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은 멕시코 이민자인 빅 엔젤의 가족이 어머니 마마 아메리카의 장례식에 모이면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멕시코에서 미국으로 건너 와 가족을 이루고 집안의 큰 기둥 역할을 한 빅 엔젤은 암을 통보받은 시한부 인생이다.

그의 마지막 생일을 남겨놓고 빅 엔젤은 온 가족에게 그의 생일 파티에 참석할 것을 통지했지만 그의 생일을 일주일 남겨 놓고 어머니 마마 아메리카가 돌아가시는 바람에 어머니의 장례식을 일주일 뒤로 미루고 그 다음 날 바로 자신의 생일 파티를 하도록 일정을 잡았다.

모든 사람들에게 엄격한 아버지이자 손주들에게는 '아부지'로 통하고 절대 늦는 법이 없던 빅 엔젤은 이제 기저귀를 차고 부인 페를라와 딸 미나의 도움으로 모든 것을 의지해야만 하는 상황이다. 하지만 빅 엔젤은 자신의 상황에 당황하지 않고 언제나 당당한 모습을 유지한다.

어머니의 장례식과 빅 엔젤의 마지막 생일을 보내기 위해 모인 온 가족들의 이틀 동안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그려지면서 빅 엔젤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하여 아이가 둘이나 있던 페를라와의 결혼, 그리고 지금까지의 모습 등 그의 온 가족 이야기가 펼쳐진다. 이민자로 미국 사회에 살아남기까지의 고민, 위험한 미국 사회에서 아들과 사촌을 먼저 하늘나라로 떠나보내야 했던 아픔, 반이성애자를 선언하며 집안과 인연을 끊은 인디오, 그리고 배다른 동생인 리틀 엔젤 등 각 가족 구성원들의 이야기와 함께 그들이 모두 한 자리에 모이며 해묵었던 감정들이 펼쳐진다.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은 내가 기대했던 뭔가 드라마틱하며 죽음을 앞두고 서로의 사랑을 깨달으며 극적인 화해를 하는 소설은 아니다. 오히려 집안의 기둥인 빅 엔젤의 죽음을 앞두고 모든 이들은 평상시와 다를 바 없는 일상을 이어간다. 시한부 인생인 빅 엔젤은 시종일관 당당한 모습을 유지하고 모든 사람들 또한 이를 당연시 여긴다.

누구 하나 슬퍼하기보다는 하루 하루가 어제와 다를 바가 없이 살아간다. 마지막까지 서로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의 모습이 처음엔 당황스럽지만 잔잔한 감동을 일으켜준다.


그게 바로 소중한 것이다.

결국 마지막 한 방울의 피와 불꽃을 가지고 매 분의 생명을 위해 싸울 가치가 있다는 깨달음.



절친한 데이브 신부의 권유로 마지못해 수첩에 감사제목을 적기 시작하지만 조그만 것들 하나씩 늘어나는 것 또한

이 소설의 백미다.전에는 전혀 몰랐을 감사들이 죽음을 앞두고 수첩에 적히는 감사제목은 극히 사소한 것들이지만 삶의 마지막에서 각 시간마다 벌이는 에피소드 속에서 감사 제목들이 쌓여간다.

소설은 빅 엔젤의 마지막 화해와 함께 새로운 세대의 교체를 보여주며 이야기는 끝이 난다. 인생의 마지막에서 좋은 인생이었다고 이야기하는 빅 엔젤과 그를 떠나 보내는 가족들의 모습은 죽음 앞에 선 우리의 자세를 이야기해준다. 멕시코인 특유의 분위기 속에 펼쳐지는 이 가족들의 이야기 속에 별로 중요하지 않은 인생은 없음을 이야기하며 떠나는 자와 남는 자의 진심이 만나며 뭉클한 감동을 자아낸다.

기가 막히는 반전 등은 없지만 끝까지 당당한 어른 역할을 해내는 빅 엔젤의 모습을 보며 나의 마지막을 생각해본다. 내가 빅 엔젤처럼 기저귀로 용변을 해결하고 제대로 걷지도 못한 상황에서 나는 빅 엔젤처럼 끝까지 가족을 지킬 수 있을까? 죽음을 앞둔 상황에서 끝까지 당당할 수 있을까.

눈물샘을 자극하는 감동을 원하는 독자라면 이 책은 다소 실망감을 줄 수 있다. 하지만 죽음 앞에서도 끝까지 인생을 살아가고 싶은 사람에게 그리고 죽음은 하나의 끝이 아닌 인생의 또 하나의 이야기임을 믿는 사람에게 이 책을 추천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