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멋진 신세계 ㅣ 문예출판사 세계문학 (문예 세계문학선) 2
올더스 헉슬리 지음, 이덕형 옮김 / 문예출판사 / 1998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는 이미 상상이라는 것이 필요없을 정도로 진보된 기술을 누리고 있다. 약 600년 이후의 미래를 그린 헉슬리조차도 상상하지 못했던 정보통신 분야의 눈부신 혁신을 비롯해 오늘날 과학 기술은 이미 전방위적으로 성취를 이루고 있다. <멋진 신세계>에서 헉슬리가 그려내는 디스토피아의 가장 무서운 상황은 전체주의적 통제하에 사회의 모든 사람들이 체제에 복종하고 있다는 사실일 것이다. 즉 인간의 의지가 과학 기술에 완벽히 종속되어 버린 끔찍한 전복이다. 그러나 사회 구성원들은 당연히 이를 깨닫지 못하도록 세뇌되어 있다. 완벽하게 비판능력이 상실된 사람들에 의해 세계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끔찍한 일이다. 그런데 우리는 단지 이것을 먼 미래, 디스토피아로 치부할 것인가. 어쩌면 너무나 많은 혁신의 성취에 눈이 멀어 비판 능력을 상실해 버린 우리는 이미 헉슬리가 예언했던 디스토피아를 살아가고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올더스 헉슬리의 <멋진 신세계>가 그려내는 세계는 생물학적 결정론이나 행동주의 심리학과 같은 지금은 구닥다리가 되어버린 이론에 기반을 둔 미래 사회이다. 지금 우리는 유전보다는 환경 결정론에 더 많은 손을 들어주고 있을 뿐 아니라 인간의 인지에 대한 믿음을 넘어 인간 의지에 대한 신념으로 가득 차 있다. 실존주의와 포스트 모더니즘을 넘나드는 우리 현재의 삶에서 헉슬리가 그려내는 '멋진 신세계'는 지나치게 이분법적이고 회의적으로 보인다. 술을 마셔도 진담이 나온다는 인간들이 기껏 '소마' 한 알에 모든 감정을 통제할 수 있다니 말이다. 하지만 손에 잡히지도 눈에 보이지도 않는 MP3 파일 조차 상상하지 못해 600년 이후에도 기껏 '녹음 테이프'를 이용해야했던 헉슬리와의 시대적 갭을 감안한다면, 그가 이룩한 미래 사회의 전근대성을 지적하기보다 그 메시지에 귀를 기울이는 편이 훨씬 공평한 일일 것이다. 그가 태블릿 피씨를 손에 쥔 채 지하철을 타고 출근하는 오늘날 인류의 모습을 볼 수는 없었지만, 전쟁과 전체주의에 의해 피흘리는 세계를 직접 목도한 시대의 증인인 것은 분명하기 때문이다.
소설이 그려내는 미래사회는 현대와 완벽하게 단절된 세상이다. 따라서 현실 기반의 비판적 소양의 확장보다는 과장을 통한 엄중한 경고로 받아들이는 편이 낫다. 그곳은 기계 문명을 제외한 인간의 모든 성취들이 거세된 세계, 즉 예술이나 종교는 물론이고 순수 과학조차 통제되는 세계이다. 인문학적 소양의 부재는 인간들에게서 감정을 앗아간다. 설령 어떠한 감정을 가지게 되더라도 그것을 표현할 어휘가 사라져 버렸기 때문에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게다가 수천년을 이어온 가족 공동체가 조롱거리로 전락하고 모든 사람은 사회의 안정이라는 공동체의 목표에 종속되어 있다. 물론 그들에게는 유혹과 투쟁, 회의 같은 불안정한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운 '완전한 행복'이 대가로 주어진다.
그러나 소설은 어느 시대나 있게 마련인 불순분자인 버나드, 헬름홀츠, 존을 등장시켜 비극이 없는 삶은 예술을 창조하지 못하며, 영원한 행복은 종교와의 단절을 낳게 된다는 섬뜩한 진리를 역설한다. 사랑이 수치스러운 감정이 되고 예술이 조롱거리가 되며 도덕은 알약 한 알의 가치로 전락해 버린 사회를 헉슬리는 '멋진 신세계(Brave new world)'라고 일컫는다. 헉슬리의 이러한 반어와 경고는 그가 만들어낸 미래 사회의 디테일을 넘어서 인류 보편의 반성을 촉구한다. 물질의 맹목적인 추종이 가져온 영혼의 파괴는 각종 질병과 기아, 불안 보다도 더 끔찍한 결말이다. 거기에는 인간의 자유의지가 없기 때문이다.
1930년대에 발표된 <멋진 신세계>는 미래에 대한 비극적 전망을 그리면서 동시대에 경고한다. 그러나 오늘날 디스토피아 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더 이상 미래에 대한 경계가 아니라 현재에 대한 엄격한 성찰을 요하는 일이 되어 버렸다. 헉슬리의 예언처럼 오늘날 사회는 기술 문명을 옹호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이공계 쏠림 현상과 더불어 세계는 언어, 예술, 종교와 같은 형이상학을 점차 등한시 하는 현상이 강해지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심지어는 물질 문명이 영혼을 야금야금 갉아먹고 있는 것을 깨닫지 못하거나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어쩌면 우리는 우리가 늘 지니고 다니는 스마트폰이 우리의 영혼을 갉아먹는 '소마'인 것을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 알파 플러스일지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