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있던 자리에
니나 라쿠르 지음, 임슬애 옮김 / 든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있던 자리에』 소설을 읽으며 떠오르는 소설이 있다.

최근 읽었던 《하늘은 어디에나 있어》라는 소설이다. 두 소설 모두 갑작스런 지인의 사망 후 일상을 담는다. 『하늘은 어디에나 있어』가 사랑하는 친언니였다면 『우리가 있던 자리에』는 절친이었던 잉그리드의 죽음으로 시작한다.

가족이든 친구이든 성인에게도 어려운 준비되지 않은 이별... 하물며 가장 밝은 미래를 꿈꿨던 친구가 자살을 했다면 그 충격은 더욱 큰 아픔일 것이다.


소설은 친구를 잃은 후 일상으로 돌아온 케이틀린이 학교에 돌아오면서부터 시작된다. 케이틀린의 부모님은 딸이 잘못될까 노심초사하며 딸에게 애써 웃으며 관심을 놓지 못한다. 부모님의 마음을 알지만 케이틀린에게 슬픔은 현재진행형이다. 친구 잉그리드와 함께 듣던 사진반 델라니 선생님도 자신에게 관심이 없는 듯하고 친구들 또한 잉그리드의 죽음을 벗어나 모두 일상으로 돌아온 것만 같다. 함꼐 이야기하고 웃으며 일상을 나누던 친구의 영원한 부재. 그 부재의 슬픔이 십대들의 느낌으로 잘 표현되어 있다.




『우리가 있던 자리에』는 케이틀린이 죽은 친구 잉그리드의 일기장을 읽게 되며 자신도 몰랐던 잉그리드의 진실. 그리고 잉그리드의 빈자리를 채워줄 새로운 친구 딜런이 오면서 이 둘의 이야기가 나란히 전개된다. 하지만 잉그리드의 일가장과 새로운 친구 딜런은 연장선상에 있지 않다. 케이틀린은 일기장은 잉그리드와 비로소 작별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하고 딜런은 케이틀린이 현재를 새롭게 시작하는 역할을 해 준다.


소설을 읽으며 나는 세월호 유가족들이 떠올랐다. 바다에 자녀와 가족을 잃고 슬퍼하는 유가족들은 슬픔에 매몰되지 않고 또 다른 재난 유가족들을 찾아가 위로해주었다. 세월호 유가족들이 자신의 슬픔에 매몰되기보다 다른 피해 현장에 찾아가 그들을 안으며 했던 메세지는 한 가지였다.


"당신들이 얼마나 힘든지 알고 있어요."

"우리가 함께 해 줄게요."

"당신은 혼자가 아닙니다."


『우리가 있던 자리에』 또한 마찬가지였다. 자신 혼자 친구를 잃은 슬픔을 감당하고 있다고 생각한 케이틀린은 시간이 흐르며 모두 각자의 방식으로 사랑했던 친구 잉그리드를 애도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특히 잉그리드만을 아낀다고 생각했던 델라니 선생님마저 방법을 잘 몰랐을 뿐 케이틀린처럼 똑같이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아픔을 통과하는 사람이란 걸 알게 된다. 그렇게 모두 슬픔을 나누고 이야기하며 애도의 시간을 지난 후 케이틀린과 친구들은 친구 잉그리드와 아름다운 작별을 하게 된다.



《하늘은 어디에나 있어》에서 주인공이 앞으로 나아가는 매개체가 음악이었다면 이 소설은 가족과 친구들의 힘이 유난히 돋보이는 소설이다. 어느 글에서 긴 애도의 시간을 충분히 거쳐야 비로소 상실의 아픔을 극복할 수 있다는 글을 읽었다. 이 소설은 십대 케이틀린이 친구와 가족의 사랑으로 애도의 시간을 서서히 통과해 나가는 소설이다. 그리고 새로운 친구 딜런이 퀴어라는 사실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모습 또한 인상적이었다. 애도의 아픔에서 벗어나는 건 결국 혼자가 아니라는 것. 곁에 있어주며 함께 통과하는 것임을 보여준 소설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