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61 | 6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머저리 클럽
최인호 지음 / 랜덤하우스코리아 / 200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에 대한 깊이 있는 탐색을 보여주는 작품들에서, 대중소설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를 넘나들며 다작을 해온 작가 최인호가 새로 내놓은 작품은 성장소설이다. '머저리 클럽'은 작가가 서문에서 밝히듯이 작가 자신의 학창시절을 반추하며 써내려간 작품이다.  

엄밀히 말해서 잘 쓰여진 글은 아니다. 치열한 소설적 탐색과정이 드러나기보다 다분히 고백적이고 사색적이어서일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겪었을, 혹은 겪어야 할 '고교시절'이라는 눈부신 소재는 독자의 공감을 이끌어내는데 부족함이 없다. 인생에 있어서 가장 찬란한 시기라고 말할 수 있는 시절, 한편으로는 가장 많은 고민을 떠안고 사는 고교시절에 대한 기억은 세월이 흘러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 까닭이다. 

앞서 말했듯이 '머저리 클럽'은 작가 자신의 고교시절 일기장을 펼쳐 놓은 듯, 다분히 고백적이다. 소설은 주인공 동순과 그의 다섯 친구가 고교시절동안 겪는 사랑과 우정, 고민에 대한 이야기다. 밝고 진지하며 때로는 서툴러서 더욱 순수한 그들의 고교생활이 여과없이 그려진다. 동순과 몇몇 친구들은 전학생 영민의 합류를 계기로 그들의 모임을 조직적으로 정비하며 '머저리 클럽'이란 이름을 붙이게 된다. 우스꽝스러운 이름이지만 '우리는 모두 머저리'라고 단정짓는 영민의 말을 통해 그들의 불완전한 현재의 모습을 여과없이 표현한 이름임을 알 수 있다. 머저리 클럽이란 클럽의 명칭에 걸맞게 여섯 모임의 일원들은 서툴고 미숙한 고교생활에 첫 발을 들여 놓는다. 샛별 클럽이라는 여학생들의 모임과 결연하여 청춘의 찬란한 특권이라할 수 있는 여러 즐거운 경험들도 한다. 빵집에서 빵을 씹으며 노닥거리는 의미 없는 일과도, 실연과 고통만을 안겨준 첫사랑도, 중국집에서 빼갈로 쓰린 속을 다스리던 방황도 아련한 추억처럼 그려진다. 이 모든 것이 조금씩 그들을 성장시키는 발판이 된다.

이 소설에는 전체적으로 인물 사이의 뚜렷한 갈등구조가 나타나지 않는다. 고교 3년간 일어나는 여러 사건들이 삽화적으로 나열되어 있을 뿐이다. 그럼에도 전체적으로 유기성을 갖는 것은 소설 전반에 흐르는 청춘의 풍부한 감수성 때문이다. 소설 속 인물들은 자신에게 닥친 상황이나 감정들에 더없이 솔직하고 진지하게 임한다. 오늘날에 비추어 보면 저돌적이라고 할 수 밖에 없는 그들의 행동이 자신의 감정에 진지하게 직면할 수 있었던 그 시대 청소년들의 감성이고 용기였던 것이다. 그 중 타칭 '개똥철학자'인 주인공 동순의 내면은 유리처럼 예민하고 섬세하게 묘사된다. 동순이야말로 고독과 사색을 즐길 줄 알고 사랑을 하는 방법을 아는 인물이다. 작가는 동순의 내면 갈등을 문학적 감수성으로 승화시키기 위해 끊임없이 시를 인용한다. 감정을 낭비하지 않고, 감정에 인색하지도 않은 모습, 계산하지 않는 솔직함 등이 그 시대 청소년들의 보편적인 모습이라면 그 시대를 살 수 있었던 사람들은 행운이었을 것이다. 

 

어떤 것은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지만, 어떤 것은 분명하게 변한다. 변한 것 중에는 참 아쉬운 것들도 많다. 삭막한 입시위주의 교육현실은 그때나 지금이나 조금도 변하지 않았으면서, 청소년들의 내면은 너무나 많이 달라졌다. 오늘날 청소년들을 잠식하고 있는 MP3, PMP 같은 기계가 동순과 친구들이 옆구리에 끼고 다니던 고전과 시집을 대신한 것은 문명의 발달에 따른 필연적인 결과로만 보기에는 많은 아쉬움을 준다. 넘칠 정도로 가지고 있는 물질적 풍요로움과는 정반대로 메말라가고 있는 오늘날 청소년들의 감성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나토노트 2 (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 열린책들 / 200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많은 공상 과학 소설이 미래 혹은 과거와 같은 시간의 넘나듦, 우주와 같은 장소의 확장 혹은 기발한 최첨단 기계의 발명 등을 소재로 하여 그 나름의 상상의 세계를 펼쳤다. 그러나 공간적 개념도 아니고 시간적 개념도 아니며 어떤 물리적인 개념도 아닌, 그 어떤 것에 대해서도 별개로 분류되는 세계에 대한 상상력을 펼친 작가가 있다. 바로 베르나르 베르베르이다.

그는 그의 소설 '타나토노트'에서 사후 세계에 대한 기발한 탐험을 시도한다. 인간은 누구나 사후 세계에 대해 알기를 원하면서 그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전생, 귀신, 지옥, 천당 등과 같은 '삶'의 바깥에 있는 다양한 세계에 대한 기발한 상상력을 담은 서사문학이 무수히 등장했다. 그러나 이는 어디까지나 심령이나 판타지의 세계로 개연성 있는 허구와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타나토노트'는 다른 차원의 세계를 묘사하면서도 상당한 개연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 누구도 사후세계의 진정한 이면을 들춰내어 샅샅이 알아버리기를 원치 않는다. 그 부분에 대한 진실만은 영원한 미지의 세계로 남기를 바란다.
그러나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금기시 되다시피 한 '사후 세계에 대한 신비'라는 주제에 과감히 도전한다. 그가 이에 관한 미스테리를 풀기 위해 제시한 방법은 너무나 과학적이어서 사실처럼 믿어버릴 정도이다.

그는 기어이 그의 과학적인 근거를 통해 사후 세계의 이면을 완전히 들추어 내보인다. 독자들은 소설에 몰입한 나머지 작가의 상상력을 통해 탄생한 영계 지도가 진실인 듯 믿어버리고 스스로도 영계 탐사에 동참하고 싶어질 것이다. 

그러나 독자들과 함께 현세와 영계를 누비며 탐험을 했던 베르나르 베르베르는 소설의 마지막 부분에 와서 모든 것을 뒤엎어 버린다.

소설은 결말에서 죽음에 대한 혹은 그 이후의 세계에 대한 상상과 지나친 개입에 대한 경고성 메세지를 던진다. 미지의 영역은 손닿지 않은대로 남겨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어쩌면 오만하게 영역을 확장해 나가고 있는 현대 과학에 대한 극단적인 경고일 수 있다. 많은 독자들이 이 소설을 통해 동전의 앞뒤와도 같아진 과학과 윤리의 문제를 고민해볼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61 | 6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