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책자의 인문학 - 천천히 걸으며 떠나는 유럽 예술 기행
문갑식 지음, 이서현 사진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수많은 사람들이 유럽여행을 꿈꾼다. 나 역시 꿈 꾸는 사람 중 한 명이다.

유럽여행을 동경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유럽은 우리에게 익숙한 수많은 예술가들이 있기 때문이다. 물론 한국 또는 아시아에도 수많은 예술가들이 있지만

클래식의 고장답게 베토벤, 모차르트, 고흐, 클림트 등 우리에게 익숙한 예술가들은 주로 유럽에 밀집되어 있다.

《산책자의 인문학》은 저자 문갑식 작가와 아내 이서현 사진작가가 유럽여행을 하며 15인의 예술가들의 발자취를 밟으며 사진을 찍고 기록한 예술 기행 책이다.


부부가 함께 여행하며 사진을 찍고 글을 쓴 이 책 《산책자의 인문학》은 예술가들의 발자취를 따라 산책하지만 저자 자신이 예술 전문가가 아닌 만큼 예술가들의 작품에 대한 총평보다는 그들의 숨은 이야기에 대해 흥미롭게 풀어낸다.

가령 우리에게 가장 유명한 <키스>를 그린 클림트의 화려한 카사노바의 모습과 당대 사회에서 화제가 되었던 담대하고 파격적인 성적 표현으로 인한 논란 등등 잘 알지 못했던 예술가들의 인생이 이 책 속에 펼쳐진다.

예술가들의 인생과 함께 그들의 작품을 감상하는 사진으로 유럽의 예술가들의 역사를 보고 느끼게 해 준다.

학창시절 많이 접했던 알퐁스의 도데의 단편소설 <별> 또는 <마지막 수업>등의 장소를 방문함으로 실제 지리상의 위치와 비교하여 우리가 알고 느꼈던 감수성이 실제로는 다를 수 있음을 설명해 주는 부분 또한 흥미롭다.

2차 세계대전때 독일 침략에 의해 강제로 독일어를 배워야 하는 슬픈 현실 속에서 우리는 일제강점기의 같은 공감이 아닌 실제 <마지막 수업>의 배경인 알자스로렌이 프랑스보다 독일 문화에 가까웠다는 사실은 놀라움을 자아낸다.

프랑스 대통령 드골 암살 사건을 주제로 한 실제와 허구를 적절하게 섞은 프레더릭 포사이스의 소설 <자칼의 날> 등 모든 예술에는 한 사람의 인생과 그 시대의 역사가 함께 어울러진다.

그리고 무엇보다 예술가들을 이해한다는 건 유럽의 도시들을 더 잘 느끼고 친숙하게 해 준다. 비록 잘츠브루크와 프라하가 모차르트로 장사를 한다는 비난이 있지만 분명한 건 우리가 모차르트를 알 때 이 도시들에 대하여 더욱 깊이 알게 해 준다는 건 분명하다. 노스트라다무스의 도시에서 그가 어떻게 의사에서 예언자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는지 그의 고장인 생 레미 드 프로방스에서 더 자세히 알 수 있다

내게 이 책은 그동안 잊고 지냈던 학창 시절의 배움에 대한 향수를 불러일으킨다.

고등학교때까지는 그토록 읽고 공부해던 모차르트,고흐부터 <어린 왕자>, <신곡> 등의 작품을 대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 초기화된 듯 까맣게 잊고 지냈던 기억들을 다시 조금씩 복구해낸다.

다만 그때는 단지 교과서에 수록된 글자로만 배웠다면 이 책에서는 그 배경과 실제 풍경과 작품이 함께 어우러진다.

저자부부가 함께 걸으며 느꼈던 감정을 읽는 독자들 또한 책을 통해 음미할 수 있도록 도시 곳곳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풍성한 사진으로 함께 그 도시를 느낄 수 있게 도와준다.

이 책을 읽은 후, 저자가 여행했던 예술가들의 문학작품과 그림들을 다시 한 번 찾아보게 된다.

그들의 작품을 더 풍성하게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