것이 필요하다. 시간과 에너지를 어떻게 배분해가야 할 것인가 하는 순번을 매기는 것이다. 어느 나이까지 그와 같은 시스템을 자기 안에 확실하게 확립해놓지 않으면, 인생은 초점을 잃고 뒤죽박죽이 되어버린다.

 

p.103

마라톤 마을의 아침 카페에서 나는 마음 내키는 대로 찬 암스텔 비어를 마신다. 맥주는 물론 맛있다. 그러나 현실의 맥주는 달리면서 절실하게 상상했던 맥주만큼 맛있지 않다. 제 정신을 잃은 인간이 품는 환상만큼 아름다운 것은 현실 세계에 어디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