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너리그
은희경 지음 / 창비 / 2001년 4월
평점 :
한 지방 도시의 남자고등학교 교실에서 보잘 것 없는 네 명의 학생이 뭉치게 된다. 그들은 물리 숙제를 해오지 않아 선생님으로부터 기합을 받게 되는데 그 모습이 마치 드렁칡 같다고 하여 그들은 ‘만수산 4인방’이란 공동체적인 호칭 아래 우연찮게 묶이게 된다. 그 만수산 4인방은 중국집 배갈의 힘을 빌어 의형제 결의까지 하게되는데 사실 그들은 조금도 닮은 구석이 없었으며 자신이 나머지 셋과는 전혀 수준이 맞지 않다고 생각하는 점에서만 닮아있었다.
만수산 4인방 중 하나인 배승주를 보자. 그는 내세울 것이라곤 그의 잘생긴 외모 밖에 없고 누나의 옷을 빼앗아 입고 기타를 들고는 여학생들의 관심을 끌기 위해 우수어린 눈빛으로 앉아있는 일이 고작인 한량이다. 조국 또한 내세울 게 없기는 마찬가지이다. 거무스름하고 네모난 얼굴에 유난히 짧은 목을 가진 그는 활달하고 편안한 인간미를 가장한 떠벌이다. 덩치 있고 과묵해 보이는 두환은 바지 뒷주머니에 손을 찌르고 복도에 내놓은 다리 한 짝을 맹렬히 떠는 것 외에 '소림사 18동인'의 조직이라는 실속없는 사업에 목을 메는 시시한 건달이다. 그중 나은 지성을 소유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서술자 김형준의 사정도 그리 다를 것은 없다. 그는 가방 안에 토마스 울프나 토마스 만의 소설을 넣고 다니며 거만을 떨지만 그는 일류의 삶에 끼지 못해 발버둥치는 이류일 뿐이다.
마이너리그’가 추적해 나가는 것은 이 제각기 다른 각각의 캐릭터들의 살아가는 방식에 대한 진술이 아니고 전혀 다른 캐릭터들을 하나로 묶어주는 중요한 특징인 그저그런 삶의 내면이다. 이 소설을 읽을 때 '그'라는 개별적 인물의 에피소드보다 '그들'이라는 소속하의 집단적 사건에 포커스가 맞추어 지는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이다. 전혀 다른 인물들을 하나로 얽히게 만든 계기는 아주 하찮은 것일수 있지만 그것이 만들어내는 삶의 결과는 다분히 필연적이다. 그 필연적인 운명의 근거는 그들의 삶이 이류에 속해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삶이라는 것이 워낙에 공정하지 못해서 어쩔 수 없이 소수의 메이저들과 다수의 마이너들이 공존한다. 게다가 매스컴을 비롯한 각종 문화적 산물들조차 메이저의 삶만을 비추어 주며 강조한다. 다수의 마이너들은 아이러니컬하게도 그러한 문화현상에 열렬히 호응한다. 이처럼 메이저들에 대한 동경은 열등감의 또 다른 표출로 이어진다. 이런 현상은 마이너들을 점점 더 깊은 소외 속으로 몰아간다.
마이너들이 메이저의 세계로 진출할 기회는 엄격히 차단되어 있음에도 사회는 모든 사람으로 하여금 메이저를 향해 우뚝 설 것을 강요한다. 이 소설은 바로 이러한 모순적인 사회 구조에 대해 항변하고 있는 듯하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려서부터 국가를 위해 목숨 바친 투사나 열사를 칭송하는 법을 배워 왔고 자라나는 어린아이들의 본보기로 수많은 위인전집의 인물들을 들추어냈으며, 굳이 그렇게까지 하지 않아도 훌륭한 사람이란 것이 무엇인지 충분히 깨달을 수 있을만한 사회적 분위기를 만들어내었다. 학벌, 권력, 돈으로 상징되는 메이저들의 삶에 편입되기 위한 젊은 세대들의 피눈물나는 발버둥은 지금도 계속 되어 가고 있고 각종 매스미디어의 발달과 더불어 이런 현상이 더욱 가속화 되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런 사회 현상으로 인해 수많은 낙오자가 생기게 되며 그들은 자신의 인생을 폄하하며 스스로 고립되어 가는 것이다.
'마이너리그'는 이처럼 고립된 다수의 마이너들을 위한 소설이다. 그럼에도 이 소설에서 마이너들의 극적인 성공담이나 좌절 극복의 본보기를 보여주려는 시도는 전혀 찾아볼 수가 없다. 이 글은 마이너들에게 바쳐진 희망과 포기하지 않는 삶에 대한 교훈담이 아니라 담담하게 마이너들의 삶을 반추해볼 수 있는 소설일 따름이다.
해학과 풍자가 넘쳐나는 어조와 농담 속에서 만수산 4인방의 진지한 삶의 의미 따위를 찾아내기란 쉽지 않다. 사실 ‘팝송’을 죽어라고 ‘팝숑’이라고 발음하면서도 국제팬팔부의 부장임을 자랑스럽게 여기며 커서는 어느 무명 사진작가의 조수노릇을 하면서도 허황된 해외 나들이의 꿈만 키우며 빚쟁이들을 응수하는 일이 고작인 조국이나 자신의 외모를 과신하며 방탕한 생활을 하다가 커서는 직장만 뻔질나게 바꾸어 대면서 정작 하는 일 없이 번번히 누나의 신세나 지는 배승주 따위의 인물은 독자들의 조롱감이 되기에 모자람이 없다. 이들이 마지막에 극적인 성공으로 졸부가 된다든가 유명인사가 된다는 설정도 이 소설에는 없다. 작가는 그저그런 삶의 이면을 그저그렇게 담담하게 보여주고 있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