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둑맞은 편지 문지 스펙트럼
에드가 앨런 포 지음, 김진경 옮김 / 문학과지성사 / 2018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포는 대체로 선정적이고 자극적이라는 이유로 고상하지 못한, 소위 말하는 B급 장르로 치부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거나 말거나 상업자본과 타협한 공포물은 그 선정성과 자극성을 십분 활용하여 대중의 일회성 구미를 만족시키는데 주저함이 없다. 문제는 이렇게 유발된 공포가 소모적일 뿐 아니라 피상적이라는 것이다. 공포를 유발하는 것에는 다양한 요소들이 있을 것인데, 이것들을 감각적인 측면에만 집중한다면 분명 책을 덮거나 영화관을 나올 때 즈음이면 한껏 고조되었던 감정들이 어떠한 잔상도 남기지 않고 사라져버릴 것이다. 그러나 어떤 공포물은 세월이 지나도 끊임없이 회자되고 소비된다. 그렇게 오늘날까지도 살아남은 대부분의 공포물은 그것이 오컬트이든 크리쳐든, 잔혹한 범죄이든 간에 인간에 대한 통찰이 기본적으로 깔려있다. 에드거 앨런 포의 소설들이 공포물로 분류되면서도 오늘날까지도 널리 읽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문지 스펙트럼 시리즈로 나온 포의 소설집 <도둑맞은 편지>안에는 동명의 단편 외에 '아몬티아도 술통', '어셔가의 몰락', '고자질하는 심장', '황금 풍뎅이'가 실려있다. 이 다섯 편의 소설은 각각 포의 여러 경향들을 대표하는 작품들로 알려져 있다. '도둑맞은 편지', '황금 풍뎅이' 등은 추리소설 계열이고, '아몬티아도 술통', '고자질하는 심장'은 일종의 범죄 소설, '어셔가의 몰락'은 고딕호러 소설의 성격을 갖는다. 고작 다섯 편의 단편이지만 오늘날 이와 같은 장르들에 꽤 많은 모티프를 가져다 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세련된 트릭이나 반전의 장치는 현대 소설에 비해 빈약할 수도 있다. 그러나 분위기와 속도감이 자아내는 긴장감은 현대 소설의 감각에 결코 뒤쳐지지 않는다. 서스펜스를 다루는 솜씨는 독보적이다. 각각의 단편 분량이 매우 짧음에도 처음부터 끝까지 긴장의 끊을 놓을 수 없게 한다. 이는 그가 공포의 대상보다 그 주체에 집중하기 때문이다. 그의 소설은 공포의 대상보다 인간의 의식과 심리를 더 강조한다.

이야기의 속도감도 또한 작품의 서스펜스를 높여준다. 그의 소설은 하나의 범죄나 사건의 내적 인과성에 집착하기 보다 그 사건 자체에 곧장 시선을 돌린다. 범죄를 둘러싼 배경에 긴 설명을 할애하기보다 이미 일어난 하나의 사건을 통해 상황을 설정하고 서둘러 문제 자체를 파고든다. 이후에는 인물들이 사건의 해결이든 범죄의 완성이든 하나의 목표를 향해 질주한다.

무엇보다도 작품 속 배경이 조성하는 분위기야말로 포의 소설들이 갖는 가장 큰 장점일 것이다. 배경 자체가 자아내는 그로테스크함과 파괴적이고 분열적인 인간성이 빚어내는 부조리는 공포를 감각적 차원에서 심연의 어떤 것으로 격상시킨다. 이는 딱 맞아 떨어지는 논리와 기막힌 반전, 혹은 시각적 자극으로 무장한 세련된 현대 공포물보다 더 오싹하다. 이는 어떤 기술보다 공포를 일으키는 정서에 대한 본질적인 이해에서 비롯된다. 구스 반 산트 감독이 리메이크한 영화 <싸이코>가 히치콕의 오리지널을 따라올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다. 포의 소설의 장점은 드러나는 기교나 감각이 아니라 심리와 정서를 파고드는 점에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