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 모든 사람을 위한, 그리고 그 누구를 위한 것도 아닌 책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이진우 옮김 / 휴머니스트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 니체의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책을 읽지 않는 사람이라도, 철학에 문외한인 사람이라도 이름은 들어보았을만한 유명한 작품이다. 니체가 자신의 대표작이라고 할 만한 이 거대한 책은 부제조차 찬란하다. '모든 사람을 위한, 그리고 그 누구를 위한 것도 아닌 책'이라니. 사실 나는 니체를 은유 작가를 통해 알았다. 은유 작가의 필명은 바로 니체의 책 속의 많은 은유를 보고 '은유'라는 이름으로 집필 활동을 한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은유 작가의 작품에는 수많은 니체의 이야기들이 나온다. 그래서 궁금했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에게 이토록 극찬을 듣는 철학자라니. 같은 작품을 읽고 나눠보고 싶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실패였다. 은유 작가는 인터뷰에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수많은 은유와 비유가 가득한 책이라고 말했다. 맞다. 사실 신은 죽었다고 말한 니체의 사상을 제대로 알지도 못한 상황에서 전문가들에게도 난해하기로 유명한 이 작품이 은유 작가와 동일한 감동으로 다가올 리 없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차라투스트라라는 사람이 두 번의 하산과 두 번의 귀향을 가고 다시 동굴을 떠나는 여정이다. 이 여정 속에 차라투스트라는 인생을 논한다. 니체의 철학을 담고 있지만 차라투스트라라는 인간을 통해 삶을 논하는지라 민음사에서는 철학이 아닌 세계문학전집에 포함시켰다. 소설도 철학 이론서도 아닌 독특한 문체로 쓰인 이 책은 나를 몇 번이나 좌절시키킨다. 이 난해함 속에 내게 다가왔던 문장을 꼽는다면 벗에 대하여 부분이다.


그대는 노예인가?

그렇다면 그대는 벗이 될 수 없다.

그대는 폭군인가?

그렇다면 그대는 벗을 가질 수 없다.


이 문장 속에 나는 어느 것에 종속되어 있고 독립적으로 살아가지 못하는 사람은 누군가의 벗이 될 수 없다고 받아들였다. 좋은 벗은 누군가로부터 영향을 받거나 따라가는 것이 아닌 인격적으로 독립된 사람만이 좋은 벗이 될 수 있다고 니체는 말한 것이 아닐까 생각했다. 니체는 또한 여인은 우정을 맺을 능력이 없다고 말했다. 왜 니체가 그렇게 말했을까? 아마 그 당시에는 여성이 남성의 소유물이라고 여겨졌던 시대의 영향이 있지 않았을까?

니체는 신은 죽었다고 말한 철학자로 유명하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도 신의 죽음을 거론한다. 하지만 신은 조물주, 종교에서 말하는 신이 맞을까?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하다. 먼저 니체는 신은 인간들이 필요로 해서 만들어낸 존재라고 말한다. 그리고 인간들이 필요가 없어진 후 신을 죽였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신은 인간들이 의지하는 신이 맞기도 하지만 인간의 필요로 만들어진 모든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그리고 신을 죽인 건 인간들이라는 점은 매우 의미심장하게 다가온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영원회귀>는 이 책의 가장 중요한 사상이다. 동일한 삶이 되풀이된다고 말하는 니체의 사상은 사후에 더 나은 곳이 아닌 지금의 삶이 되풀이한다고 말한다. 그러므로 사람들에게 호소한다. 어떤 삶을 선택할 것이냐고. 니체는 지금 이 순간이 되풀이되므로 이 순간을 충실하게 생활하고 활동할 것을 강조한다.

지금 이렇게 서평을 쓰지만 이 책은 니체의 삶과 사상을 충분히 이해한 후 읽어야 함을 절실하게 느낀다. 무모하게 읽기 시작한 이 책을 다음에는 니체의 사상을 공부하며 병행하며 읽어나가고 싶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지원받아 읽고 솔직하게 쓴 리뷰입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