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거 대디 자본주의 - 친밀한 착취가 만들어낸 고립된 노동의 디스토피아
피터 플레밍 지음, 김승진 옮김 / 쌤앤파커스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슈거 대디 자본주의』라는 책 제목 앞에 머뭇거렸다. 슈거 대디가 뭐지? 설탕 아빠라는 뜻일까? 슈거 대디란 미국의 데이트 주선 앱이였다. 이 앱을 사용하는 여성 상당수는 비싼 대학 학비를 마련하지 못한 대학생들이 이용한다. 『슈거 대디 자본주의』는 '슈거 대디' 데이트 주선 앱과 같이 공적 조직 뿐만 아니라 개인적으로도 착취되어 가는 '홀로 노동'에 대하여 분석한 경제서적이다.


이 책의 주제는 '시장 개인주의'와 결합해서 벌어지고 있는 유형의

탈공식화다.


저자 피터 플래밍은 현재의 경제 상황을 '시장 개인주의' '탈공식화'로 규정한다.

그렇다면 우리는 '시장 개인주의'란 무엇일까를 알아야 한다.

우리가 알고 있는 노동 형태는 고용인과 직원의 관계였다. 고용인이 직원을 고용하여 정해진 시간 동안 일을 하는 관계이다. 하지만 이러한 전통적인 관계가 바뀌고 있다. 정형적인 '직원' 또는 '자가 고용 노동자 (프리랜서)와 같은 모습이 아닌 '유령 일자로'가 돼가고 있다.

'유령일자리'는 스마트폰, IT 산업의 활성화로 노동이 사적인 영역까지 침투한 일자리를 말한다.

그 대표적인 예로 저자 피터 플레밍은 '우버'를 지적한다. 개인 운전자가 가까운 위치에 사람을 태워주고 돈을 받는 이 서비스다. '우버'는 이 운전자들이 고용된 형태가 아닌 연결 해 줄 뿐이라고 강조한다. 하지만 저자는 '연결' '무고용'을 가장하여 고용인이 저야 할 법적 책임을 교묘히 빠져나가 노동력을 착취하는 '유령 일자리'라고 규정한다.



'긱이코노미' 또한 이러한 현상을 가라키는 용어이다. 하지만 우리는 이 용어 속에 나타난 노동의 착취와 검은 그림자를 제대로 보지 못한다. 저자는 바로 그 현상을 짚어 준다.

저자는 이러한 현상의 문제점을 여러 회사의 경우를 예로 들며 설명해준다. 가령 의류 판매 업체 '자포스' 또는 '앱코'와 '임페리얼 칼라지'에서 탈조직화를 주장하며 이루어지는 노동의 형태를 알려준다.안정적인 노동 또는 업무가 아닌 온디맨드 On-demand 노동시스템은 노동자를 더욱 고립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플랫폼 자본주의 등 이 새로운 탈조직의 노동 착취는 이제 만연되어 있다. 인간적임을 가장하며 사적인 영역까지 노동을 착취하며 조직이 져야 할 고용에 대한 법적 의무를 교묘히 빠져나가는 '슈거 대디' 자본주의는 한국 사회에서도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현상이다.

잠식해 있는 플랫폼 노동주의에 대해 저자는 '시장 개인주의'에서 벗어나 '공공 영역'의 활성화가 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탈조직', '탈공식화'는 사업주들에게만 유리할 수 있도록 편의를 제공해왔다. 노동이 '홀로 노동'에서 벗어나 안정감을 부여받기 위해서는 이에 역행하는 공공 권력의 확충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플랫폼의 발달에 따라 소비자의 관점에서 편리함만을 보았다. 그 뒤에 숨겨진 검은 그림자를 보지 못했다. '우버', '에어비앤비' 등을 비롯해 깊이 침투해 있는 이 고용 형태에 대한 보완책이 속히 마련되어야 한다. 하지만 이 문제를 제대로 감지해 낼 수 있는 나라가 과연 얼마나 될까 생각하니 답답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