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세기 철학 입문 - 후설에서 데리다까지 ㅣ 북캠퍼스 지식 포디움 시리즈 2
토마스 렌취 지음, 이원석 옮김 / 북캠퍼스 / 2023년 9월
평점 :
짧지만 강력한 20세기 철학 산책
지은이 토마스 렌취는 20세기 철학은 2,500년의 철학사의 쟁점을 보여주었고, 무의식에서 인간의 실존, 언어, 사회, 과학에 이르기까지 그 지평이 확대, 모든 차원에서 이성 비판의 급진성을 특징으로 한다고 갈파했다. 렌취는 이 급진성은 양차 세계대전과 홀로코스트,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폭투하 등의 재앙이 촉발했던 것으로 본다. 마치 산책을 하면서 때때로 변하는 주변 환경이 한눈에 들어오듯 한 곳에 매몰되지 않고, 전체를 조망할 수 있는 책이다.
이 책은 북캠퍼스의 지식포디움 시리즈 2번째로 철학 분야에서 세계를 이해하는데 기초가 되는 생각과 그 흐름을 읽기 쉽게 설명한다. <20세기 철학 입문>은 전환기의 위대한 선구자들로 키르케고르와 퍼스, 니체, 신 칸트학파와 마르크스, 철학 외적인 새로운 발견으로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아인슈타인의 이론 등 뛰어난 사상가로서 이례적인 패러다임의 변화를 주도하면서 성찰의 혁명을 일으킨 인물과 그의 연구 핵심을 소개한다.
20세기 철학은 실존철학, 마르크스주의, 프래그머티즘의 언어분석과 논리적 개념의 분석 없이, 문명 비판이나 도덕 비판, 정신분석, 상대성이론 없이는 이해하기 쉽지 않다는 점을 밝히고,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새로운 지평을 열어나가는 현대 사회를 전망한다.
개별 과학과 철학의 상호작용
20세기 철학에서 과학사의 과정은 중요한데, 철학에서 심리학과 사회학 두 개별 과학의 분리는 현대의 이행에서 변화와 관련이 이다. 우선 인간은 스스로 실증적 탐구 가능성과 함께 사유와 과학의 중심에 섰다. 에밀 뒤르켐은 노동분업과 자살, 종교를 사회학으로 설명한다. 사회의 관점에서 돈의 철학을 쓴 게오르크 지멜은 사회학을 통해 철학적 개념의 사회학을 정립한다.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 퇴니스는 순수(이론)사회학과 응용(역사)사회학을 구별한다. 또 막스 베버는 이념형으로 사회 현실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사회학을 창시, 문화 비교연구로 법, 국가, 경제 및 지배의 다양한 이념형적 특징을 밝혀낸다.
철학적 인간학과 후설의 현상학, 하이데거와 존재의 의미, 실존철학과 실존주의, 그리고 해석학, 비트겐슈타인의 언어 철학, 과학론과 과학사, 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던 그리고 해체 등 실로 19세기에서 이어진 20세기의 철학의 지평을 보여준다.
현대 철학의 다양성과 상호성
20세기 후반 철학 학파의 영향은 세분되며, 상호침투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고대 철학, 형이상학, 초월 철학, 변증법적 전통의 고전적 사유는 체계적으로 이어지며 재구성되고 변형된다. 현상학, 해석학, 언어 철학의 상호 교호를 통해 새로운 사유를 형성한다.
서로 다른 계기 혹은 단초와 문제 설정, 사호 다른 개념들이 사용되는 대답에서 어떻게 생산적인 철학적 사유를 기대할 수 있을까 라는 의문, 20세기 들어서 합목적성이 강조되는 상황에서 이성은 도구적, 계산적 합리성으로 전락, 그 대척인 비합리적 상대주의, 역사주의와 결합하여 역사성과 문화가 절대화되는 방향으로 가는데...
이 책은 20세기 철학의 흐름을 분야별로 어떻게 전개됐으며, 어떤 영향을 주고받았는지, 그 관계성을 간결하게 설명해주고 있어, 20세기 철학의 조감도라고 할까, 위에서 내려다보면서 세계관에 따른 주장들이 어디에 놓여있고, 이들은 서로 어떻게 연결지워지는지 전체적인 맥락을 파악하기 쉽다. 작은 책이지만, 커다란 내용을 담고 있어 지적 호기심을 자극하여 모험의 길로 들어서게 한다.
<출판사에서 보내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