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프랑켄슈타인 (양장) ㅣ 앤의서재 여성작가 클래식 3
메리 셸리 지음, 김나연 옮김 / 앤의서재 / 2022년 3월
평점 :

메리 셀리의 고전 『프랑켄슈타인』 이 출판사 앤의 서재에서 '여성작가 클래식'으로 출간되었다.
1818년 처 출간된 『프랑켄슈타인』 으로 현대 과학기술에 대하여 경고등을 키는 이 책은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여전히 많은 이들에게 많은 독자들에게 읽히는 고전소설이다.
워낙 많이 알려진 책이고 영화화되었던 작품이기에 책의 내용을 모르는 사람은 많지 않다. 북극으로 항해를 떠난 로버터 월턴이 빅터 프랑켄슈타인을 만나고 그에게서 빅터가 만들어낸 창조물에 대해 들은 이야기를 다시 누이에게 편지로 전하는 형식이다.
새로운 존재를 만들어내고 싶은 인간의 욕망. 빅터의 욕망은 신의 영역을 침범하여 자신이 직접 새로운 인간을 창조한다. 인간의 신체를 연구하며 무생물에 생명을 불어넣는 능력을 깨우치며 빅터의 마음은 환희로 가득찬다. 하지만 오랜 시간 공들여 만들어낸 창조물은 창조자 빅터의 예상과 다르게 흉측한 모습의 괴물과 다름이 없었다.
자신의 뜻으로 만들어지지 않고 순전히 인간의 욕망으로 만들어진 존재이거늘, 만든 주인으로부터 버림받은 프랑켄슈타인. 그는 이유도 모른채 버림받고 자신을 받아줄 만한 착한 가족에게 선의를 기대하지만 그 가족에게 모습이 드러난 순간 혐오로 배척당한다.
소설 『프랑켄슈타인』을 들여다보면서 괴물 프랑켄슈타인과 주인 빅터의 관계를 곰곰히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
분명 빅터가 원해서 만들어낸 존재이지만 그는 자신이 만들어낸 결과물, 프랑켄슈타인에 대해 두려움과 혐오를 품고 한 존재에 대한 책임을 다하지 않고 도피를 택했다. 마지막 프랑켄슈타인이 원하는 함께 할 사람을 구해달라는 요청에도 거절한다. 그리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자신에게 돌아온다.
우리 인간의 기술. 인간의 모습은 어떠한가. 우리는 우리가 만들어내는 기술에 대해서 어떤 모습을 띠고 있는가.
AI로 많은 사람들이 일자리를 잃고 인간의 자리를 빠르게 대체한다. 현실은 AI가 할 수 없는 일을 하라고 경고를 날리기만 할 뿐이다. 우리가 만들어내는 기술이 과연 누구를 위한 것인가. 또는 우리는 그 기술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지는가. 프랑켄슈타인을 버리고 져버린 빅터의 모습이 바로 우리의 모습이 아닐까.
인간의 욕망 속에 태어난 프랑켄슈타인의 모습이 바로 우리의 모습인 것 같은 건 과학 기술로 분열되고 불안하고 더욱 외로워져가는 이 사회를 닮은 것 같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거절과 혐오 속에서도 끝까지 인간답게 살고 싶어했지만 거절당해서 결국 비참한 최후로 끝난 모습은 우리 속에 새로운 과학 기술 속에 서로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깨닫게 해준다. 지금도 이 세상에 수많은 프랑켄슈타인들이 있을 수 있음을 알려주며 우리가 새로운 과학 기술 앞에서 무엇이 중요한지 알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