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동 리그
주원규 지음 / 네오픽션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메이드 인 강남>의 저자 주원규 작가는 버닝썬 사건이 한참 시끄러울 때 그들의 추악한 민낯을 생생하게 보여주어 화제가 되었다. tvn 드라마 <아르곤> 집필과 OCN 드라마 <모두의 거짓말>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는 작가이다.

언제나 굵직한 소재를 가지고 글을 써온 주원규 작가의 신작 또한 굵직하다. 한국에서 가장 차갑고 뜨거운 공간. 검찰을 다룬 《서초동 리그》이다.


스쳐 지나가는 사람들의 무표정,

그 속에는 법의 부정적인 기운이 스며들어 있었다.


소설은 평검사 백동수가 부장검사 한동연의 비밀 호출을 받고 약속 장소에 가던 중 백동수 검사의 눈에 보인 서초동의 모습으로 시작한다. 무표정하고 살기 넘치는 곳. 정의의 여신이 아닌 부정적인 기운이 넘치는 곳. 법조계의 엘리트들만이 입성할 수 있는 서초동 검찰청의 풍경이다.

학연과 인맥 없이는 입성할 수 없는 대검찰청에서 지방대 졸업생에 가난한 집안 출신 백동수는 가뭄에 콩 나듯한 존재하며 변두리에 맴도는 검사이다. 아버지가 남긴 빚을 갚기 위해 죽기 살기로 공부하며 성공해 검사가 되었지만 인맥이 없는 그에게 성공의 동아줄은 잘 내려오지 않는다. 간신히 버텨오는 그에게 대검찰청 특수1부 소속 한동현 부장검사로부터 만나자는 연락이 온다.

누구나 짐작할 수 있듯, 검찰청의 실세인 부장검사가 일개 평검사를 만나자고 한 데에는 이유가 있기 마련이다. 백동수 또한 목적이 있음을 알고 왔건만 부장검사의 특명은 급이 다르다. 최근 정치인들에게 로비를 펼치던 모비딕 펀드를 운용해오던 사업가 박철균 대표의 자살을 김병민 총장과 연계하여 고발하라는 것.

즉 평범한 검사에 불과한 백동수에게 조직의 수장인 검찰총장을 고발하라니.

과연 있을 수 있는 일일까?

소설을 읽으면서 왜 저자가 《서초동 리그》라고 붙였는지 알 수 있다. '프리미엄 리그'처럼 대통령, 또는 다른 조직에서도 쉽게 건드릴 수 없는 난공불락의 성인 검찰청은 그야말로 그들만의 리그였다. 대통령조차 쉽게 손 댈 수 없는 그 안에서 자신들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법의 이름으로 권모술수를 펼치는 권력다툼을 읽다 보면 추리소설 못지않은 긴장감을 준다.

이 리그 안에는 의인도 없고 악인도 없다. 한 조직이지만 영원한 적도 없고 영원한 동지도 없다. 단지 줄을 잘 타고 자신의 자리를 지키면 된다. 그들의 성을 지키기만 하면 된다. 그들의 리그를 누군가에 의해서 방해받을 순 없다. 이 공간은 자신들만이 지배해야만 한다. 그래서 정치계나 언론이 말하는 '검찰개혁'도 자신들이 해야지 외부 세력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



검찰은 개혁되는 게 아니라

개혁을 말하고 시작하는 곳이어야만 한다는 게 그의 철학이었다.

그렇기에 개혁의 주체는 검찰 외부가 아니라 검찰 자신이어야 한다.


저자는 '작가의 말'에서 실화가 소설을 따라가지 못하는 세상이라고 말하면서도 이 소설은 결국 허구이며 검찰의 극히 일부임을 말하지 검찰의 실체는 아니라고 말한다. 하지만 이 소설을 읽으며 더 험한 그들의 세상을 생각하는 사람은 있어도 축소해서 생각하는 독자는 없을 것이다. 물론 저자의 말처럼 일부 검사의 이야기이고 소명을 가지고 열심히 하는 대다수의 검사가 있다. 하지만 저자의 말처럼 허구라고 믿기에는 우리는 너무 많은 검찰의 민낯을 언론을 통해 보아왔다.

가장 비밀스런 곳에서 자신들이 주전이기도 하면서 관객이기도 한 검찰들만의 리그를 그린 『서초동 리그』

법이라는 축구공을 가지고 경기를 하는 영원한 승자는 없는 살벌한 세계를 그린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