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고아였을 때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김남주 옮김 / 민음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기억이 온갖 예술, 특히 서사의 매력적인 소재로 자주 거론되는 것은 그것이 가진 반투명성에 기인한다. 기억을 이야기한다는 것은 실제 사실을 되새김질하는 것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기억은 사실을 정확하게 반영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때로는 망각되거나 왜곡되어 저장되기 때문이다. 기억의 빈 부분을 채우고 어긋난 자리를 바로잡는 것은 서사 문학 속 인물의 주된 과업이다. 현재의 '나'는 과거의 한 공간이 빈 채로 온전하게 존재할 수 없는 불완전한 자아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서사 속에서 기억은 언제나 탐색과 나란히 놓인다. 인간은 기억을 실재보다 더 미화하려는 습성이 있다. 그래서 그 기억을 탐색하는 일은 때로 알고 싶지 않은 진실에 맞닥뜨려야 하는 것일 수 있다. 기억을 파헤칠수록 왜곡된 기억은 그 처연한 실체를 드러낼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면 그것은 모르는 채로 두는 편이 낫지 않을까?


 

가즈오 이시구로의 <우리가 고아였을 때(When we were orphans)>는 어린 시절 놓친 기억에 관한 이야기다. 이야기는 전쟁으로 전 세계에 암운이 드리워진 1930년대를 배경으로 런던과 상하이를 넘나들며 전개된다. 주인공 크리스토퍼 뱅크스는 런던에서 성공한 탐정이지만  그의 마음 속에는 늘 채워지지 않은 빈 공간이 있다. 작가는 그 빈 공간의 실체를 드러내기 위해 인물의 과거로 독자를 이끈다. 그리하여 크리스토퍼의 유년을 이루는 상하이를 기억 바깥으로 끄집어 내는데 그것은 일인칭 화자의 인식 속에서 단편적이고 자의적으로 서술된다. 마침내 여러 상황들이 우연히 맞물려 기억에서만 존재하던 상하이로 크리스토퍼를 이끌지만, 이는 우연이기보다 필연이자 운명이다. 모든 해결의 실마리는 그것이 시작된 지점으로 수렴되기 때문이다.

 

 

미결된 채 남아 있는 과거의 공백을 메우기 위해 자신이 자라난 곳으로 되돌아가는 서사는 제발트의 <아우스터리츠>를 연상시킨다. 그러나 <우리가 고아였을 때>는 좀 더 개인적이다. 말하자면 주인공에게 부여된 운명은 역사적 상흔과는 거리가 멀다. 그런데 우리는 상하이로 떠난 크리스토퍼의 모습에서 기묘한 모순을 마주한다. 부모를 찾아야 한다는 개인적인 과업이 전쟁의 위기에 처한 세상을 구원할 수 있다는 근거없는 낙관으로 확장되는 것이다. 크리스토퍼 자신은 물론 그의 주위를 둘러싼 모든 사람들이 크리스토퍼가 해결할 사건이 일촉즉발의 현실 문제를 타계할 힘이 될 것이라 믿는다. 이런 비논리성으로부터 크리스토퍼 자신에게 있어 개인적 결핍은 곧 온 세계의 상실과도 같은 큰 공백이라는 연상이 가능해진다. 즉 크리스토퍼는 자신의 심리적 결핍이 채워지는 동시에 이 세계도 완성되리라 믿는 것이다.


 

크리스토퍼의 결핍은 제목에서도 드러나는대로 고아로서의 삶에 있다. 이 소설에서 고아는 지시적 의미 그대로 크리스토퍼가 처한 상황을 드러내기도 하지만, 그의 심리적 불구 상태를 은유적으로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다. 오래 전부터 탐정이 되는 것 말고는 달리 생각할 수가 없었던 그에게 미결된 사건을 해결해야 한다는 의식은 오랜 억압이었을 것이다. 사교계의 가볍고 허영에 가득 찬 삶에 쉽사리 적응하지 못하고, 친구 오스본의 지적처럼 '정말로 뭘 하고 싶은지 모르'는 상태로 시간을 보내왔던 그에게 부모의 흔적을 추적해야하는 것은 숙명과도 같은 임무인 것이다. 이 책에는 크리스토퍼와 같은 심리적 결핍을 지닌 몇몇 인물들이 더 등장한다. 크리스토퍼가 운명적으로 빠져들었던 새라 헤밍턴, 운명에 대한 동질감으로 입양한 제니퍼도 심리적 결핍을 간직한 고아다. 그들 또한 자아의 불완전함을 세계의 불완전함으로 치환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삶을 산다. 크리스토퍼가 상하이에서 조우한 어린시절 친구 아키라가 남겨질 아들을 걱정하며 한 말은 그 결핍이 의미하는 바를 분명히 보여준다. "그 애가 세상의 실상을 알게 될 때 나는 그 애와 함께 있고 싶어." 그 말은 결국 세상의 불완전함에 대항하는 힘은 개인의 굳건한 내면이고 그것은 또한 상호 위로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그래서 고아라는 것은 보호자의 부재라는 물리적 상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초래하는 큰 심리적 공허를 포괄한다.

 

 

크리스토퍼가 찾아낸 진실은 모르느니만 못했던 추악한 얼굴을 하고 있었지만, 모든 일이 끝난 뒤에 그의 심리는 훨씬 안정되었고 담담하게 현실을 마주하기 시작한다. 요컨대 공백이란 그냥 두는 것보다는 어떤 식으로든 채워지는 편이 낫다. 그것이 어떤 결론을 보여주었던 간에 같은 자리에 있지 않는 것이 중요하므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