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국지 기행 1 - 길 위에서 읽는 삼국지, 개정증보판 ㅣ 삼국지 기행 1
허우범 지음 / 책문 / 2023년 5월
평점 :
삼국지 기행 1
길 위에서 읽는 삼국지, 지은이 허우범은 이야기꾼이다.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의 탄생 비화까지 곁들어 삼국지의 무대와 역사적 배경을 풀어내고 있다. 지금, 왜 삼국지를 다시 읽어야 하는가, 관우는 공자에 버금가는 중국의 영웅이 됐다. 무신(武神)으로, 이 역시 후대 사람들의 정치 공학 때문이다. 지금은 관광지가 돼버린 옛 영웅들의 무대, 지은이는 그 길과 역사가 서린 공간과 장소를 찾는다.
삼국지는 말 그대로 소설이다. 하지만, 삼국지를 다시 읽어야 할 이유는 따로 있다. 중국과 중국인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무엇보다 값진 교과서다. 소설로서의 재미를 통해 난세를 살아가는 지혜를 읽히는 것도 필요하지만, 소설의 이면에 숨겨진 역사적 사실과 중국인들의 사고방식을 살펴보는 것도 중요한 공부다.
흥하는 게 있으면 망하는 게 이치다
역사가 E.H.카는 역사를 흥망성쇠라 표현했다. 조선 개창과 유지의 주역 이방원은 공세에서 수세로 무로 일으켰던 나라를 문으로, 일으키기도 어렵지만 유지키는 것도 어려운 법을 깨달았을까, 일본 천하를 제패했던 도쿠가와 이에야스 역시, 수세, 연착륙을 위해 권력을 자식에게 넘기며, 그 자리를 굳건히 하기 위한 선택으로 뒤에서 정적을 제거한다. 이 둘 사이에는 수백 년의 시차가 있지만, 이 둘의 선택은 놀라울 정도로 비슷하다. 무도한 피의 역사를 감추는 장치 문무쌍전(文武雙全)의 정치술은 보편적 진리인가?
삼국지에 등장하는 청류파 행동도, 역시 고려에서 조선으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신분 상승을 노리는 청류파(이른바 신진사대부)와 두문동으로 들어갔던 고려의 충신이라는 이분법 구도로 이해가 보다는 이렇게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고려의 충신파, 청류파의 정치 참여를 냉소와 냉담으로 일갈했던 지식인그룹을 일민적(逸民的-백성을 떠난 자)으로 분류, 결국에는 세 개의 입장이 있었다는 말이다. 단순히 충신파라 분류 짓기에는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하지만 말이다.
삼국지 기행은 1, 2편으로 나뉘었고, 1편에는 중원이 곧 천하다, 관우의 등장과 난세의 영웅들 동탁, 유비, 조조, 그리고 조조의 중원통일까지, 2편에서는 장강은 말없이 흐른다에서는 승상이 된 조조와 유비의 이야기를….
지은이는 길을 따라 삼국지를 무대를 찾아 나서는 가운데 중요한 키워드를 추려내어 설명을 덧붙여두었는데, 책 내용보다는 오히려 눈길이 간다. 예를 들면, 유협(遊俠)의 역사가 만든 결사체, 도원결의, 삼국지에 서두에 나오는 유비, 관우, 장비의 도원결의를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이 도원결의, 서로 다른 사람들이 사리사욕을 버리고 목적을 위해 합심한다는 사자성어, 역사적 사실이 아니지만, 마치 사실처럼 여겨지는 이유는 현실 사회에서 파생되는 공통된 소망과 기원 등이 도원결의로 발현되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에도 미래에도 인간 사회의 염원을 담아내는 도구로써 존재할 것이다.
관우의 탄생설화, 삼국지의 주인공으로 관우를 발탁한 이유
나관중이 소설<삼국지연의>을 완성하기 전, 작품인 <전상삼국지평화(全相三國志平話)>에서 관우는 장비에 못 미치는 조연에 불과했지만, 삼국지연의에서는 좌충우돌하는 장비의 앞에 춘추좌씨전을 읽는 과묵한 관우를 배치함으로써 어느 정도 교양을 갖춘 독서층을 겨냥, 관우를 주연으로 발탁했다는 뒷이야기까지. 꽤 흥미롭다.
염라대왕의 분노를 산 용이 죽자 관우가 태어났다고. 관우는 용의 환생인가, 대춧빛과 2자가 넘는 긴 수염, 관우는 한족의 우월주의를 상징하는가, 이런저런 내용을 고려해볼 때, 관우는 단지 점집의 모셔진 신, 서울 시내에 있는 동묘, 단순히 신인가, 아니면 중국 한족의 바람의 응집체인가?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이 실감 나는 대목이다.
중화주의에 따라 패륜아가 된 난세의 비장
삼국지의 명구 ‘사람 중의 여포요. 말 중의 적토마다’, 영웅 여포는 왜 패륜아로 만들어야 했나, 나관중의 의도는 그가 몽골 출신으로 한족의 문화와 다른 유목민의 문화는 야만적이었던 점에서 최고의 장수임에도 자신의 안위를 위해서는 상관도 거침없이 죽여버리는 패륜으로 몰아간 것이다. 자신의 양부인 정원을 죽이고 동탁에게 갔다고. 하지만 역사서에는 정원이 양부라는 기록은 없다.
악의적으로 배은망덕한 인간으로. 그렇다면 유비는 어떠한가, 여포의 도움으로 전쟁과 죽음의 위기를 모면하게 해주었는데, 유비는 조조에게 여포를 죽이라 하지 않았던가, 황실의 후손이라는 거짓 정치적 발판으로 만들고는 진정한 황실의 후손이자 집안 형제인 유장을 쫓아내고 사천을 차지 한 것은 무엇으로 변명할 것인가, 역사는 승자의 것이며 패자는 배은망덕의 죄인인 것을. 삼국지연의가 촉한 정통론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내기에.
위민정치란 어디에도 없다.
백성을 위하고 세상을 평안하게 만든다는 정치는 위정자들의 정권 유지를 위한 책략에 불과하다고 지은이는 갈파한다. 맹자가 말하는 이치, 국태민안이란 교과서에 나오는 이상일뿐 현실 세상은 그렇지 않다고, 정권 유지는 태평성대요 정권 혼란은 위정자들로부터 시작되며, 압제는 이러한 혼란으로부터 나오며, 압제의 대상은 백성이다. 순자는 군왕이란 배요, 백성은 물이다. 물은 배를 띄울 수도 있고 엎어버릴 수도 있다고. 세상을 뒤집어 엎어버린 역도의 무리는 또다시 새로운 시대를 여는 백성이 된다.
이렇게 삼국지의 행간에 담긴 역사적 배경을 풀어내는 장면은 마치 삼국지를 지금, 여기에 소환해놓은 듯하다. 기행문이면서도 삼국지의 해설책처럼 흥미진진하다.
역사란 과거의 사실을 단순히 열거해놓은 것이 아니라, 그 현상은 다를지언정 그 본질에서는 끊임없는 반복의 사슬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어제의 삼국지와 오늘의 삼국지는 읽는 맛이 또 달라지지 않겠는가, 이 책은 그 옆에서 감칠맛을 내는 양념처럼.
<출판사에서 보내 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