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 - 제10회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
천명관 지음 / 문학동네 / 200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얼마 전 '문학터치 2.0'을 펴낸 손민호 기자는 자신의 책에서 소설가 천명관을 두고 외계인임이 확실하다고 못박고 있다. 그의 수상한 이력과 기행 등을 그 이유로 들고 있지만, '고래'라는 낯선 텍스트를 들고 나와 소설이라고 우기며, 소설은 모름지기 이러해야 한다고 생각하던 많은 사람들을 혼란에 빠지게 했다는 점에서 외계인이라는 주장은 나름 그럴 듯 하다. 그 만큼 '고래'는 문학동네소설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이후부터 한국 문단의 지형 변화를 운운할 때면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문제작이다.

전통적인 소설의 문법을 강력히 주장하는 사람들에게 '고래'는 하나의 큰 도전이다. '문학터치 2.0'에서 저자는 '고래'에는 '설화, 기담, 민담, 전설, 신파극, 무협지, 영화, 만화, 판타지, 로맨스, 그러니까 이야기에 관하여 우리가 알고 있는 제반의 것이 깡그리 몽땅 들어 있다'고 설명한다. 그 만큼 많은 색깔을 가지고 많은 것들을 보여주는 뛰어난 수작이라는 것이다. 문제는 그러나 소설은 그 모든 갈래를 깡그리 담아내기를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소설은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를 적당한 인물이나 사건 등을 통해 일정한 구조 안에 적절하게 배치해 놓게끔 되어 있다. 그러니까 천명관의 '고래'는 분명 풍성한 이야기이기는 하되 소설이라고 부르기에는 애매한 무엇인가가 있다.

무릇 소설은 재미있어야 하지만 재미있다고 다는 아니다. 소설 속에는 단순한 이야기 이상의 무엇이 있어야 한다. '고래'는 분명히 재미있는 이야기지만 이야기 이상의 것이 빠져 있다. 이 소설은 읽는 내내 마르케스의 '백년 동안의 고독'을 연상시킨다. 특히 인물의 흥망성쇠가 이루어지는 가상의 공간 '평대'는 '마콘도'와 판박이다. 마콘도와 마찬가지로 평대는 철도의 건설로 인해 급속도로 문명화되는 공간, 문명화와 함께 고독이 시작되는 공간, 마침내 잊혀지고 마는 신화적인 공간이다.  이 밖에도 '고래'는 시간을 마구 뛰어 넘는 속도감 있는 전개, 현실의 공간에서 살짝 비켜난 듯한 환상성, 말도 안 되는 소리를 능청스럽게 늘어 놓는 뻔뻔스러움 등 많은 부분에서 '백년 동안의 고독'과 유사하다. 또 '고래'는 '백년 동안의 고독'만큼이나 흡인력 있고 재미있다. 그러나 '고래'에는 마르케스의 소설이 함의하고 있는 인류와 역사에 대한 치밀한 고민의 흔적이 없다. 술술 흘러나오는 이야기가 최종적으로 가 닿는 곳이 어디인지 불확실하다. 분명히 재미는 있으나 무엇을 이야기하려는지 도통 모르겠다. 마치 블록버스터 영화처럼 황당한 꿈 한 편을 꾸고 일어난 듯한 멍한 기분이다. 소설을 읽은 감동과 오락 영화를 본 후의 감동은 아무래도 같을 수 없는 법이다.

이 모든 점에도 불구하고 '고래'는 확실히 재미있다. '고래'가 불쾌하다면 소설이 지향해야 할 바를 철저히 무시하고 있어서가 아니라 음산한 분위기와 비상식적인 인물들이 나에게는 아직 이질적인 까닭이다. 고래는 불친절하다. 어딘가 거북하고 불쾌하다. 이물질이 몸을 침투한 것과 같은 종류의 저항감이 든다. 이는 그로테스크한 소설 속 현실에 기인한다. 왜 국밥집 노파는 그리 흉측한 외모를 가져야만 하고, 금복은 왜 자신의 성적 정체성에 고민을 해야만 하며, 춘희의 순수한 세계는 왜 악랄한 수감자들에 의해 잔인하게 짓밟혀야만 하는가. 소설 속에는 우리가 '정상적'이라고 생각하는 당연한 일들이 왜 일어나지 않는 것인가. 이처럼 소설 속에서 느끼는 기묘한 이질감은 독서를 불편하게 만든다.

'고래'는 눅눅하고 그로테스크한 기운 때문에 내 입맛에 맞는 이야기감은 아니지만 이런 뻔뻔하고 능청스러운 시도는 분명히 반갑다. 특히 한국 전통서사문학의 영향을 받은 듯한 뛰어난 입담과 유머는 감탄할만하다. 소설을 읽노라면 설화와 같은 구비문학의 구연을 듣는 것 마냥 흥겹다. 천명관은 전기수(이야기를 들려주고 돈을 받는 사람)와 같이 이야기의 맺고 끊는 부분을 적절히 조절하며 독자를 애태운다. 어떤 부분에 이르러서는 사설이 무한히 확장되며 리듬감마저 부여한다. 이야기 자체보다 이야기하는 방식이 더 매력적이라고 느껴질 정도다. '고래'는 기존에 찾아보기 힘든 소설이지만 이런 소설도 나와 주어야 한다는 생각은 확고하다. 천명관이 다른 소재를 들고 나와 또 능청스러운 이야기를 늘어놓으려 하면 기꺼이 지갑을 열 만큼.

천명관은 소설 속 인물중 하나인 약장수의 청산유수같은 입담을 두고 '구라의 법칙'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그 '구라의 법칙'을 가장 잘 구사하는 것은 아마도 약장수가 아닌 작가 자신이라 할 만하다. '고래'를 소설로 인정해야 한다면 그것이 철저한 허구에 기대고 있다는 점 하나 때문이다. 이는 장점인 동시에 단점이기도 하다. 허구성이 강조된다는 것은 곧 개연성이 떨어진다는 말이 되겠다. 사실 '고래' 속에는 근대 문학 이전에만 허용되었던 우연성에 기댄 비논리적인 사건 전개가 많이 나타난다. 그래서인지 이 소설의 경우에는 '허구'라고 하기보다 '구라'라고 하는 것이 어쩐지 더 적절해 보인다. 그렇다. 천명관은 '고래'를 통해 소설은 어차피 '구라'가 아니겠느냐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