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트] 문명 1~2 - 전2권 고양이 시리즈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베르나르 베르베르. 말이 필요없는 작가이다. <개미>, <나무>, <신> 그 외에 수많은 책들을 펴내는 그는 자신만의 세계로 독자들을 인도하는 작가이다. 사실 나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유명세와 작품등은 많이 들어보았지만 그의 작품은 그의 신작 『문명』으로 처음 접했다. 이 신간의 주제가 고양이의 시각으로 그려진 인간과 인류 문명을 고찰하는 시점에서 그의 작품에 대한 호기심이 커서 용기를 내 책을 읽게 되었다.



『문명』은 전지적 고양이 시점이다. 프랑스 몽마르트에서 살고 있는 암컷 고양이 바스테트의 시각에서 펼쳐지는 소설이다. 자신을 키우는 인간 나탈리를 반려 집사라고 부르며 인간의 손의 관절을 보면서 놀라움을 표하면서 그는 인간을 유심히 관찰한다. 나탈리의 따뜻한 보살핌을 받지만 고양이 바스테트는 인간이 어리석다고 생각한다.

인류가 스스로 몰락해가는 과정 속에 고양이 시점으로 바라보았을 때 가장 큰 원인은 인간이었다.

같은 동족끼리 서로 싸우고 죽이고 비난하기를 두려워하지 않는 존재. 서로의 몰락을 자초하는 인간이기에 그는 인간들이 글을 쓰고 읽을 줄 아는 것 이외에는 부러울 것도 없고 대단할 것도 없는 어리석은 존재들일 뿐이었다.

인간들끼리 서로 싸우고 전염병이 돌며 인간과 문명은 위기를 맞는다. 시체가 썩어나고 지구의 종말을 고하는 듯한 이 위기에 인간과 다르게 번성하는 종자가 있다. 고양이의 천적 "쥐"는 빠른 번식력으로 인간을 위협하며 파리를 자신들의 거주지로 변모시킨다. 쥐들에게 마냥 당할 수만은 없는 일. 파스테르는 실험묘인 피타고라스와 대통령의 반려묘였던 볼프강 등 동료 고댱이들과 함께 인간들과 쥐를 막아낼 준비를 한다. 시테섬으로 거주지를 옮겨 쥐들의 공격을 막아내지만 실험쥐 출신인 티무르의 수하 아래 있는 쥐들의 공격은 그들을 궁지에 몰아넣는다.

『문명』을 고양이 바스테르의 시점에서 인간을 바라보면서 과연 인간은 위대한 존재인가? 라는 한 가지 질문에 봉착하게 된다. 특히 고양이들이 만난 돼지들이 인간의 야만성을 폭로하는 장면에서는 과연 우리가 동물들에게 야만성을 대할 정당성을 확보한 존재들인가?

고양이 바스테르는 인류 문명이 위험에 처하고 고양이들의 문명을 건설하려는 꿈이 있는 존재이다.

바스테르의 반려 집사인 나탈리는 문명을 만들기 위해서는 "유머와 예술, 그리고 사랑"이 있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과연 인간은 이 세가지를 다 갖추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 특히 바스테르의 시점에서 인간은 서로 싸우고 죽이는 존재인데 과연 바스테르는 이를 납득할 수 있을까?

소설은 새로운 위기를 맞이하면서 끝이 난다. 인간과 고양이들이 과연 어떤 운명을 맞게 될지, 쥐들의 공격을 어떻게 막아낼 것인지 그리고 바스테르는 자신의 꿈인 고양이 문명을 이룰 수 있을 것인지, 그렇다면 인간과 인간 문명은 어떻게 될 것인지 다음 3권에서 알 수 있게 될 듯하다. 아직 이야기는 끝이 나지 않았지만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독자들에게 말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확실히 알 수 있는 작품이다. 무엇보다 코로나로 모든 세계가 멈춘 듯한 이 때, 이 모든 원인을 외부가 아닌 바로 우리 인간으로부터 시작해야 함을 말해주는 듯해 매우 의미심장한 소설이었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