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
-
미국에서 태어난 게 잘못이야 - 일중독 미국 변호사의 유럽 복지사회 체험기
토머스 게이건 지음, 한상연 옮김 / 부키 / 2011년 10월
평점 :
<루소의 개>를 그렇게나 혹평했지만, <미국에서 태어난게 잘못이야>라는 이 책은 참 재미있게 읽은 것 같다. 어쩌면 지금 내가 발딛고 살아가고 있는 이 사회에 아주 밀접한 이야기들을 하고 있기 때문일지도 모르겠다. 물론, 한때 인권 변호사를 꿈꾼 적이 있어서 그런지(완전히 그 꿈을 접지는 않았지만) 저자의 이력에도 상당한 호감을 가지고 읽게 되었다는 점도 크다.
해외에 가본 적이 별로 없어서, 말로 미국 사회와 유럽 사회의 모습을 어렴풋이 전해듣거나 저자가 매번 비꼬는 <이코노미스트>나 <월스트리트 저널>에서 말하는 것과 비슷한 식(우리나라의 조X일보나 중X일보라거나)으로 해외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고 있었다. '유럽이 정말로 살기 좋다고는 하지만, 사실 그 뒤에는 환상이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무조건 우러러보지 않도록 조심해야한다'는 식으로 나름 '중립적'으로 생각해오고 있었는데 이 책이 그 편견을 깨버렸다. 저자는 실제 현실은 어떤지에 대해 두리뭉실하지 않고 수치와 통계를 들이밀며 논리적으로 이야기하는데, 그를 통해서 유럽과 미국의 진짜 현실에 대해서 알 수 있었다.
저자의 요점을 간단히 말하자면, 유럽은 사회민주주의국가고 미국은 신자유주의를 지향하는 국가이다. 아무리 초강대국이라는 미국이라 하더라도, 유럽이 훨씬 더 살기 좋은 것이다. 그것만은 인정해야한다. 그러한 이유는 이러이러하다... 라는 것이 저자의 주요 관점이며, 나는 대체적으로 그의 말에 동의하였다. 혹자는 '이 사람은 노동변호사잖아. 약간 편향된 관점에서 미국을 더 안좋게 묘사했을지도 몰라'라고 비판할 수도 있겠지만 저자가 묘사한 미국 사회의 모습과 한국 사회의 모습이 굉장히 유사하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단순한 편견이라 치부할 수도 없다.
민영화 문제나, 터무니없이 비싼 교육비와 대학 등록금 문제, 규모를 무작정 넓히고 값을 높이기에만 급급하는 도시 계획, 평균 소득으로는 꿈도 꿀 수 없는 내집 마련, 노동자들에 대한 열악한 복지와 무한 경쟁을 숭배하는 분위기. 이건 비단 한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한국이 그렇게 훌륭한 '롤 모델(role model)'로서 숭배하는 초강대국 미국에서도 그대로 되풀이하고 있는 문제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생각해본다면 우리가 살아가는 이 한국 사회는 일명 '리틀 아메리카'일지도 모르겠다. 더 씁쓸한 사실은 우리나라는 이 골치아픈 아메리카보다 심지어 더 못하다는 사실일 것이다. 그런데 그나마 '덜 못나지겠다고' 미국을 따라 신자유주의를 무작정 받아들이고 있는 것이 우리의 현실인 것이다.
어쩌면 이렇게 말하는 나에게 무조건 미국을 나쁘게 말하는 거 아니냐고 혹자는 질문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저자도 비슷한 말을 했듯이 이것은 사회민주주의라는 한 사상을 숭배하는 것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지극히 현실적인 상황과 통계의 비교를 통한 일종의 '상식'이라는 점을 말하고 싶다. 롤스도 <정의론>에서 말했듯이 자신이 사회적으로 어떤 계층에 놓여있는가도 알 수 없는 '무지의 베일'을 쓰고서 미국과 유럽 둘 중에서 택하라고 한다면 사람들은 과연 어떤 선택을 할까. 둘 중 어디가 좀 더 '정의롭다'라고 판단할까?
이 책이 약간 거슬렸다면, 저자가 종종 미국에 대한 강력한 애국심을 표현한 부분이라거나 자신은 사회민주주의자가 아니라고 몇 번이나 변명하는 부분 때문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 책이 원래 미국 독자들을 위해 쓰여졌을 것이라고 예측해본다면, 그의 이런 태도도 이해는 간다. 일종의 '자기 검열'일지도 모르고, 매커시즘에 의해 '낙인'찍혀 자신의 의견이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않을 상황에 대해 우려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얼마 전에 모 판사가 한미 FTA의 급격한 체결에 대한 의문을 제기할 때 첫 문장이 '나는 진보 성향이 아니다'였던 것을 떠올리면 이런 점까지 한국과 미국은 닮아있지 않나 하는 생각마저 든다.
한국의 사회와 너무 비슷한 나머지 감정이입까지 되는 미국 사회와 이와는 대조되게 편안한 사회 안전망을 갖추고 있는 유럽 사회. 한국은 이제 미국과 함께 되돌릴 수 없는 거센 신자유주의의 흐름을 타버렸기에, 이 책을 읽으면서 솔직히 안타까움과 실망을 감출 수가 없었다. 결국 계속 수렁으로만 빠지지 않을까. 이를 증명이라도 하듯, 한국은 점점 대기업의 위력이 민중에게까지 침투하고, 미국처럼 제조업을 소홀히 하면서도 돈놀이(부동산 투기나 한방을 바라는 주식 투자)에 집중하는 모습이 점점 강해지고만 있다.
이런 한국이 짊어나갈 앞으로의 운명이 얼마나 밝다고 할 수 있을까. 그런데 여전히 한국의 많은 정치가들이 이미 증명된 미국의 실패를 '성공'이라고 떠들어대며 무작정 미국을 따라하려고만 한다. 마치 어리석은 광대같은 모습이다. 미국이 정말로 성공한 케이스이고, 그래서 따라하는 것이면 몰라도 말이다... 그에 비해서 물론 '나름의 문제'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유럽인들은 기회 비용과 편익을 생각해 더 나은 미래를 향해 애쓰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자신들이 원하는 인간적 가치를 지키면서도 효율성을 사수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있는 것이다. 유럽인들도 결코 바보는 아니기에.
저자는 이 많은 이야기들을 상당히 문학적 표현들과 실제 경험의 묘사를 이용하여 훌륭하게 글로 구현해내고 있다. <루소의 개>보다 읽기가 상당히 용이했다는 것도 이러한 이유일 것이다. 일명 '유럽식 자본주의'가 탄생한 장소라 일컬어지는 프랑크푸르트에서 느낀 자신의 기분을 표현한 부분에서는 사회과학서를 뛰어넘은 감성적 아우라가 느껴지기까지 했다.
이러한 표현적, 내용적 측면 등 다양한 관점에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었던 책이었다고 생각한다. 책을 덮으면서 또다시 생각해본다. 오늘 드디어 2012년을 맞이했다. 2012년은 총선도, 대선도 걸려 있는 중요한 해다. 그 두번의 기회로 한국 사회가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하게 되는 빅뱅은 없겠지만, 이 '리틀 아메리카'가 앞으로 나아갈 방향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는 이 책이 약간 답을 준 듯한 기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