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평범하지만 특별하게 살랍니다 - 12명의 북한이탈주민 이야기
프로젝트 지음 지음 / 박영사 / 2021년 2월
평점 :

『평범하지만 특별하게 살랍니다』라는 제목만을 보아서는 그냥 모든 사람들의 바램같다. 평범하지만 특별하게 살고 싶은 바램. 모두 있지 않을까? 이게 무슨 대수냐고 반문할 수 있다. 하지만 이 말을 하는 주체가 탈북민들이라면? 그렇다면 이야기가 다르다. 이 한국 사회에서 북한이탈주민들은 평범하지만 결코 평범하게 받아들여지지 않는, 외국인들보다 더 특별하게 받아들여지는 존재들이다. 그래서 평범하고 싶다는 이야기는 더욱 절실하게 들려온다.
『평범하지만 특별하게 살랍니다』는 12명의 북한이탈주민이 쓴 그들의 이야기다. 소셜벤쳐대학동아리 인액터스연세의 프로젝트 그룹 지음은 북한이탈주민이 한국 사회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기획된 프로젝트이다. 이들이 한국에정착 후 한 '개인'으로 어떻게 살아오고 있는지를 담은 에세이다.
12명의 저자들이 펼쳐내는 북한의 추억은 우리가 아는 것과 그리 다르지 않다. 김일성, 김정일 부자를 찬양하고 경제난이 심각한 사회. 공부를 잘 해 일류학교에 들어갔지만 계급의 차이로 끝내 일반학교로 전학하게 되는 이야기 등 저자들이 전해주는 그들의 고향은 아픔으로 때로는 친구들과의 추억으로 그려져있다. 이들이 왜 탈북하게 되었는지는 자세하게 밝히지 않는다. 아마 이들 대부분이 북한에 남겨진 가족이 있기 때문에 가족에게 미칠 후폭풍을 우려해서 의도적으로 밝히지 않았으리라 생각된다.
놀랐던 건 남한에 있는 가족과 통화하고 남한에 무사히 정착한 후에도 북한에 있는 아버지와 통화할 수 있다는 사실이 놀라웠다. 남한과 북한간에 소통할 수 있다는 사실은 이 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된 사실이었다. 앞서 말했듯, 간단하게 표현된 이들의 이야기는 더 알고 싶은 목마름으로 다가온다.
죽음을 각오하고 탈북에 성공하여 한국에 정착한 후, 그들은 자신들의 고민과 생활을 솔직하게 풀어놓는다. 영어공부, 주변의 시선, 북한 말투로 인해 받는 사람들의 시선 등. 그냥 평범한 사람으로 동화되고 싶지만 피할 수 없는 관문이었다. 때로는 북한 이탈 주민이라는 이유로 일자리에서 제외되는 차별을 받기도 하지만 결국 그들이 택한 삶의 방식은 자신들의 고향을 인정하고 자신의 현실을 당당하게 마주하는 것이었다.
북한에서 왔다는 사실을 숨기기보다 솔직하게 드러내고 그 북한에서의 경험을 유튜버로 펼쳐내기도 하는 저자도 있고 새로 연기를 배우게 되우며 제2의 삶을 도약하는 저자도 있다. 이 사회의 평범한 사람으로 살아가되 자신의 인생을 특별하게 살아내겠다는 그들의 다짐이 이 책 속에서 빛이 난다.
『평범하지만 특별하게 살랍니다』는 이제서야 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그들의 이야기다. 한국 사회는 그들에게 편견을 가지고 대하며 알려고 하지 않았다. 그래서 이 프로젝트가 시작되었을 떄 100명이 넘는 목소리가 자신들의 이야기를 말하기 시작했고 이렇게 책으로 출간되기에 이르렀다. 가족과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간직한 채 한국인으로 삶을 살아가는 그들을 우리는 과연 어떠한 모습으로 바라보고 있었나를 생각하게 한다. 그리고 이제 우리도 순수하게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달라고 요청하는 에세이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