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남중국해, 힘과 힘이 맞서다 - 교역의 중심, 동·남중국해를 둘러싼 패권 전쟁 ㅣ 메디치 WEA 총서 10
마이클 타이 지음, 한승동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20년 11월
평점 :

보통 국가간의 해양, 영토 분쟁을 겪고 있는 나라들의 실태를 보면 짧은 시간에 생긴 문제가 아닌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문제가 대부분인 경우가 많다. 그래서 단편적으로 본다면 절대 나라간의 분쟁을 이해할 수 없다. 『동·남 중국해, 힘과 힘이 맞서다』의 저자 마이클 타이는 그 점에 착안하여 중국과 그 이웃 나라간의 긴 역사를 거슬러 올라간다. 처음 중국과 관계를 맺기 전부터 시작하여 세계 대전과 식민지배를 통한 열강과의 관계 등을 자세히 고찰하며 왜 이 분쟁으로 갈 수 밖에 없었는지를 알려 주는 책이다.
지역 역사를 좀 더 확실하게 파악하는 것이 변화를 이해하는 데 필요하다.
이 책은 중국과 이웃 국가들의 관계사를 살펴봄으로써
중국의 정치문화와 대외 정책을 조명해보는 것이 목표다.
. 『동·남 중국해, 힘과 힘이 맞서다』는 일본을 제외하고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류큐 왕국 (오키나와), 베트남, 필리핀, 말레이시아의 역사를 재조명한다. 한국의 세계사가 주로 중국, 일본, 미국 등 관련 있는 국가 위주로 잘 알지 못했던 다른 아시아 국가들의 역사들을 알 수 있게 해 주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
저자는 이 아시아 국가들의 역사를 중국을 기점으로 설명해간다. 일본이 중국과 언제 교역이 시작되었으며 발전되어갔는지, 필리핀에 어떻게 중국인 메스티소들이 주요 세력으로 자리잡고 역사에 어떤 의미를 가져오게 했는지 등 으로 중국과 이웃 국가간의 관계 변화를 설명한다.
내가 그동안 알지 못했던 역사들 또한 이 책에서 처음 알 수 있었던 건 바로 중국의 조공제도이다. 예로부토 조선은 중국에 꾸준히 조공을 바치는 것으로 알고 있던 내게 저자 마이클 타이는 조공제도에 대해 전혀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준다. 만약 이 조공제도가 정말 유연한 제도였다면 과연 조선의 조공 또한 과연 필요에 따라 결정할 수 있었을까라는 강한 의문점을 낳는다.

『동·남 중국해, 힘과 힘이 맞서다』에서는 중국을 중심으로 쓰여졌지만 세계 대전과 미국과 유럽 열강에 대한 식민지였던 아시아 국가의 특징으로 영국, 미국, 프랑스, 포르투칼 등과 중국의 관계 등을 자세히 알 수 있게 해 준다. 오키나와, (류큐 왕국)이 왜 일본 내에 그토록 많은 미군 기지가 있는지, 그리고 오키나와와 일본 본토의 갈등의 골 또한 자세히 짚어 준다. 그동안 알지 못했던 미묘한 국제 관계들을 역사의 흐름에 따라 자세히 알 수 있어 나와 같이 이웃 국가들의 세계사에 무지한 독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듯하다.
저자는 이웃나라의 역사를 통해 중국의 대외 정책을 알아야 한다고 생각했다. 이 책은 중국과 이웃 나라의 역사를 함께 조명해 감으로 영토 분쟁의 역사를 폭넓게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하지만 그 갈등의 답을 찾아가는 건 결코 쉽지 않다. 이 역사는 중국만의 역사가 아닌 유럽 국가들의 역사가 함께 얽혀 누적되었기 떄문이다. 유럽 열강들이 얽혀버린 이 고리를 과연 풀 수 있을까? 그건 앞으로 지켜봐야 할 것이다.
. 『동·남 중국해, 힘과 힘이 맞서다』는 비록 명쾌한 해답을 주지 못하지만 아시아 국가들이 지금에 이르기까지의 역사를 깊게 조명해주는 데 매우 탁월하다. 비록 중국을 기준으로 쓰여진 세계사이지만 적어도 왜 필리핀, 베트남 등 의 현재가 형성될 수 있었는지를 알게 하는데 도움이 된다.
다만 중국과 밀접한 관계인 한국은 자세히 조명되지 않는데 번역가 한승동님은 옮긴이의 말에서 이는 중국과 영토 분쟁을 겪고 있는 나라를 기준으로 쓰여졌기 때문일 것이라고 해석한다. 하지만 나는 어쩌면 조선이 중국과의 사대관계로 인해 약소국의 입장에 있기 때문이 아니였을까 나름 해석해본다.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읽고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