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철학하는 여자, 소크라테스만 철학입니까
황미옥 지음 / 더로드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보통 철학을 어렵게 생각한다. 더욱이 생각하는 삶을 멈춘 요즘은 철학은 더욱 요원한 과제이다.

『소크라테스만 철학입니까』의 저자 황미옥씨는 현직 경찰이자 현재 육아휴직인 우리와 같은 평범한 시민이다.

하지만 저자는 '일상' 속에서 철학을 하는 법을 알려주고자 이 책을 집필했다.

나는 누구인가?

내가 알고 있는 그 사람이 맞을까?

이 질문은 나를 움직인다. 과거가 아닌 현재를 움직인다.

내가 원하는 삶으로 하루를 채운다.


저자의 질문은 크게 시작하지 않는다. 바로 가장 중요한 '나 자신'으로부터 시작한다.

집에서의 나와 직장에서의 내가 같은지, 아니면 그냥 자기 자신으로서의 나와 엄마가 된 나가 같은지 질문한다.

지금의 상황에 비추어 나 자신을 생각하고 행동하는 것. 그 직은 질문들이 쌓이고 쌓여 삶을 바꾸고 지금의 저자를 만들었다. 많은 사람들, 특히 나와 같은 사람은 하루를 일어나면 어떻게 버티어갈까만을 생각한다. 하지만 우리 안에 나를 향한 질문을 시작하며 그 질문에 답을 해 나갈때 비로소 자신이 원하는 하루가 시작될 수 있다.

다른 무엇보다 독서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나에 대한 꺠달음이 된다. 코로나 여파로 늘어나는 집안일과 회사일 병행으로 번아웃이 된 내게는 끊이지 않는 고민이 있다. 책읽기나 공부보다 그냥 편하게 쉬자. 어차피 삶은 변하지 않는 것 같다는 회의감이 나를 억누른다. 저자는 자신만의 읽고 쓰는 법에 대해 설명해준다. 무엇보다 가장 나를 놀라게 했던 것은 "독서목표"였다. 나의 경우 쉽고 몰입이 좋은 소설책 위주였다. 하지만 저자는 독서목표를 잡고 그에 맞춰 책정리를 해가고 책을 읽고 실천해갔다. 그리고 모두 읽으려고 하기보다 마음에 와 닿는 단 한 문장으로 만족한다는 점이다. 재독하거나 또는 한 작가의 다양한 책을 읽으며 생각의 고리를 연결해나가는 법을 터득해갔다.

과연 나는 목표가 있는 독서였나? 나의 독서는 나의 삶에 어떤 자취를 남겼나. 목적이 있는 독서였나 아니면 즐기기 위한 독서였나를 진지하게 고민하게 한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정답은 없다.

책을 통해 꾸준히 삶의 힌트를 발견하여 적용해보고

나와 맞는 것을 찾아간다.

비울 것은 비우고 채울 것은 채워간다.


책 곳곳에서는 읽고 생각하고 실천하는 작가의 이야기가 곳곳에 담긴다. 작가의 생각의 원천은 멀리 있지 않다.

바로 우리의 일상이었다. 생각하기 위해 매일 읽고 적고 실천하는 걸 게을리 하지 않는다. 생각하는 일상이 또 다른 생각을 물고 또 다른 일상을 만들어낸다. 저자는 그 일상 속의 철학하는 방법을 이야기하며 함께 실천해나가도록 권한다.

읽고 실천하는 저자이니만큼 이 책 속에 저자가 읽은 책들의 목록을 읽는 것으로도 많은 도움이 될 듯하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건 바로 실행력이라는 걸 저자는 잊지 않는다. 무기력했던 나에게 이 책은 다시 일어날 수 있도록 손을 내밀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