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의 개]를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루소의 개 - 18세기 계몽주의 살롱의 은밀한 스캔들
데이비드 에드먼즈 & 존 에이디노 지음, 임현경 옮김 / 난장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솔직히 말하자면 책을 다 읽지는 않았다. 친한 친구가 '역사책은 사실만을 줄줄 늘어놓은 걸 읽어야 하는 거라서 지루한 것 같아'라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친구가 왜 그런 말을 하는지 이 책이 처음으로 가르쳐주었다는 생각이 든다. 역사를 공부하겠다고 하는 사람이 역사책에 지다니 이건 내 능력부족을 탓해야할지 아니면 책과 스타일이 안 맞았던 것이라 생각해야할지 모르겠다. 결국 300페이지 가량만 읽고서 책을 덮어버렸는데, 그에 대한 불평불만을 토로하기 전에 먼저 이 책의 좋았던 점에 대해서 조금 이야깃거리를 풀어놓고 싶다.

 

  루소나 흄은 고등학교 윤리 정도를 배웠다면 누구나 익히 보고 들었을 거장 철학자들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러나 윤리 시간에는 철학자들이 이런 생각을 했었다는 '이론'에 대해서만 이야기하고 넘어가기 마련이다. 이런 점에서 <루소의 개>와 같은 책은 그 철학자들이 왜 그런 이론을 내세우게 되었는지 자세한 내막을 알려줄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마키아벨리가 <군주론>을 저술한 것이 그 사람이 악인이라서가 아니라 당시 분열된 이탈리아의 정세와 큰 연관이 있었던 것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한 것처럼, 철학을 이해하는 데에도 어느 정도 필요한 것인 셈이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나에게 상당히 신선했다. 철학도 아닌 것이, 역사도 아닌 것이. 루소와 흄 각자의 일상 에피소드나 저 두 철학자가 연관되면서 발생한 각종 에피소드를 이야기하면서도, 그들의 이론적 토대에 대해서까지 이야기를 확장해나가는 저자의 필력은 상당히 괜찮았다고 본다. 실제로 100페이지 정도는 정말 재미있었다. 무려 <에밀>을 쓴 루소가 자기 자식들을 갖다 버렸다는 경악스러운 행동을 이 책을 읽기 이전에도 들은 적은 있었는데, 이 책에서는 그 이유(루소가 상상 이상의 편집광적 괴짜라는 사실)를 친절하게 설명해 준 기분이었다.

 

  이 책은 단순히 루소와 흄 두 인물뿐만이 아니라 18세기 계몽주의 살롱이 어떠한 모습을 하고 있었는지 적나라하게 보여주기도 한다. 역사의 거대한 흐름에 주목했다기보다는 그 흐름을 구성하던 작은 요소에 주목하여 자세히 보여주는 미시적 접근에 근거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덕분에 역사 수업에서 귀로만 들었던 살롱을 뚜렷한 이미지로 떠올려 볼 수 있었다. 이처럼 이 책의 강점은 '철학자' 인간이 아니라 '인간' 철학자를 보여주는 것에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 책이 끝까지 읽히기 어려운 치명적인 이유는 그 '보여줌'이 너무 과했다는 점이 아닐까 한다. 적당히 그들의 에피소드를 소개하는 것은 재미있지만, 읽다가 보면 상당히 비슷한 패턴의 에피소드들(루소가 망언을 함->루소가 망명함->누가 루소를 거둬들여줌->루소는 그 누군가에게 또 망언을 해서 결별함... 무한반복...!)에 질리게 된다. 너무 많은 인물들이 책 속에서 난무하고 이름도 다 외우기 전에 또 다른 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러하다고 삼국지처럼 독자들을 확 사로잡는 스토리라인이 있는 것도 아니고, '살롱의 은밀한 스캔들'이라고 내세우고 있지만 비슷한 내용을 계속 읽다 보면 밋밋하다는 생각이 들게 된다. 나름의 스토리가 있다고는 하나 이런 '촌극'도 한 두번으로 족하지 계속 반복되는 것은 별로인 것 같다는 생각을 해 보게 된다. 역사적으로 있었던 일들을 서술하는 것이라고는 해도, 약간 요약과 생략의 미(美)를 살림이 어떠하였을까. 예를 들어, <뺨 세 대>만 확 살린다던가...!

 

  이 정도의 글을 써낼 능력도 되지 않으면서, 책을 마구 비판하고 있으니 내 모습이 상당히 우습다. 그러나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이 책 자체는 철학자의 인간적인 면모와 그의 철학을 결부시켜 보여주려는 시도와 18세기 살롱의 모습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충분히 의도를 살려냈다고 본다. 그렇지만 너무 자세히 보여주려는 나머지 '질리게' 만든다는 게 단점이다. 내가 300페이지에서 책을 덮었던 이유도 '나머지 100페이지도 비슷한 이야기를 하겠구나'라며 질려버렸던 점이 컸다. 그래서 연대기적으로 한 인물의 일거수 일투족을 소개하는 것보다 독자들의 편의를 위해 인물에 대한 정말 재미있는 에피소드 몇 가지를 중점으로 보여주었다면 이 책을 읽기가 그렇게 지루하지는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약간의 사족을 덧붙이자면, 이 책을 다 안 읽게 된 것은 '꼰대' 루소가 비슷한 '찌질한' 짓을 계속해서 저지르는 것에 대한 짜증도 상당히 큰 이유가 아니었던가 싶다. 그러나 아이러니한 것은, 이런 '꼰대'의 이론이 흄의 말보다 나에게 훨씬 더 설득력있게 다가온다는 점일 것이다. 학문과 인간은 함께 이해해야 하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런 점에서 가끔 학문과 인간 사이의 단절감을 맛보기도 한다. 쉽게쉽게 '인간 철학자'가 아니라 '인간' 철학자인 이유이다. 어쨌거나 내가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루소(저번 학기 레포트의 주제가 루소였던 적도 있다)의 됨됨이나 삶에 대해 많은 것을 알게 되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