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하다 1 - 의리를 무기로 천하를 제압하다 현대 심리학으로 읽는 《삼국지》 인물 열전
천위안 지음, 유연지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심리학으로 읽는 관우

 

지은이 천 위안은 심리학자, 작가로서 활동하는데, 현대 심리학 이론을 매개로 역사 속 인물, 사건을 분석하는 심리설사의 길을 열었다. 심리학으로 읽는 <삼국지> 인물 열전 시리즈의 인물로 조조, 제갈량, 관우, 유비, 손권, 사마의를 선택했다. 


충의를 무기로 천하를 제압하다.

 

그런데, 왜 인물 열전 중 이 여섯 명으로 선택했을까, 그리고 맨 먼저 관우 편을 쓴 이유는?, 아마도 무신(武神)이라는 중국 국내의 상징 때문일까? 아니면 의리라는 덕목 때문이었을까, 중국 국내 정치 상황과 관련이 있는 것일까?, 엉뚱한 상상이 꼬꼬무처럼, 지은이는 삼국 역사에 대해 민간에서의 영향력은 관우, 제갈량, 조조 순이라고, 관우가 죽자 역대 제왕들로부터 여러 차례 봉작을 받기도 했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건륭제 때는 “관성대제”라는 칭호까지, 왜일까?, 이유는 왕조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건, 충의다. 즉, 주군에 대한 충성과 의리라서 그러지 않았을까,

 

관우의 탄생설화, 삼국지의 주인공으로 관우를 발탁한 이유

 

나관중이 소설<삼국지연의>을 완성하기 전, 작품인 <전상삼국지평화(全相三國志平話)>에서 관우는 장비에 못 미치는 조연에 불과했지만, 삼국지연의에서는 좌충우돌하는 장비의 앞에 춘추좌씨전을 읽는 과묵한 관우를 배치함으로써 어느 정도 교양을 갖춘 독서층을 겨냥, 관우를 주연으로 발탁했다는 뒷이야기까지. 꽤 흥미롭다.

 

염라대왕의 분노를 산 용이 죽자 관우가 태어났다고. 관우는 용의 환생인가, 대춧빛과 2자가 넘는 긴 수염, 관우는 한족의 우월주의를 상징하는가, 이런저런 내용을 고려해볼 때, 관우는 단지 점집의 모셔진 신, 서울 시내에 있는 동묘, 단순히 신인가, 아니면 중국 한족의 바람의 응집체인가?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실감 나는 대목이다.

 

아무튼, 충의의 표상 관우를 현대 심리학으로 들여다본다면, 어떤 인간형이었을까,

 

1권에서는 4부로, 1부에서 관우, 한나라에 투항하다.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잘못된 신념도 신념이다. 2부 관우, 조조에게 몸을 의탁하다. 3부 홀로 말을 타고 천 리를 달리다. 4부. 다섯 관문에서 여섯 장수를 베다까지를 본다.

 

천 위안은 관우를 천하의 불의 불충스러움을 충의로 바꿔버린 사람이라고, 나관중은 장비보다 앞에 관우를 두고 그를 <춘추>를 읽는 문무를 겸비한 데다 당대의 가치체계의 정점이었던 '충의'까지 갖춘 관우, 조조에게 의탁했던 동안에 그에게는 알게 모르게 그의 운명을 결정지을 못된 버릇이 생기는데, 이게 바로 "오만"이었다.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이제 조조의 이야기로 넘어가 보자. 관우를 파격적으로 대우하면서, 지금까지 충성을 다해 그를 섬겼던 부하들이 관우를 시기하고 질투할 것을 알면서, 짐짓 모른 체했던 이유는 무엇일까, 후일, 관우를 대하는 조조의 태도는 영웅에게는 깍듯이 대접한다는, 크게 중용한다는 이미지로 남게 된다. 물론 이 당시에 조조가 거기까지 생각했을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결과론적으로 보면, 오, 촉의 장수들이 조조 진영을 찾아갔던 것은 그만큼 기대가 컸지 않았을까, 관우 또한 이때 조조로부터 배운 게 있다. 위에서 말한 '오만'이다. 결국, 병 주고 약 주고 한 셈이니. 물론 나관중이 그것까지 계산에 넣었을까 하는 의구심도 들지만,

 

현대 심리학이 관우에게 말한다. 관우 장군은 참, 복잡한 사람이구려라고, 자기합리화와 설득의 기술, 이목 집중의 효과 등을 적절하게 쓰지만, 충직한 관우의 내면 갈등을 어떻게 극복했는지, 심리학이란 돋보기로 관우를 톺아보면, 적절한 심리이론을 지은이는 설명한다. 과연 관우는 이 시대에 멘토 같은 존재일까? 아니면 이 시대를 살기에 부적합한 것일까?

 

여기서 유비는 설득의 고수로, 원소를 가지고 노는 폼이, 전쟁에서는 매번 패하지만, 언변술은 만만치 않다는 점을 보여준다. 역전의 고수처럼, 불리한 처지를 자신의 판으로 뒤바꾸는 재주, 누구에게나 한 가지 뛰어난 점은 있기 마련이란 점을 보여준다.

 

이 책에서 압권은 "도원결의"의 의미가 내집단의 끈끈한 연대를 흔드는 그 무엇에 어떤 식으로 관우가 대응하는지, 어떤 과정을 통해서 결정했는지, 조조는 그를 진심으로 곁에 두려 하는데, 이를 애써 외면하는 관우, 그러면서도 조조의 베풂을 감사히 여긴다. 훗날, 조조를 놓아주는 관우. 이 순간 하늘은 촉을 외면한다. 아니, 그렇게 정해진 것인가, 바로 이런 의리 때문에 관우는 역사에 길이 남는다. 듬직하고 믿음직한 장수로 충의의 화신으로 무신으로. 중국인들에게 관우는 그런 존재다. 행동이 신념을 바꾼 것인가, 신념이 행동을 바꾼 것인가, 참으로 복잡하다. 관우가 조조를 놓아준 행위는 의리인가 충의인가, 자기만족을 위함인가…. 이런 상상을 해볼 수 있는 것도 이 책이 주는 즐거움이다.

 

<출판사에서 보내 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