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서 와, 이런 정신과 의사는 처음이지? - 웨이보 인싸 @하오선생의 마음치유 트윗 32
안정병원 하오선생 지음, 김소희 옮김 / 작가정신 / 2019년 10월
평점 :
절판


정신과를 떠올린다면 흔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떠올리게 된다. 드라마에서 비춰지는 정신과 또한 자식도 못 알아보며 미친듯이 절규하는 환자들의 모습을 보여주며 공포감을 조성하곤 한다.

사회의 인식이 많이 개선되어지고 정신과를 찾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났지만 정신과에 대한 선입견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어서 와, 이런 정신과 의사는 처음이지?』는 중국 안정병원의 하오선생이 자신의 정신과를 방문한 환자와 지인들의 이야기들을 엮어 만든 책이다.

하오선생의 병원에는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 남편을 잃고 그 그리움에 병원의 인턴을 남편이라고 착각하는 환자, 만날 때마다 새로운 시를 읊어주며 쉽게 놓아주지 않는 환자, 심한 강박증을 가지고 있는 은행 여직원 등등 다양한 사람의 모습이 그려진다. 그 많은 사람들 속에서 하오선생은 자신의 역할을 마음을 쓰는 직업이라고 말한다.

네 말이 맞아. 의사는 병을 치료해주는 사람이지.

근데 치료는 약으로만 하는 게 아니야,

마음을 써야지.

베푼 만큼 대가가 돌아오는 법, 초조해하지 마. 익숙해질 거니까.

자신의 마음을 나누는 것. 하오선생의 그 말은 이 책의 시종일관 그가 만나는 모든 사람에게 일관된 태도를 유지한다. 버스에서 자폐아를 무시하는 사람들에게 그 자폐아 가정의 어려움을 나눠주고, 은행에서 강박증을 가진 여직원의 어려움을 헤아리고 도움의 손길을 뻗는다. 하오선생의 마음이 책을 통해 전달되어서일까. 책의 내용은 한결같이 따뜻함을 잃지 않는다.

특히 하오선생의 대학 동기인 펑위가 심한 우울증을 견디다 못해 투신자살을 하고 정신과의사로서 친구를 돕지 못했다며 자책한다. 친구 펑위의 우울증을 통해 주변의 충고와 비판은 환자들을 점점 궁지에 몰아가는 행동임을 말하며 비판이나 충고보다는 그 사람의 고통을 이해해주며 안아줄 것을 말하는 하오선생의 글은 정혜신 박사의 <당신이 옳다>의 글을 떠올리게 한다.

우울증 환자에게 가장 잔인한 행동은,

죽은 환자를 향해 무책임하다고 손가락질하는 게 아니라

환자가 살아 있는 동안 그의 고통을 무시하는 행위인 것이다.

우리는 흔히 병의 치료는 개인의 문제라고 생각하곤 한다. 이는 어린 아이들에게도 예외이지 않다.

하지만 과연 질환이 개인이 모든 걸 부담해야 할까? 더구나 어린 아이의 경우에도 적용되는 말일까?

하오선생은 사회 전체가 함께 해결해 나가야 함을 말해준다. 자폐증과 같이 이상행동을 보이는 아이들에게 먼저 사회가 마음의 문을 열어주고 대할 때 그 소아는 사회로 복귀할 수 있다.

하오선생은 소아자폐증을 가진 량량을 통해 강조하지만 이는 모든 질환에도 마찬가지이다.

어떤 정신질환이든 우리는 모두 마음을 열고 그들이 다시 회복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남편을 잃은 충격에 혼란형 조현병에 걸린 여성을 위해 병원 인턴이 남편 연기를 해 주었던 것처럼 우리 개개인 모두 아픈 사람들을 위해 손을 내밀어주어야 한다.

우리는 신이 한 입 베어 문 사과처럼 누구나 결점을 갖고 있다.

만약 그 결점이 비교적 크다면,

그것은 신이 특히나 그 사람의 향기를 좋아했기 때문이다.

대머리에다 여자에게 인기 없는 쑥맥이지만 마음이 너무 따뜻하고 유머까지 장착한 하오선생.

하오선생의 웨이보가 왜 이토록 인기인지, 입소문을 타게 되었는지 이 책을 읽으며 확실히 느낄 수 있다.

책을 읽는 내내 웃음과 안타까움 그리고 감동 코드가 이 한 권의 책에 응축되어 있다.

하오선생과 같은 정신과 의사를 만날 수 있다면 나 또한 진료를 받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어서 와, 이런 정신과 의사는 처음이지?』 맞다. 이런 따뜻하고 재밌는 정신과 의사는 처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