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럭저럭 살고 싶지 않다면 당신이 옳은 겁니다
캐서린 모건 셰플러 지음, 박선령 옮김 / 쌤앤파커스 / 2023년 9월
평점 :
나는 완벽주의자인가? 자신이 완벽주의자인줄 모르는 완벽주의자를 위한 가이드
완벽주의자?, 여러분, 완벽주의자에 관한 인상은 어떤가요?, 대체로 부정적이다. 완벽주의를 없애는 방법만 찾을 수 있다면 삶의 모든 부분이 좋아질 것으로 생각한다(부적응적, 부정적 완벽주의) 하지만, 완벽주의자가 가장 높은 주관적 행복감, 삶의 만족도를 보이기도 한다(적응적, 긍정적 완벽주의).
그렇다면 완벽주의는 어떤 것인가?, 완벽주의자는 보통 모든 것이 완벽하기를 원하고 그렇지 않으면 도저히 성에 차지 않는 사람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완벽주의자도 인생에서 벌어지는 모든 일이 완벽하기를 기대하는 건 아니다.
즉, 완벽주의자라고 해서 늘 완벽을 기대하는 건 아니라는 말이다, 그러면서도 왜 나는 완벽함을 도모하지 못하고 불완전한 것들에 실망하는가, 이게 이 책의 핵심이다. 왜 완벽하기 위해 끝없이 노력해야 하는가, 왜 남들처럼 느긋함을 즐기지 못할까?, 궁극적으로는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알고 싶은 것이다. 우리가 생각하는 완벽주의 이미지는 부정적인 듯하다.
완벽주의자의 5가지 유형
자신이 어떤 유형의 완벽주의자인지 이 책을 통해 알게 된다면, 자기 관리가 가능하다. 첫째, 전형적인 완벽주의자는 한결같고, 꼼꼼하며, 주변의 인정과 신뢰가 높다. 인간관계 맺기가 어렵다고 한다. 둘째, 낭만형 완벽주의자는 인간관계를 중요하게 생각하며, 공감 능력이 뛰어나지만, 다른 사람과 연결되고자 하는 욕구가 남의 비위를 맞추려는 행동으로 바뀔 수 있다. 셋째, 게으른 완벽주의자는 준비에 탁월하고, 기회를 여러 방면으로 확인해보며, 충동 조절도 잘한다. 하지만 지나치게 준비에만 매달려, 우유부단함과 무대책을 낳는다. 넷째, 난잡형 완벽주의자는 아이디어가 뛰어나고 어떤 상황이든 잘 적응하고, 타고난 열정이 있다. 목표에 꾸준히 집중하지 못하고 사방으로 분산되어 약속을 지키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다섯째, 열정형 완벽주의자, 목표달성에 쉽게 집중하며, 집중력 유지가 가능하지만, 기준은 불가능 수준으로 높게 바뀌고, 그 기준을 달성하지 못한 자신과 다른 사람들에게 가혹하게 굴 수도 있다. 이 책(15~18쪽의 질문에 답을 하면서, 자신이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를 정리해 볼 수 있다)
나는 어떤 유형에 속할까, 완벽주의자는 우리가 생각하는 그런 유의 완벽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실현 불가능의 목표를 현실로 바꾸는 집중력과 공감, 인간관계, 뛰어난 아이디어, 즉, 완벽주의는 아주 강력한 에너지라는 사실을 인식하는 게 중요하다. 또 하나, 자신이 완벽주의자인 줄 모르고 있는 사람도 적지 않다. 완벽주의는 이렇게 간단하지 않을뿐더러 개별화된 개념으로 펼쳐지는 개념이라 완벽주의가 무엇인지도 확실하게 정의할 수 없다. 까도까도 새하얀 속살이 드러나는 양파처럼 말이다.
적응적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완벽주의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적응과 부적응 완벽주의 두 갈래로 나뉜다. 적응적 완벽주의는 더 높은 자존감, 업무참여도, 심리적 안녕 등 다양한 이점이 있다. 스트레스를 느낄 대 갈등 회피 등 부정적인 대처를 하지 않고 문제 중심적이고 해결 지향적이며, 미래 걱정을 사서 하지 않는다. 이는 아마도 적응적 완벽주의가 몰입 상태에 대한 중대한 예측 인자이기 때문에, 부적응적 완벽주의자보다 목표 달성하려는 의욕이 더 강하다고 본다.
완벽주의는 강박?
당신은 이미 정답을 알고 있어요. 라는 말, 완벽주의와 강박 장애는 동전의 양면이 아니라 전혀 다른 범주다. 완벽주의자도 경직된 행동을 하지만, 여기에는 현실이나 논리와 연결돼있다.
그럭저럭 살고 싶은 사람이 어디에 있겠는가? 나름대로 뭔가 하나라도 일궈놓자. 바로 이 대목에서 완벽주의자일 수 있다. 이 책은 완벽주의에 관한 우리의 생각을 바꿔줄 것이다. 만약 내가 완벽주의자라면 어느 유형에 속할까, 그것을 아는 것만으로도 내 약점이 무엇인지…. 이를 극복하려는 방법을 이 책 속에서 찾아내는 것 또한 흥미로운 일이 될 것이다. 완벽주의자가 아니라면 별로 흥미가 없겠지만 말이다. 자기학대, 처벌 대신에 연민을 해보는 것은 어떨까, 노자가 늘 하는 말 “자중자애(自重自愛=자신을 스스로 중히 여기고, 사랑하라) 자신을 사랑하지도 중하게 여기지도 않은 사람이 누구를 중히 여기고 사랑할 수 있으리오. 완벽주의자에 관한 생각, 오늘도 마음의 양식 한 톨을 얻었다.
<출판사에서 보내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