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철학 - 진정한 경제적 자유를 위한 궁극의 물음
임석민 지음 / 다산북스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본주의 세상에서 돈은 신적 존재이다.

예전, 사랑과 행복은 돈으로 살 수 없다고 알려졌지만 상황은 달라졌다.

돈이 있으면 사람이 몰려들고, 돈이 있으면 조건 좋은 배우자를 선택할 수 있다.

돈이 있으면 계급이 바뀌고 돈이 있는 사람이 더 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다.

임석민 교수의 《돈의 철학》은 돈에 관한 모든 이야기를 담는다. 이 사회에서 돈에 관련된 많은 사상가들의 철학과 명언, 돈으로 인생이 패망하거나 역전한 사람들의 이야기 등등 모든 것을 망라하며 우리에게 돈이 어떤 존재가 되어야 하는 가를 보여준다.

《돈의 철학》의 저자 임석민 교수는 한신대학교 국제경제학과 교수로 지난 30여년 동안 2,000여 권이 넘는 참고 도서와 240여 권의 심층 도서를 탐독해 '돈과 삶'의 관계를 연구했다. 그렇다. 이 책은 돈과 삶을 고찰함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묻는 책이다.

《돈의 철학》은 제 3장으로 이루어져 있다.제 1부는 돈의 개념을 설명하며 2부에서는 돈을 인해 삶이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를 알려주는 척도인 가난, 검약, 사치, 부패 등을 그려준다. 그리고 마지막 3부에서는이 책의 궁극적 주제인 돈과 삶에 대해 설명한다.

이 책은 돈에 대해서 미화하지 않는다. 1부에서 돈은 현재 우리의 모든 의미를 내포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가령 돈은 자유, 평등, 힘 특히 신이 될 수 있고 악이 될 수 있다.

심지어 저자는 돈으로 사랑도 살 수 있다고 말한다. 특히 사랑 하나만 보고 결혼하는 연애결혼이 중매 결혼같은 조건결혼보다 이혼률이 더 높다는 사실은 경제적 빈곤이 있는 상태에서 사랑이 얼마나 빨리 종식되어줄 수 있는지를 말한다. 또한 우리는 수많은 예술 또는 스포츠들이 금전적인 후원 하에 만들어진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돈과 연관되어지지 않은 활동은 거의 없다.

2부 [우리의 삶을 좌우하는 돈]에서는 돈으로 인해 벌어지는 삶의 여러 모습을 보여준다.

가난으로 얻는 유익, 또는 자족하며 사는 자발적 가난, 사치와 부패 등 삶의 여러 모습을 보여준다.

특히 로또 복권 당첨으로 수억대의 돈을 받았으나 곧 탕진하고 패가망신한 당첨자들의 이야기는 돈을 부릴 줄 아는 사람이 돈을 잘 쓸 수 있다는 것을 알게 해 준다. 이 책은 특히 가난에 대해 여러 명언을 예시로 들어 주며 가난의 미덕을 칭송하지만 솔직히 이 가난의 미덕이 과연 독자들에게 공감이 될까는 미지수이다.

저자는 드라마에서 보여지는 돈을 물쓰듯이 펑펑 쓰는 재벌은 극히 일부분이며 진짜 부자는 왕짠돌이임을 여러 재벌들의 예를 들어 보여준다. 예를 들어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의 기본 10년 이상 입는 양복, 구자경 LG그룹 명예회장의 재떨이 꽁초 재활용, 김향수 아남그룹 명예회장의 갈색 구두 등의 이야기를 들으며 예전 한 보험설계사로부터 들었던 이야기가 떠올랐다. 그 보험설계사분은 일반인들의 경우 목돈을 모을 수 있는 상품에만 집중하고 설계 조건이 까다롭지 않은 반면 부자들의 경우 주로 절세 부분에 주목하고 설계 또한 여간 까다로워 하나의 보험을 청약하기까지 애로사항이 많다고 한다. 특히 설계사분에게 돌아오는 수수료까지도 생각할 정도로 용이주도함을 말해주었다.

그런 부자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마다 사람들은 이구동성으로 말하곤 한다. "그러니까 부자지."

3부에서는 돈과 삶에 대해 이야기한다. 돈으로 행복을 살 수 있는가? 돈이 사람의 삶을 좌우할 수 있는가를 묻는다.

첫 1부에서 저자는 돈이 평등과 자유를 가져다 주지만 결국 3부에서 돈에 얽힌 여러 인물들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진정한 행복은 만족에 있다는 사실로 이끌어준다.

《돈의 철학》은 결국 돈으로 인해 돈의 주인이 될 것인가 노예가 될 것인가를 묻는 책이다.

돈으로 벌어지는 삶의 여러 형태를 보여주며 어떤 식의 삶을 살 것인가를 독자에게 던진다. 돈만 있으면 다 잘 될 수 있을 거라는 환상을 갖고 있는 우리들에게 결코 돈이 해결책이 아니라 전혀 반대의 삶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이야기해주며 확실한 기준을 가지고 살아가는 사람만이 돈의 유무를 떠나 행복한 삶을 살아갈 수 없음을 이야기한다.

하지만 앞에서 말했듯, 읽는 독자들이 과연 동의할지는 미지수이다. 왜냐하면 돈만 있으면 상관없다는 사람들이 많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 책은 우리에게 돈보다 더 중요한 삶을 가르쳐주는 점에서 읽어 볼 만한 가치가 있다.

돈이 아무리 많아도 자신만의 원칙이 없는 사람에게 돈이 백해무익함을 알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