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느낌의 공동체 - 신형철 산문 2006~2009
신형철 지음 / 문학동네 / 2011년 5월
평점 :
읽지 않은 책에 대한 글을 읽기는 어렵다. 제재에 관한 배경지식을 필자와 공유하지 못하므로 자칫 뜬구름 잡는 독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 소위 평론이라는 장르는 한 텍스트의 완독에 따르는 이차적 독서물로서의 기능에 안주하는 것이 태생적 한계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평론은 엄연한 문학이다. 비록 메타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일차적 텍스트와는 무관하게 그 자체로 읽히는 글이어야 한다는 말이다. <몰락의 에티카>에서 그러한 평론의 힘을 증명해 낸 신형철의 두 번째 책 <느낌의 공동체>는 산문집이다. 그러나 이 또한 많은 부분 문학 작품들에서 제재를 취하고 있어 평론의 껍데기를 완전히 벗어던지지는 못한다. 그러나 이 책은 문학에 훨씬 더 가까이 다가섰다.
'느낌'은 공유하기 어렵다는데 그것을 목표를 노를 젓는 저자의 노력은 찬란한 결과물로 나타난다. 이 산문집에는 다양한 매체의 지면에 실렸던 다양한 종류의 글들이 실려있다. 평론 같기도 하고 칼럼같기도 한, 딱히 장르적 문법에 의존하지 않은 자유로운 글들의 모음이다. 그 제재는 시와 시인, 소설과 영화 그리고 그것을 아우르는 사회에서 취하고 있다. 이러한 제재들에서 얻는 필자의 '느낌'은 내면에 머무르지 않고 '사유'의 틀을 거치며 뚜렷한 육체를 갖게된다. 신변잡기에 관한 글이 아님에도 강력하게 독자와 소통하는 힘은 감각을 사유로 전환하는 저자의 섬세한 필력에 있다 하겠다.
문학과 사회에 대한 찰나적인 시선이 명징한 현상으로 전환되는 과정은 일종의 쾌감을 준다. 글 읽는 재미가 가득 느껴지는 책이다.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지만 작품보다는 문학이나 사회의 역할에 주목한다. 저자는 시의 미학적 보수성에 대해 경계하며 번득이는 시심(詩心)에 대한 감탄을 숨기지 않는다. 때로는 외국어에 점령된 빈약한 수사를 개탄하기도 하고 은유의 위험한 사용을 경계하기도 한다. 지극히 주관적인 산문들이지만 취향에의 강요가 아닌 논리적 수긍을 바탕으로 하는 명쾌한 설득이다. 그렇다고 골치아픈 문장으로 독자를 향한 지적 도전을 감행하지도 않는다.
소개되는 작품들의 구절도, 소개하는 사람의 절묘한 시선도 하나하나 주옥같다. 아무 페이지를 펼쳐도 미문을 쏟아진다. 자기만이 할 수 있는 생각을 누구나 알기 쉽게 풀어낸 글이 있고, 누구나 할 수 있는 생각을 자기만의 방식으로 전달하는 글이 있다. 신형철의 산문은 둘 다다. 그렇기 때문에 그가 다루는 제재에 대한 스키마 없이도 소통할 수 있다. 저자는 때로는 날카롭게 때로는 위트있게 문학과 세상을 이야기한다.
문학은 언어라는 상징을 사용한 예술이기 때문에 오감의 활약만으로 온전하게 감상할 수 없다. 오감으로 받아들여진 언어상징은 사유를 거쳐 비로소 인식된다. 따라서 문학은 사유의 힘으로 살아남아 있는 것이다. 신형철의 글은 '사유'다. 자신의 사유를 강요하지 않고 독자를 사유로 이끈다. 그는 이 책에서 정흥수의 평론집 <소설의 고독>을 두고 '문학이 된 평론'이라고 했다. <느낌의 공동체>도 가히 문학이 된 평론, 아니 시가 된 산문이라 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