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을 까발린 영화감독 세르조 레오네
박홍규 지음 / 틈새의시간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탈리아 출신 영화감독 세르조 레오네를 아냐고 묻는다면 모른다고 답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영화 <황야의 무법자> , <좋은 놈, 나쁜 놈, 추한 놈>, <석양의 무법자>, <옛날 옛적 미국> 등의 영화를 모르는 사람들은 많지 않다. 설사 보지는 않았어도 한 번쯤 들어본 영화 제목일 만큼 할리우드 영화에서 한 획을 그은 작품들이다. 그리고 이 작품들은 모두 세르조 레오네라는 감독 아래 만들어진 작품들이다.

미국 할리우드에서 명성을 떨친 세르조 레오네이지만 그의 출신은 이탈리아다. 세르조 레오네는 파시즘이 횡횡하던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영화계에서 일했던 아버지와 영화계에서 은퇴한 어머니에게서 태어났다. 2차 세계대전을 말하지 않고는 세르조 레오네를 말할 수 없다. 그가 이 시절에 겪은 일들이 후에 그의 작품에 반영되기 때문이다.

미군이 파시즘과 나치와 다를 것이라고 생각했던 세르조 레오네는 이탈리아가 미군에 항복하고 미군의 점령 안에 거할 때 달라질 거라고 기대했다. 하지만 세르조 레오네가 목격한 미군의 현실은 독일군과 다르지 않은 다만 전승국의 군인이었다는 점뿐이며 아메리칸 드림이 얼마나 허무한 것인지를 깨닫게 된다. 미국에 대한 실망은 후에 그의 서부극에서 중요햔 영향을 미치게 된다.

《미국을 까발린 영화감독 세르조 레오네》라는 제목답게 이 책은 영화 감독 세르조 레오네의 작품 속에 미국 강대국에 대한 비판이 어떤 식으로 자세하게 소개해준다. 남북전쟁 때 세 명의 악당이 보물을 찾는다는 설정의 영화 <좋은 놈, 나쁜 놈, 추한 놈>에서 세르조 레오네는 '좋은 놈, 나쁜 놈, 추한 놈'이라는 구별은 근원적인 면에서 존재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나쁜 놈이 이타적인 행동을 하고 추한 놈이 훌륭한 인물일 수도 있음을 말하는 그의 영화의 밑바탕에는 '미국이 폭력 위에 세워졌다'는 미국의 허울을 폭로하며 남북전쟁을 비판한다.

저자가 설명해 주는 세르조 레오네의 이야기를 읽다보면 그의 작품을 단순히 서부극으로만 보았던 시각이 달라짐을 느낄 수 있다. 아는 만큼 보인다라는 말처럼 세르조 레오네의 작품을 더 풍성하게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 역할을 해 준다. 이탈리아 출신이며 미국을 거침없이 까발리면서도 할리우드에서 명성을 포기하지 않은 독특한 이력의 세르조 레오네의 작품과 함께 들여다보는 그의 세계를 더 깊이 알 수 있도록 도와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