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은 어디에나 있어
잰디 넬슨 지음, 이민희 옮김 / 밝은세상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이들에게 사람들은 말한다.

산 사람은 살아야 하지 않겠느냐고. 그러니 기운 차리라고. 맞는 말이다.

하지만 준비된 죽음이 아닌, 갑작스레 사랑하는 이를 떠나보낸 이들에게는 더욱 어려운 일이다.

어떤 준비도 없이 누군가가 옆에 없다는 건 견딜 수 없는 아픔이다.

영미장편소설 『하늘은 어디에나 있어』는 그런 가족을 배경으로 한다. 할머니와 언니 베일리, 마리화나 골초인 빅 삼촌과 함께 사는 레니는 언니 베일리가 연극 공연 중 갑작스런 부정맥 발생으로 언니를 떠나보낸다.

언니 베일리와 우애가 깊었던 레니. 그리고 할머니와 빅 삼촌은 깊은 슬픔에 잠기지만 끝까지 슬픔에 침몰할 수는 없다. 할머니는 집을 돌보고 레니는 다시 학교로 돌아간다. 이들은 과연 현실에 잘 적응할 수 있을까?

소설의 특징은 열 일곱 레니가 언니를 잃고 학교로 돌아오며 상실의 슬픔과 현실의 격차를 통과하는 장면이다. 어른들에게조차 힘든 상실은 십대인 레니에게는 더욱 버겁다. 학교에서 혈기왕성한 친구들과 살아가면서 그리고 슬픔에 빠져 지내는 와중에 레니에게 다가온 언니의 전남친 토비와 새로운 남사친 조 폰테인의 등장은 레니의 마음을 수십번 혼란스럽게 한다. 언니를 잃어 여전히 슬프지만 설레는 감정 또한 멈출 수 없다. 이게 맞는 걸까? 레니는 마음이 복잡해진다. 아직 어린 레니에게는 참 힘든 일이다.

복잡한 레니의 마음과 토비와 조의 새로운 관계는 음악과 자연 풍경과 함께 어울러진다. 자연과 함께 클라리넷을 연주하는 모습, 나무에 올라가 있는 레니와 숲 속의 침대에서 데이트하는 레니와 조의 모습은 더욱 풋풋함을 자아낸다.



『하늘은 어디에나 있어』에서 후반부에 할머니는 자신에게 마음의 곁을 주지 않는 손녀 레니에게 울분을 토한다.

자신 역시 슬픔에서 빠져나오지 못했으며 누군가가 필요하다고 소리치고 싶다고 말한다. 이제서야 슬퍼하는 사람이 자신만이 아니라는 걸 안 레니가 할머니에게 제시한 방법은 마음 속에 있는 슬픔을 참지 말고 분출하는 것이었다.

종이를 오리고 찢어 표현하므로 비로소 이들은 애도란 슬픔을 담담히 통과하며 삶을 살아나가는 거라는 걸 알게 된다. 애도란 슬퍼할 때 슬퍼하고 기뻐할 때 기뻐하며 살아갈 때 비로소 애도의 강을 건널 수 있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감정에 솔직해지고 음악을 다시 시작해도 된다고. 그것이 결코 세상을 떠난 언니를 잊는 건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소설의 중심은 언니의 죽음이지만 언니의 죽음에 너무 매몰되지 않는다. 할머니의 정원, 조와 레니의 데이트 장소인 숲 속, 클라리넷과 기타의 연주 등 음악과 자연의 하모니가 함께 어우러지며 풋풋함을 자아낸다.

행복할 수 있는 방법도, 애도하는 방법도 한 가지만 있는 게 아니다. 바로 어디에나 있다. 하늘이 어디에나 있는 것처럼.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