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아로니아공화국
김대현 지음 / 다산책방 / 201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의 아로니아공화국>은 재미있고 신이 나는 나라인 아로니아 공화국을 세우는 여정에 대한 소설이다. 
소설에서 이 책은 주인공인 김강현의 어린 시절부터 아로니아 공화국을 건국하기까지의 과거 회상과 대통령이 되어 아로니아공화국에서 살아가는 현재 두 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강현은 아로니아공화국 초대 대통령 및 재선에 성공한 2대 대통령이며 현재 아로니아공화국은 3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다. 아로니아시민당, 그린머슬아로니아당, 아로니아카스테라당 등 이름부터 독특한 이름의 정당들, 경찰도 군대도 없는 라이프워치로 치안과 국방을 해결하는 시스템 등 이 아로니아공화국은 어떻게 생겨난 것일까? 

어렸을 때 동구만화방을 단골로 들락거렸던 김강현은 텔레비전을 사기 위해 친구들의 삥을 뜯어 돈을 마련하던 중 아버지께 들켜 된통 혼이 난다. 그 이후로 정신을 차려 합기도 학원에 보내졌다가 성당에 다니는 언니 수영과 눈이 맞아 성당을 다니고 공부를 하여 검사가 된다. 과거사 재심 재판에 상부의 압력을 받지만 그만의 소신으로 무죄를 선고하는 김강현은 재판 후 사직서를 제출하고 전업주부로 살아간다. 
그 때 김강현을 찾아 온 낯선 방문객 송상철로부터 <<큰놈 하나, 작은놈 하나>> 라는 보고서를 건네 받게 된다. 

인공섬을 만들어 새로운 재미있고 신나는 나라를 건설하고자 하는 이 말도 안 되는 프로젝트에 사람들이 모여든다. 송상철과 돈 많은 리조트의 여왕 백민정, 라파엘, 백민정의 자녀인 정호수와 와이프, 김강현의 절친한 친구인 박민규와 박민규의 여동생이자 국정원 직원인 박민정까지.. 이 꿈만 같은 건국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처음에는 철저한 회의론자였던 김강현마저 건국위원장이 되어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한다. 

나라를 건국하는 주된 과정이 핵심이니만큼 저자는 이 소설에서 한국과 일본의 복잡한 국제해양법에 얽힌 국제 관계 및 중국의 정치사까지 독자들에게 이해를 시키고자 많은 공을 들인다. 
저자의 심혈을 기울인 자료 준비와 사전 준비는 국제관계를 잘 알지 못하는 나 같은 일반인에게도 쉽게 설명해준다. 

신나고 재미있는 나라, 술병에서 따온 국가명 아로니아공화국. 
그들이 원하는 나라는 어떤 나라이기에  사람들은 평생동안 이 건국의 대업에 합류하였을까. 



그들이 원하는 나라는 서로가 서로를 믿어주는 사회, 착한 사람들이 많은 나라였다. 
국가가 자신을 지켜줄 것을 믿으며 국가 구성원 서로가 서로를 신뢰하며 착한 사람들이 모여 행복한 국가. 다른 사람들에게 이게 무슨 국가냐고 당연한 것 아니냐고 물을 것이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이 한국 사회마저 이미 불신이 팽배하며 오히려 법을 잘 지키는 사람이 손해라는 의식이 가득찬 사회다. 

착하게 살아가는 사람들과 서로 믿어주는 사회.. 
저자가 생각하며 꿈꾸는 국가는 바로 이 작품 속의 아로니아공화국의 꿈이였다. 
세월호로 수많은 사람이 죽어가던 2014년 4월 16일 저자는 국가가 국민을 구조할 수 있었음에도 방치한 이 충격적인 사건을 보고 이 소설의 모티브로 삼았다고 한다. 
그래서 모두가 행복한 사회, 철통같이 시민들을 지켜주며 보호하는 국가를 만들었다고 한다. 

우리가 원하는 새로운 나라. 과연 소설 속에서만 가능한 것일까? 
모두가 행복하고 서로 재미있게 사는 나라. 철저한 신뢰가 존재하는 사회.

아로니아공화국.  나도 그 곳의 시민이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