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기 앞의 생 (특별판)
에밀 아자르 지음, 용경식 옮김 / 문학동네 / 2003년 5월
평점 :
품절
세상 속에서 소외된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처절함과 비통함을 느끼게 된다. 그들은 대개가 가난하고 비참하며 외롭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서도 인생의 밝은 면을 발견하는 경우가 있다. 에밀 아자르의 '자기 앞의 생(La Vie devant Soi)'이 그런 경우이다. '자기 앞의 생'은 모모라는 한 회교도 소년이 바라보는 생의 일면을 그린 소설이다.
모모가 살고 있는 벨빌은 유태인, 회교도인, 흑인 등 사회적으로 배척받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이다. 모모는 매춘부들에게서 태어난 다른 아이들과 함께 유태인인 로자 아줌마의 보살핌 아래 살고 있다. 엘리베이터도 없는 낡은 아파트의 7층에서 아이들을 맡긴 매춘부들이 띄엄띄엄 보내주는 돈으로 간신히 연명하는 처지다. 로자 아줌마와 어린 모모는 사회 속에서 소외된 처지이지만 서로를 의지하며 살아가고 있다.
모모는 어린 나이 답지 않게 자신의 처지나 형편을 날카롭게 직시하고 있다. 어려워져가는 경제적 형편, 악화되어가는 로자 아줌마의 병, 냉소적인 인간의 이면까지도 그는 모두 파악한다. 그러나 모모는 그 어떤 상황도 바꿀 힘이 없는 무기력한 어린아이일 뿐이다. 인생에 대해 남다른 통찰력을 가진 모모는 생을 결코 되돌릴 수 없다는 것을 너무도 잘 알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거꾸로 돌아가는 필름을 보며 행복한 환상에 젖을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그런 그가 진정한 인생의 의미에 대해 알게되는 것은 로자 아줌마에 의해서다. 부모가 없는 모모에게 로자 아줌마는 절대적인 존재이다. 모모는 병으로 죽어가는 로자 아줌마의 모습을 두려워하고, 슬퍼하고, 받아들이게 되면서 조금씩 커간다.
모모가 발견한 생의 의미는 바로 사랑이다. 죽음을 앞둔 로자 아줌마를 두고 모모가 내린 결정은 그 사랑의 실천인 것이다. 모모는 로자 아줌마가 '식물인체로' 자기 곁에 오래 머물기보다 존엄성을 가지고 편안히 죽기를 원한다. 정말은 그 누구보다도 로자 아줌마가 살기를 바랬을 모모가 생명의 연장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의사 앞에서 안락사를 요구하는 장면이 가슴 찡한 것은 모순된 감정 속에서 갈등하고 있을 모모의 심정이 제대로 전해져서일 것이다. 자기자신보다 남을 더욱 생각하는 이타적인 사랑은 결국 모모에게 깊은 상실을 안겨준다. 로자 아줌마가 고통 없이 빨리 죽기를 바라면서 그 자신은 로자 아줌마를 떠나 보낼 수 없었던 어린 모모를 통해 우리는 '사람은 사랑하는 사람 없이는 살 수 없다'는 진리를 깨닫게 된다. 이것이 충격적이면서 슬픈 여운을 남기는 결말도 아름답게 느껴질 수 있는 이유이다.
'자기 앞의 생'은 작품을 둘러싼 후일담이 작품자체만큼 흥미진진하다. 단편 '새들은 페루에 가서 죽다'로 잘 알려진 로맹 가리와 에밀 아자르는 동일인이다. 로맹 가리는 이미 프랑스에서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인 공쿠르 상을 한 번 수상했지만 에밀 아자르의 이름으로 다시 한 번 그 상을 받게 된다. 바로 '자기 앞의 생'을 통해서다. 로맹 가리는 살아 생전에 누구도 에밀 아자르의 진짜 정체를 알지 못하도록 치밀하게 두 얼굴의 작가 생활을 했던 것이다. 이 일로 인해 졸지에 우스꽝스러운 입장이 된 것은 잘난 척하는 평론가들이었다. 로맹 가리를 까내리면서 에밀 아자르를 입이 마르게 칭송하는 평론가들을 보고 로맹 가리는 무척이나 통쾌했을 것이다. 그러니까 로맹 가리는 에밀 아자르라는 새로운 이름으로 비로소 선입견 없이 자신의 문학 자체만을 평가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이 일화를 역으로 생각해보면 우리에게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다. 우리나라에서는 작가의 이름이 작품 판매에 미치는 영향력이 매우 크다. 하나의 브랜드가 될 정도로 잘 팔리는 작가가 되면 간혹 아주 실망스러운 작품을 내 놓더라도 작가 이름에 묻혀 쉽사리 베스트셀러가 된다. 작가의 이름에 갇혀 작품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없는 것은 작가 입장에서도 독자 입장에서도 안타까운 일임에는 분명하다. 그렇다고 해서 유명 작가가 가명으로 작품을 발표한다면? 안타깝게도 웬 무명작가의 작품을 기꺼이 출간하겠다고 나서는 출판사가 없을 것이다. 순전히 작품 자체만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던 '자기 앞의 생'의 경우처럼 작품 자체만으로 평가 받는 출판 풍토가 조성된다면 우리 문학의 발전에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