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필로소피 유니버스 - 29인 여성 철학자들이 세상에 던지는 물음
수키 핀 지음, 전혜란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22년 3월
평점 :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데카르트 ... 모두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철학자들이다.
그런데 이들에게는 철학자라는 공통점 말고도 또 다른 한 가지 공통저이 있다. 바로 남성이라는 사실이다.
남성 철학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기에 사람들은 철학을 떠올릴 때 여성 철학자가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다.
비주류라는 기울어진 운동장에서도 자신의 영역을 펼쳐나가는 여성 철학자들이 있다. 그들은 비주류이기에 남성 철학자들이 알지 못하는 차별과 피해 등 실질적인 영역에 자신의 철학을 정립해나간다. 바로 여성 철학자들의 글을 담은 《필로소피 유니버스》다.
《필로소피 유니버스》는 독일의 팟캐스트 <철학 한입>의 진행자 데이비드 에드먼즈와 나이절 워버턴이 만난 여성 철학자들과의 인터뷰를 한 권의 책으로 표현했다.
지금보다 더 노력하고 훨씬 급진적으로 생각해야 한다는 말이에요.
지금의 직장 구조가 남자는 밖에서 일하고 여자는 아이와 가정을 돌보던 그 시대에 만들어졌다는 걸 잊으면 안 돼요.
더욱이 지금의 일의 구조와 형태는 과거 남자들이 만들었어요.
선택에 있어서도 남녀가 서로 다르다면,
남자들이 만들어 놓은 지금의 구조 안에서
여자들에게 선택을 강요해서도 안 되요.
<남녀의 본질> 인터뷰에서 실용철학 명예교수인 재닛 래드클리프 리처즈는 남녀 생물학적인 차이를 논의한다.
남녀의 역할이 자연적으로 만들어졌으니 그에 따라야만 한다는 과거 가부장적 사고방식의 추종자들과 여성이 집안 일을 하도록 진화되었다는 진화론적 주장에 대해 재닛 래드클리프는 기존의 철학과 사고방식이 달라진 세계를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음을 강조한다. 남자들이 만들어 놓은 구조, 남자들이 세운 불평등 속에서 남녀 모두가 함께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급진적인 움직임이 필요하다.
사람은 천성적으로 자기 입장에서만 생각하려는 본성이 있다. 자신이 아닌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기는 어렵다. 더욱이 주류 남성이 비주류 여성의 입장에서 생각한다는 건 쉽지 않다. 그러므로 남자들은 <82년생 김지영>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한다. <82년생 김지영>의 아내가 아이를 가지기로 결심한 것이 인생이 바뀔 수도 있는 천지개벽하는 사건이라는 걸 남편은 느끼지 못한다. 남성들은 말한다. 여성들, 페미니스트들이 너무 급진적이라고. 심지어는 너무 나댄다고도 말한다. 하지만 그렇게 목소리를 높이지 않으면 이 구조가 절대 깨지지 않을 것임을 알기에 목소리를 높이고 때론 강경할 수 밖에 없음을 남성들은 알지 못한다.
분별할 줄 아는 눈이 생긴 피해자에게는 특수한 책임이 있어요.
불평등을 보다 확실히 감지하거나 느낄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책임이 생긴 거예요.
<구조된 피해자만이 알고 있는 것> 편의 정치철학 연구 교수 아쉬위니 바산타쿠마르는 '피해자의 책임'을 이야기한다. 누군가는 제목만 보면 '피해자 중심주의'가 되어야 하는데 왜 피해자에게 책임을 씌우느냐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아쉬우니 바산타쿠마르는 특별한 책임을 말한다. 바로 '자신이 당한 피해를 숨기지 말고 알려야 하는 책임'을 논한다. 피해를 숨긴다면 또 다른 피해를 불러올 수 있다. 고문이나 성폭력과 같은 피해는 당사자만이 느낄 수 있다. 힘들더라도 자신이 느낀 것을 알려야만 더 큰 피해를 막을 수 있으므로 구조된 피해자만이 알 수 있는 것을 말해야 함을 말한다.
나는 이 주장에서 위안부 할머니들을 생각했다. 그 분들 역시 자신이 당한 피해를 세계 곳곳에 알렸다. 아쉬우니 바산타쿠마르의 주장에 따르면 그 분들은 힘든 상황에서는 자신들의 특수한 책임을 온 몸을 다 바쳐서 수행해나가고 지켜나간다. 일본 또는 우익 세력은 위안부 할머니들이 그만 하면 되었다고 하지만 그 분들은 응당 자신의 책임을 지고 더 이상 우리 역사에 이런 만행이 일어나지 않기를 독촉하는 행위인 것이라는 걸 알게 된다.
이 외에도 《필로소피 유니버스》에는 전쟁, 혐오, 자유, 죽음 등 여러 주제를 다양하게 이야기한다. 이들의 인터뷰를 읽다 보면 오히려 남성 주류에서 느끼지 못한 실생활의 문제점들이 여성 철학자들의 대답에서 발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비주류이기에 소수의 삶 또는 다른 삶에 가까이 할 수 있었던 여성 철학자들. 우리의 문제와 더 가까이 다가와 있었기에 일반 철학책들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29명의 여성 철학자들에 이어 더 많은 여성 철학자들이 말할 수 있는 장이 열리길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