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까짓, 집 - 없으면 안 되나요? 이까짓 2
써니사이드업 지음 / 봄름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생부터 지금까지 내 집을 가져본 적이 없다. 대학생때는 기숙사와 닭장촌이라 불렀던 방 한 칸짜리 방에서 자취생활을 했고 취업 후부터 지금까지 전세 생활을 계속하고 있다. 나도 남편도 은행님에게 대출을 최대한 자제하고자 과감한 내 집 마련 대출을 못 하고 한 집에서 7년 째 전세 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이까짓, 집』 이라는 표지와 함께 작은 글씨로 '없으면 안 되나요?"라는 문구에 귀여운 그림은 자가 소유가 없어도 씩씩한 저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하지만 책을 막상 펼쳐보면 현실에서 집을 찾으러 다니며 정착하기까지가 결코 녹록하지 않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저자 써니사이드업은 유년 시절, 그리고 청소년 시절, 독립 후 잠시 머물던 공간에서 결혼하여 지금까지 떠돌아다니던 방랑기를 유머러스하게 펼쳐나간다. 마치 지금 생각해보면 아무 일도 아니었다는 듯 이야기한다. 하지만 전세를 구하기 위해 방랑하는 전세유목민들은 알 수 있다. 좋은 전세 구하기가 과연 하늘에 별 따기라는 걸.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사장님일 수 있는 남편과 달리,

믹스 커피를 들이켜 가며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썼던 밤이 무색하게도

부동산 중개인에게 나는 '사모님'이거나 '아줌마'이거나 '저기요'였다.


이 책에서 저자가 소개하는 집에 얽힌 이야기들 증 공감이 가는 사연들 중 가장 공감이 가는 부분이라면 바로 여자인 저자 혼자만 방을 구하러 갔을 때와 남편과 함께 혹은 남편 혼자 방을 구하러 갈 때의 부동산 중개인의 달라지는 태도이다. 즉 미혼 여성과 남성을 대하는 태도가 방을 구하는 데에서도 차별된다는 점이다.

똑같은 조건으로 방을 구해도 여성인 저자에게는 전화번호만 받아놓고 가르는 둥, 또는 XX 조건 구하는 사람이라는 둥 장난삼아 대한다. 하지만 남편과 함께 갈 때는 '사모님'이라고 존대하고, 남편만 갔을 경우에는 동일한 조건임에도 자신에게는 결코 보여주지 않던 방을 보여준다. 같은 조건임에도 남자와 여자를 차별하며 대하는 뼛 속 깊은 태도는 매번 저자를 힘들게 했다.

나의 경우 결혼 전에는 친오빠와 함께 살았고 결혼 후에는 남편이 혼자 부동산을 돌아다닌 경우이기에 이러한 차별을 받은 경우는 없었다. 하지만 나와 친한 지인 중 미혼으로 지내고 있는 언니가 내게 해 준 말들이 떠올랐다. 그 언니는 방을 보러 다닐 때 절대 혼자 다니지 않고 가까이에 있는 큰아버지와 함께 동행한다고 했다. 자신이 많이 다녀보았지만 항상 무시하는 태도에 기분이 상했고 큰아버지가 곁에 있다는 것만으로도 태도가 바뀌었다고 말했다. 같은 고객이지만 손님을 가려 받고 여자를 경제적인 주체로 잘 인정해 주지 않는 사회의 악습이 아직까지 계속되고 있다는 사실에 화가 났다.


남편과 내가 사는 우리집이 내 기억 속 우리집과 같아지려면

더 많은 사랑이 필요하다.

놀이터에서 신나게 놀다가 때가 되면 집으로 돌아가던 우리가,

이제 스스로 엄마가 되어 서로를 맞아주어야 한다.

그렇게 상실감으로부터 독립한다.

돌아가고 싶은 우리집이 된다.


부부가 결혼 후 함께 살게 된 집이 진정 자기 집으로 여겨지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이 필요할까?

저자는 결혼 후 2년 동안 '우리집'은 친정 본가였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 마음에 남편이 섭섭한 마음을 표현해냈다고 말한다. 생각해보면 나 역시 그랬다. 특히 신혼초, 다툼이 많았던 때에는 지금 이 집이 내 집이라고 생각했던 때가 드물었다. 온전한 우리집이 되기 위해서 더욱 많은 희생과 양보가 필요하다는 것을 조금씩 알아간다. '우리집'이 되는 건 노력이 필요하다. 만들어 가는 것이다.

이제 대출이 없이는 집을 구하기 힘든 시대가 되었다. 나 역시 치솟아오르는 집값을 감당할 수 있을까 두렵다. 은행님 집이라는 둥, 방 하나만 우리 집이라는 우스개 소리는 이제 흔한 말이 되어버렸다. 전세유목민에게 2년은 어찌나 이리 빨리 다가오는지. 그럼에도 느슨하게 즐겁게 살아가고자 하는 저자의 글에 같은 유목민으로서 공감과 함께 저자의 웃픈 현실을 유쾌하게 풀어나가는 글에 위로도 함께 받는다.

그래도 저자님.... 이까짓, 집 없으면 안 되나요? 라고 묻지만... 그래도 있는 게 좋지 않을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