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적 시 읽기의 괴로움]을 읽고 리뷰 작성 후 본 페이퍼에 먼 댓글(트랙백)을 보내주세요.
철학적 시 읽기의 괴로움 - 사랑과 자유를 찾아가는 유쾌한 사유
강신주 지음 / 동녘 / 201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문학에 관심이 많고 가끔 스스로 글을 쓰기도 하는 자칭 '글쟁이'지만, 부끄럽게도 시에 대하여 각별한 관심을 기울였던 적이 없었다. 내심 소설보다 읽기 어려운 것이라고 생각하여 '싫어하는' 쪽에 가까웠던 것도 같다. 그래서 처음 이 책이 선정되었다고 들었을 때 걱정이 되었던 것 같다. 그러나 막상 읽어보니 웬일. 철학적 시 읽기의 흥미로움을 알게 해 준 책인 것 같다는 생각이 앞선다.  

 일단 책의 형식에 대해서 좋았던 점을 말해보고 싶다. 보통 인문과학서를 읽을 때 예쁘고 신기한 그림을 기대하기는 힘든데, 이 책은 문학이라는 일종의 '예술'에 대해 말하고 있어서 그런지 일러스트가 돋보였다. 추상적이어 보이지만 글의 내용과 묘하게 일치하는 것 같아서 심지어 회화 미술에는 문외한인 나일지라도 즐겁게 보았다. 그리고 한 챕터의 말미에는 꼭 주제와 관련된 참고도서에 대한 소개가 있어 더 확장된 공부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친절한 가이드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내용적 측면도 좋았다고 생각했다. 사실 나에게는 마르크스 이외에는 이름조차 생소한 철학자가 대부분이었다. 그렇지만 철학에 대한 깊은 배경지식이 없더라도 이해가 잘 될 정도로 저자는 철학적 내용을 쉽게 풀어내고 있다. 각종 어려운 인용구에 대한 친절한 설명도 한몫 했다고 생각했다. 생판 남 같아보이는 시와 철학 사이의 연결고리를 기막히게 만들어내는 저자의 철학적 깊이가 있는 인문학적 사유가 돋보였다(인문대생으로서 나는 아직 너무 부족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마치 마술사 같다는 느낌까지. '인문학에 관심이 있다면 아시겠지만~'이라는 하는 철학자도 죄다 모르고 있어서 가슴아팠던 것은 사실이지만.

단순히 이 책이 무작정 시와 특정 철학 담론을 연결시킨 것이었다면 이렇게까지 인상깊게 읽히지는 않았을 것 같다. 이 책에는 내용 전체를 관통하는 '사랑과 자유'라는 테마가 있다. 전혀 관계가 없어 보이는 한국의 시인들과 서양의 철학자들이 '사랑과 자유의 철학'이라는 매개로 연결된다는 것을 관조하고 있는 것은 실로 신기한 경험이었다. 그 이유는 시와 철학 안에 담겨 있는 인간 본연의 자유와 사랑은 그리 다른 모양을 하고 있는 게 아니라서 그럴지도 모르겠다고 조심스럽게 생각해본다. 이럴 때면 '인간의 진정한 본질, 존엄함이란 없다'라는 뉘앙스의 푸코나 몇몇 위대한 철학자의 생각이 다 맞지는 않을거라는 소소한 반감을 가져본다.

다만 고정희와 시몬 베유 부분은 크리스찬적인 색채가 강해서 뿌리깊은 무신론자(?)인 나에겐 읽는 데 어색함이 있었다. 기존의 기독교에 대한 반감도 한몫 했다. 그렇지만 저자는 '해방신학'을 소개하면서 자유를 논하는데, 그 찬찬한 논의가 인상깊었고 기독교에 대한 편견을 약간이나마 없앨 수 있었던 것 같다. 

요즘 사랑에 대해서 이런저런 고민을 해보고 있는데, 이 책이 말하는 사랑에 내 자신의 모습을 투영해보는 계기가 되었던 것 같다. 사랑을 논한 파트에서 인상깊었던 것이 김행숙과 바르친, 채호기와 맥루한 챕터였다. 각각의 챕터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문구를 가져와본다. 

이제 포옹을 "침묵을 이루는 두 개의 입술"과도 같고, "곧 벌어질 시간의 아가리"와 같다고 한 시인에게 공감할수 있으신가요? (...) 영원히 하나가 될 수 없다는 것을 알지만, 그렇다고 해서 하나가 되려는 희망을 버릴 수 없기에 침묵할 수밖에 없는 겁니다. (...) 그러나 포옹으로 타자와 영원히 하나가 될 수 없으니까,(...) 포옹은 "곧 벌어질 시간의 아가리"를 함축하고 있는 겁니다. (p.123) 

엑스터시는 '바깥으로 나가 있는 상태'(...) 바깥이란 바로 타자가 있는 자리 (...) 결국 엑스터시를 목적으로 하는 섹스는 근본적으로 타자와 소통하겠다는 인간의 절절한 의지를 반영하는 것이지요. (p.132. 이전에 친구에게 들었던 바타이유가 말한 성욕의 정의와 유사해서 놀랐다.) 

한편 자유에 대한 논의도 참 좋았다고 느낀 것이, 김수영과 신동엽의 자유... 그들의 시를 말하는 부분에서 내가 추구하고 싶다고 생각해왔던 문학(시는 아니고 소설이지만)에 대해 어느 정도 갈피를 잡을 수 있었던 것 같았기 때문이었다. 나는 이것을 말로 어떻게 표현해야할지 몰랐는데, 김수영이나 신동엽이 말하는 자유의 문학, 문학의 자유가 딱 평소 생각에 맞는 것 같아서 놀랐다. 역시 인간의 본연적 사고를 향해 파고들면 비슷하게 생각하게 되는 특성이 있긴 한가보다. 인용을 좀 해본다.

"모든 실험적인 문학은 필연적으로 완전한 세계의 구현을 목표로 하는 진보의 편에 서지 않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모든 전위문학은 불온하다. 그리고 모든 살아있는 문학은 불온한 것이다. 그것은 두말할 것도 없이 문학의 본질이 꿈을 추구하는 것이고 불가능을 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p.151) 

'자유로운 개인의 공동체'란 경제적 구조나 정치적 구조를 변혁시켜서 달성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남을 지배하거나 남에게 복종하려는 야만적 동물성을 원천적으로 극복할 때에만 가은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p.168)

간만에 좋은 책을 읽은 것 같다. 이 저자의 전작인 철학적 시 읽기의 즐거움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