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조仁祖 1636 -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유근표 지음 / 북루덴스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조는 혼군? 진짜, 병자호란은 인조의 무능으로 일어난 것인가? 

 

인조, 1636년, 혼군의 전쟁, 병자호란, 역사에 만약~ 라면이라는 전제는 없다. 이미 일어난 일이다.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기에 실체적 진실발견이 어려울 수도 있다. 그래서 당대에 혹은 후대에 나온 관련 사건을 다룬 책을 통해서 진실에 접근하려고 노력하기도 한다. 조선왕조실록을 해석하고 또 톺아보면서 실마리를 찾아 나서는 지은이, 대중 역사서는 역사의 단락을 상상력을 메꾸기도 하는데, 이덕일 등이 다뤘던 주제 “소현세자”, 청나라에서 돌아온 후 얼마 되지 않아 의문의 죽음을…. 독살설이 등장하기도….

 

이 책은 역사평설이라는 장르에 속한다. 비평하여 설명하는 ‘평설’, 인조가 왜 혼군인가, 이 책 행간에 드러나는 인조의 언설, 영화<남한산성>에 나오는 청과 화평을 주장하는 비둘기파의 최명길, 항전을 주장하는 매파의 김상헌, 우리는 심증적으로 최명길의 선택이 옳았고, 김상헌을 유학 논리에 찌든 골빈 양반네라고 그저 체면에 체면을 입에 달고 사는 고집불통으로 현실 파악에 아둔했다고, 말하기 쉽지만. 이 둘 다 광해를 몰아낸 사람들이며, 같은 뿌리의 사람들이다. 둘 다 옳고 그름을 따질 수 없다. 

 

청나라와의 관계를 어떻게 풀 것인가를 놓고 생각이 다를 뿐이었다. 청을 일개 여진의 오랑캐로 보면서 명나라에 의리를 지켜야 한다는 명분파이고, 최명길은 실리파일 뿐…. 이 책의 구성은 병자호란전 인조, 병자호란 중 인조, 병자호란 후 인조로, 병자호란과 인조를 파헤친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 중 인조실록과 승정원일기, 만문노당 등 1차 사료와 병자호란에 관련된 서적을 참조했다고 한다. 글쎄다. 인조실록은 인조를 왕좌에 올린 세력이 쓴 것아닌가, 아무튼... 인조를 조명해 볼 욕심이 생기게 한 건 사실이니... 

 

인조는 왕권을 제대로 행사한 왕인가?, 아니면 사대부의 일인자로 그들과 공동정권을 구성한 파트너일 뿐인가?, 병자호란 발생의 결정적 원인은 당대 국제질서에서 찾아야….

 

당시의 권력을 잡으려던 사대부들이 선택한 왕, 이른바 “택군”을 했던 이들이다. 인조가 혼군인가?, 인조를 왕으로 보는가, 아니면 사대부의 일인자로 보는가, 이 대목에서 설명은 조금 부족한 듯 보인다. 인조의 언행에 영향을 주는 쪽이 어디였는지, 이들과의 공동정권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다. 시오노 나나미의 <로마인 이야기>에서 로마 황제를 일인자라고, 그러니 누구든 왕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이처럼 인조도 사대부의 한 명이며 그 지위는 일인자일 뿐인데... 조선왕조실록은 왕을 중심으로 기술할 수밖에 없기에, 왕이 절대적 위치에 있는 것을 전제로 할 뿐이지 않을까라고 생각하는 이들도 있을 듯하다. 

 

광해의 대명정책, 대청정책을 비판하면서 쿠데타를 일으킨 이들, 대청 화해, 화평전략을 취했다면 인조는 또다시 왕좌에서 밀려날 수 있다는 생각을 했던 게 아닌가?, 아들과의 관계 며느리와 손자들을 죽음으로 내몰고, 쫓아낸 시아버지, 할아버지라는 이유로 혼군, 어리석은 왕이라 할 수 있나?, 이런 결정을 인조 스스로가 한 것일까, 아니면 어떤 힘의 작용으로 자신을 왕좌에 올린 이들과 소현세자의 사상을 위험스럽게 

생각한 이들, 같은 부류일 수도 있고, 다른 부류일 수도 있을 수 있겠지만... 

 

조선에서 무능한 왕 중으로 손꼽히는 인조, 왜 인조는 그렇게 됐나? 의문이다. 

이 책은 병자호란이 일어나게 된 하나의 배경과 남한산성에서의 항전, 누르하치와 청 태종과 청 제국의 완성 등의 상황을 다루고 있지만, 인조의 자기애, 무 베려, 덜 된 품성, 왕재로서는 하자가 있는 사람이다. 애초에 왕의 자질이 없던 사람, 이런 사람을 왕좌에 앉힌 이들, 결론적으로는 혼군이라는 소리를 들을 법한데, 그게 인조가 전적으로 책임을 져야 할 것들인가, 말 그대로 사대부의 일인자로서 왕, 사대부와 함께 국정을 끌어가는 공동정권….

 

아무튼, 새롭게 소개된 부분도 있다. 하지만, 책 표지에 적힌 대로 어리석은 임금의 전쟁, 병자호란이라고 단정을 지을 수 있을까?, 국제정세라는 커다란 흐림과 소용돌이에 휩쓸린 조선,

청소년 도서에 역사 인물 명장<임경업 장군>이라는 이미지, 그러나 임경업은 실제 조선을 위해 싸우지 않았다고, 청과의 전쟁을 피했다고, 명에 충성하는 그의 태도는 비판받아 마땅하다고…. 이 대목에서 그런 역사적 평가가 있었던 것인가 하는 점에서는 꽤 흥미로운 주제다. 

 

청의 통역으로 조선을 곤혹스럽게 만들었던 태관 정명수의 쇠락을 다루기도 한다. 뭐 좋게 말하면 병자호란의 전모를 드러내 보이려 했던 노력이 보인다. 다만, 인조 자체는 왕재의 자질이라기보다는 그저 실세 권력의 이익을 대변하기 위해 왕좌에 올려진 사람이지 않았을까, 그러기에 국운과 백성의 목숨, 그리고 전쟁으로 고생의 늪 속에서 헤맬 모든 사람을 외면했다고, 혼군이라한다면, 광해를 무너트린 쿠데타 세력과 인조의 관계, 국정에서 인조영향력 등을 다른 각도에서 조명했어야 할 게 아닌가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출판사에서 보내 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