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 개의 고양이 눈 - 2011년 제44회 한국일보문학상 수상작
최제훈 지음 / 자음과모음(이룸)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미스터리 서사는 대개 비밀이 밝혀지는 과정과 그 결과의 명쾌함에서 쾌감을 느끼도록 되어 있다. 곳곳에 뿌려진 복선들이 하나의 결말을 향해 일정하게 수렴되는 과정에서 예측이 맞아들어가거나 예측이 뒤바뀌는 지점이 전율을 가져다 주는 것이다. 미스터리 서사를 읽는 것은 결국 막판의 명쾌함을 위해 초반의 혼동을 견디는 과정인 것이다. 그러나 최제훈의 미스터리 장편소설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은 이 공식을 완벽하게 역행한다. 이 소설은 읽을수록 사건의 실마리에 다가가기는 커녕 혼돈이 가중된다.

 

소설은 '여섯 번째 꿈', '복수의 공식', 'π', '일곱 개의 고양이 눈' 네 편의 독립적인 이야기로 이루어져 있다. 그 중 첫 번째 이야기인 '여섯번째 꿈'은 일반적인 미스터리의 공식을 충실히 따르고 있다. 의문의 연쇄 살인이라는 흔한 미스터리물의 소재를 들고 온 것도, 사건이 진행됨에 따라 서스펜스가 가중되는 것도, 범인이 예상하기 힘든 존재라는 것도 특별할 것 없는 미스터리의 공식을 보여주는 것 같다. 일견 밀실공포의 클리셰로 여겨지는 이 첫번째 이야기는 그러나 다음 이야기에서 반복되고 변주되면서 소설 전체를 이루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두 번째 소설 '복수의 공식'은 첫번째 소설을 보완해 사건의 전말을 밝히고자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첫 번째 소설에서 이야기되었던 인물들의 관계 및 사건의 설정들이 묘하게 어긋나 있다. 이 이야기는 복수라는 형태로 행해지는 살인이 얼마나 사소한 것에서 시작되는지를 일련의 인물들이 겪는 우연한 사건들의 연쇄를 통해 보여준다. 하나의 사건이 뜻하지 않은 방식으로 다음 사건의 동기가 되면서 톱니바퀴처럼 맞물리는 이야기는 일종의 나비 효과 이론의 소설적 실험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 이야기는 첫 번째 소설에서 이야기된 사건이 전혀 다른 방식으로 이야기될 수도 있음을 보여준다.

 

세 번째 소설 'π'에서는 첫 번째 소설이 통째로 안 이야기로 삽입된다. '여섯 번째 꿈'의 한 인물인 것만 같은 주인공이 번역하고 있는 텍스트와 그의 동거녀에 의해 말해지는 이야기가 내화로 번갈아가며 등장한다. 번역되는 이야기는 첫 번째 소설을 그대로 가지고 왔고, 말해지는 이야기는 두 번째 소설의 한 장면을 변주한다. 이렇게 이야기는 계속 반복되지만, 그 반복은 지금까지 쌓아온 이야기의 세계를 일시에 무너뜨린다. 외화와 내화의 경계, 진실과 거짓, 현실과 상상의 경계가 없어진다. 이 몽환의 공간 속에서 같은 이야기만 꾸준히 반복될 뿐이다.

 

마지막 소설 '일곱 개의 고양이 눈'에서도 복합적인 사건이 교차된다. 전혀 다른 새로운 이야기 같지만 앞에서 이야기되었던 인물이나 모티프들이 또한 반복되며 하나의 이야기 구조에 안착한다. 마지막 이야기는 작품 속에 다시 한번 등장하는 텍스트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이 한 독자의 상상에 의해 재창조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그 과정에서 소설 속 텍스트이기도 하고 이 소설 자체이기도 한 '완벽한 미스터리'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의 본질을 밝힌다.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은 네 개의 서로 다른 이야기가 모여진 옴니버스 형식이지만, 같은 사건을 다른 방식으로 풀어낸 하나의 이야기이다. 이처럼 한 사건의 무수한 변주는 진실을 탐색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반복되는 인물들의 관계는 조금씩 다르고 중첩되는 사건들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어 보인다. 그러나 소설의 도입에서 서술된 '이야기가 매번 변하고 있'다는 진술은 마지막에 와서 '거짓말을 하는 건 창조적인 과정'이라는 형사의 말로 수렴되며 네 편의 이야기를 하나로 묶어주는 단서가 된다. 즉 하나의 이야기이되 같은 이야기가 아닌 네 편의 소설은 이야기 자체의 속성을 이야기하는 메타픽션의 성격을 갖게된다.

 

하나의 진실과 그것이 이야기되는 무수한 텍스트들이 난무하는 소설 속에서 팩트(fact)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팩트는 말과 글로 옮겨지는 과정에서 끊임없는 재창조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러 이야기들이 변주되는 동안 현실과 허구의 경계는 무너지고 세계는 객관성을 잃게된다. 이 한 편의 미스터리가 밝혀내는 것은 사건의 진실이 아니라 이야기의 속성이다. 다시 말해 <일곱 개의 고양이 눈>은 이야기가 그 자체로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누가 어떻게 말하느냐에 따라 무수히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