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상인, 중국상인, 일본상인
이영호 지음 / 스노우폭스북스 / 202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북아시아 한, 중, 일 상인들

 

동북아시아 3국(한·중·일) 상인 이야기, 이들은 무엇을 파는가? 신용과 정직을 파는가, 사기꾼과 상인의 경계선에 놓은 사람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장사의 비결은 단순하다. 기본적 상도인 '신뢰와 상생'을 지키는 것이 핵심이다. 거상 임상옥의 말 “상즉인(商卽人)” 파는 게 곧 사람이라고, 물건이 아닌 신용이라는 것이다.

 

중국의 10대 상단, 상인들의 기본정신은 인, 의, 용, 예, 지(이른바 싹수, 싸가지)이며, 노자 사상까지도 품고 있어, 신뢰, 신용, 정직, 예의 등이 바탕에 깔려있다고 한다. 물론 현장에서의 모습은 제각각 다를 수 있지만 중국상인정신을 주제로 한 다수의 국내의 학술논문에서 전하는 것들이다.

 

일본을 보자. 장사의 달인으로 유명한 일본 오사카 상인은 '상품보다 신용을 팔아라'라는 상인 정신을 고수한다. 칼이 지배하던 무인사회에서 최하층민의 상인이 돈을 벌기 위해서는 목숨을 걸고 신용을 지켜야 했다. 사명감으로 신용과 정직을 토대로 소비자의 선택을 받으려는 노력이 수백 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명문 점포를 만들어 냈다. 오사카 상인은 '신용이 고객에게 마음의 빚을 지워주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보자면, 한·중·일 상인의 보편적인 사고의 패턴은 ‘신뢰’‘신용’과 정직, 그리고 관계다.

 

지은이는 패션업계에서 바라본 3국 상인과의 비즈니스 경험을 토대로 이야기를 풀어낸다. 한·중·일 비즈니스를 하려면 반드시 알아야 할 삼국 간의 장삿술(기술)에 중심을 두고 있다. 이른바, 몰상식, 악덕 상인을 피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그 대처방법을 일러두고 있어 참고할 만하다. 하지만, 자칫 여기에 실린 내용이 한·중·일의 상술이라고 오해해서는 안 된다. 침소봉대도 과잉 일반화(일반화의 오류)에 주의하면서 참고하면 될 듯하다.

 

여담이지만, 프롤로그에 지은이가 일본의 오카네(お金,돈)의 어원을 밝히면서 일본의 기원설까지 언급하고 있는데, 이는 조금은 위험한 말이다. 아무튼, 가네는 철이고, 철은 당시로써는 귀중한 자원이었기에 가치 있는 것이란 의미였다. 일본어 사용법에서 오(お?御)는 존경, 겸양의 표현이기도 하지만, 여러 용례가 있어, 흉사 등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관행적으로 붙여, 오하나(お花)등은 그냥 꽃을 품위 있게 표현하기 위함이다. 아무튼, 곁가지라서 이쯤에서 생략하고.

 

 

중국과 일본 상인들과의 거래에서 주의해야 할 점

 

상인은 단지 물건을 싸게 팔고 사는 게 아니다. 노동력을 제공하는 것을 노무 제공이라고 할 때, 일하는 사람의 인격까지도 그 안에 들어있는 것인 것처럼, 상품 안에는 파는 사람의 정직과 신뢰, 신용이 담겨 있다. 지은이도 이 점을 꼭 명심해야 할 중요사항으로 지적하고 있다. 더 싸게, 한 번 보고 두 번 다시 보지 않을 요량으로 하는 장사는 세 나라 어디에도 없다. 새옹지마요. 나에게로 날아오는 부메랑처럼, 어느 구름에 비가 올지 모르는 것처럼 말이다.

 

이 책에 담겨 있는 귀중한 경험담은 눈여겨 봐두라

 

이 책은 제목을 잘 붙였다. <한국 상인, 중국 상인, 일본 상인> 즉, 한·중·일 장사꾼들의 현주소를 살펴보겠다는 말이고, 중국, 일본 상인과의 비즈니스에서 경험을 바탕으로 꼭 주의해야 할 점을 잘 짚어주고 있다. 위에서 말한 것처럼, 이는 패션업계 부문에서의 경험이라는 점을 전제로 살펴주기 바란다. 한국처럼, 나이, 지연, 학연, 군대경험(해병대 등 특정 병종)등 공통의 요소가 있으면 상담(商談)에 도움이 되지만, 일본에서는 상대방의 사생활에 관해서는 묻지 않는 게 예의, 한국에서처럼, 중국 상인에게 나이, 출신을 따지며 형님이라 부르는 경우는 없을 테지만(조정래 소설 <정글만리>(해냄출판사)에서도 중국비즈니스의 기본을 엿볼 수 있다). 아무튼 코트라(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KOTRA) 누리집에 실린 지역 정보를 참조해보는 것도 좋을 듯하다.

 

 

 

통상 일본의 경우에는 당사자의 직접 거래보다는 국외에서의 거래, 무역 등에 따르는 여러 관련 법률과 상관습 등에 밝은 "상사"를 통해서 거래하는데, 이른바 종합상사(무역중개업으로 보면 된다.) 7대 상사는 미쓰비시쇼지(三菱商事),미쓰이붓산(三井物産),이토추쇼지(伊藤忠商事),스미토모쇼지(住友商事), 마루베니(丸紅), 도요타쓰쇼(豊田通商),소지쓰(?日)다. 이곳은 식량, 철강, 원료, 자동차부품 등을 취급한다. 아마도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 밖이라서 참고 정도로.

 

경험담에도 총론과 각론으로 구분해서 총론이야 거래하고자 하는 물건 혹은 서비스가 제대로 된 것이어야 함은 물론이다. 각론으로 들어가면 제품의 크기와 디자인 등은 공급자의 눈높이가 아니라 사용자의 눈높이(대상자의 문화권에 대한 이해가 최우선이다)에 맞춤 또한 당연하다. 이 책에서도 지적하듯 각론 중에 언어표현(표현, 낱말에 주의를)에도 신경을 써야 한다. 이른바 장사꾼은 만능 엔터테인먼트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출판사에서 보내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