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개인적인 군주론 - 나를 지키는 마키아벨리 500년의 지혜 내 인생에 지혜를 더하는 시간, 인생명강 시리즈 15
이시한 지음 / 21세기북스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대한 사람에 관한 책이 아닌, 한 사람을 위대하게 만드는 책

 

500년 전에 마키아벨리가 쓴 <군주론>을 지금 우리 시대로 옮겨 놓은 이 책<아주 개인적인 군주론>은 군주를 위하는 대신 한 사람을 위대하게 만드는 책으로 자리매김하는 현대적 해석이다. 군주론의 쓰임은 다양하다. 시대가 변하는 동안 군주론은 군주를 위한 책이 아닌 리더를 위해서 조직활동가를 위해서, 팀을 위해서 다양한 방면에서 적용되는 인간 관계론과 성취론이기도 하다.

 

사마천이 궁핍한 처지가 아니었다면 “사기”라는 위대한 저술이 나올 수 없었듯, 마키아벨리 역시 출세해서 승승장구했다면 “군주론”이 세상에 나올 수 있었을까?, 책 속에 담긴 그들의 소망과 기대를 제대로 읽어내는 지혜가 필요하다. 시대의 변화와 함께, 그 시대에 맞게 해석해야 그 책들이 살아있을 수 있기에. 지은이 이 시한의 번뜩이는 아이디어가 돋보인다. 군주론은 군주만을 위한 게 아니라 아주 개인적인 세상에서도 통하는 거 아니야는 발상, 기발하다.

 

지은이는 사회적 관계를 이루며 살아가는 데 필요한 표면적 기술이 아닌 원론적 법칙을 <군주론>에서 끌어낸다. 이 책은 4부 체제이며, 1부 진짜 마키아벨리를 만난다에서는 마키아벨리는 이탈리아가 사분오열 이른바 춘추전국 시대일 때, 피렌체의 유력가문이었던 메디치가가 지배하던 때 등용된 하급공무원, 메디치가의 부침과 함께 등용과 내침의 심란한 삶을 살았던 마키아벨리, 메디치 가문에 군주론이란 글을 바쳤지만, 빛을 볼 시대적 상황이 아니었다. 왜 다시 군주론인가, 불행을 견디는 자세, 2부 변화된 사회와 새로운 군주론에서는 변화에 따른 해석, 3부 군주론에서 배우는 리더의 자질과 조건, 4부 통치의 기술, 모든 것은 사람으로부터, 에서는 각자도생 사회에서의 군주론을, 이 책에 담긴 내용 역시, 보편성을 가진 지혜는 시대와 사정이 변하더라도 생명력을 지닌다는 점을 새삼 느끼게 한다.

 

군주론의 군주 모델 “차사레 보르자”

 

교황 알렉산데르 6세의 아들로 18세에 추기경이 됐다가 스스로 사임한 최초의 인물로 이탈리의 통일을 꿈꾸며 피렌체를 공격하려 하는데, 외교부의 말단 공무원이었던 마키아벨리는 프랑스 왕을 만나 차사레 보르자의 침략을 포기하도록 로비했다. 뇌물을 써가면서. 이탈리아의 혼란과 함께 16세기 가톨릭의 세계는 이른바 “종교개혁”의 시대로 접어들 때다. 교권 중심에서 인권 중심의 세상으로 변화하고 있었다. 군주론은 이런 시대에 필요한 강력한 리더와 리더십이 어떻게 발휘되어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과연 마키아벨리에게 어지러운 정세를 바로잡을 혜안이 있었을까?, 혼란의 시기와 모진 삶을 견디며 역사에 남을 글을 쓸 수 있었을까?, 바로 권력의 밑에서 보고 겪은 경험에 근거해 문제를 분석하고 개선 방향을 객관적인 시선으로 기술했기에. 즉, 권력의 속성과 위기, 치세, 외교, 내부갈등을 지켜보면서, 아, 이래서는 안 되는데 이렇게 해결해야 하는 게 평화, 배려다, 실제로 그럴 필요는 없다. 사람들이 겉으로는 그렇게 느끼게 해야 한다. 군주의 정권 유지를 위해서. 마키아벨리즘, 한편으로 마키아벨리는 불행을 견디는 법을 알고 있었다. 위기 속에 놓이더라도 희망의 끈을 놓지 말라는 것이다. 일희일비함으로써, 살아있음을 넘쳐나는 시간에 책 속으로, 자기 생각을 글로, 책을 펴내고, 안내고는 별문제다.

 

군주론에 관한 이해

 

26개 항으로 구성된 군주론, 국체, 군대, 너그러움과 인색함, 군주의 신의, 군주가 탁월하다는 평가를 받으려면, 군주가 써야 할 관리들, 아첨꾼을 피하는 법, 행운은 인간사에서 얼마나 강하고, 인간은 행운에 어떻게 저항할 수 있는지, 이탈리아를 장악해 야만들로부터 해방하라는 권고 순으로

 

군주론의 세 가지 주제, 역량과 운

 

“역량과 운”, “정치와 윤리”, 그리고 “이미지론”이다.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도 늘 행운과 역량을 생각한다. 마키아벨리는 행운이 아주 큰 힘이 되지만 기본적으로 역량이 갖춰졌을 때, 시너지 효과를 발휘한다. 행운이 오지 않더라도 역량을 갖춰야 한다는 점이 더 중요하다. 행운과 역량의 비교 예로써 사랑과 두려움의 관계를, 사랑은 자유의지지만, 두려움은 군주가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있다는 점이다. 군주는 사랑보다는 두려움을 택하는 것이 옳다고….

 

정치와 윤리, 대의를 위한 정치와 윤리의 분리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하여 뭘 어떻게 해야 할까, 권력과 통치의 분리, 동서양의 관념에 따라 달리 접근하는데 공맹은 군주의 “덕”을 강조하는데 정치와 윤리의 일체관이다. 서양의 사고는 정치와 윤리를 구분 높은 정치역량이 있어야 한다. 덕은 높으면 좋겠지만 반드시 높지 않아도 된다는 말이다. 동양에서는 덕을, 서양에서는 역량을 우선시했다. 명분보다는 실리를 선택한 것이다.

 

마키아벨리즘이 오해받는 이유는 그의 주장 점의 전체적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고, 특정 표현을 끄집어내다 보니 왜곡될 수밖에, 앞뒤 생략하고 특정 부분만을 말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 뉘앙스가 달라지지 않는가, 마키아벨리즘도 이처럼 받아들여지고, 또 이미화 된 것이다. 핵심은 권력의 악행을 두둔하는 게 아니라 악행과 잔인함은 공익을 위해서라면 서슴없이 활용하라고 하는 말이다. 그 전제가 공익이다. 물론 공익을 어떻게 해석하는가는 별개의 문제지만….

 

이미지론, 잘하는 것과 잘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

 

국민이 군주가 실제 어떤 일을 어떻게,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 아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그보다 국민이 군주가 일을 잘하고 있는 것처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즉, 이미지관리를 해야 한다는 말이다.

 

군주론을 관통하는 세 가지, 고전을 읽어야 할 이유다

 

운과 역량 중 어디에 집중할 것인가, 대의를 위해 정치와 윤리를 분리함으로써 좀 더 실용적인 측면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음을, 인격적으로 훌륭하더라도 이를 널리 알릴 수 있는 이미지 관리의 필요성, 이런 내용은 오늘날 더 필요한 내용이 아닌가 싶다.

 

 

<출판사에서 보내 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