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쿠로스 쾌락 (그리스어 원전 완역본) 현대지성 클래식 47
에피쿠로스 지음, 박문재 옮김 / 현대지성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런 쾌락과 그런 쾌락은 뭔가, 에피쿠로스의 쾌락 이해하기

 

이 책은 에피쿠로스의 현존 원고 전체 8편 그리스어 완역, 어떤 욕망에도 흔들림 없이 살게 하는 ‘아타락시아’를 누리는 길, 평정심, 무욕, 무아지경, 나를 버리면 나를 얻는 것인가, 

 

신의 세계, 신의 나라, 신의 시대였던 중세, 고대 그리스 신과 인간의 조화 그리고 인간 세상과 쾌락이 이런 쾌락과 그런 쾌락으로 재단되어 양분되고, 왜곡되던 중세 암흑의 시대, 신성모독, 신의 섭리를 부정하는 모든 것은 사회로부터 추방, 공동체로부터 배격, 이단시 됐다. 

 

그 가운데 에피쿠로스도 끼어있다. 철학자 에피쿠로스가 어느 정도였는지는 전해지는 이야기를 통해서만 짐작할 뿐이다. 최근 황인규 작가의 소설 <책사냥>(인디페이퍼, 2022)은 에피쿠로스학파의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라는 전설의 책을 독일 땅 어느 한 수도원에서 찾게 되는데, 이를 둘러싸고, 장서관장과 수도원장과의 대화가 흥미롭다. 쾌락은 이단이나, 알고 이를 금하는 것도 모르고 무조건 금하는 것은 다르다는 것…. 신의 세계의 균열은 인간이란 도대체 뭐지라는 의문에서 비롯됐다. 신의 창조물이란 대상물의 틀을 깨고, 인간세계를 열어나가게 된다. 

 

소설의 소재가 될 만큼 에피쿠로스의 철학이 큰 영향력을 미치는가, 긍, 부정 어떤 의미이든 간에…. 현대지성 클래식 47번째로 출간된 이 책, 우리가 읽어봐야 할 이유가 있는지, 무조건 고전이니 봐야 한다는 이야기는 아닌 듯하데, 그 포인트를 찾아보자.

 

이 책의 구성은 8장 체제다. 에피쿠로스의 생애를 언급하고, 헤로도토스, 피토클레스에게 보낸 서신(2, 3장)과 현자론(4장),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낸 서신(5장)과 주요 가르침과 그의 어록, 그리고 저작의 단편을 싣고 있다.

 

에피쿠로스를 ‘서양에 노자’라 부르는 까닭은, 인간의 최고의 선은 세계의 작동 원리와 욕망, 쾌락, 고통의 한계에 대한 참된 지식을 통해서 아타락시아-두려움에서 해방된 평정 상태-, 아포니아-고통 없는 몸-이라는 소박하고 정적이며, 지속 가능한 쾌락을 누리는 것이라 믿는다. 물론 육체적 쾌락이 아닌 정신세계의 행복 추구다. 이른바 평정심, 자중자애, 심신의 고통으로부터 해방되어 평정심을 유지하고 사는 것, 자체가 ‘쾌락(快樂)’이다. 유쾌하고 즐거움 혹은 그런 느낌이다. 자신을 귀중히 여기는 것만큼이나 남도 귀중하게 여겼다. 당대의 평가가 엇갈렸던 에피쿠로스, 악의적인 부정을 당할만한 이유가 어디에 있었나, 아마도 당대 노예와의 관계에서 모든 사람에 대한 인간애라는 점 때문이지 않았을까 싶기도 하다. 그의 태도는 노예제를 바탕으로 하는 사회질서를 근본부터 흔드는 위험한 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또 하나 눈에 띄는 대목이 있다.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낸 서신에서, 에피쿠로스는 가장 큰 선은 ‘사려 깊음’이라고…. 사려 깊음에서 모든 미덕이 생기고, 이것은 사려 깊고 아름다우며 정의로운 삶 없이는 쾌락의 삶도 있을 수 없고, 쾌락의 삶 없이는 사려 깊고 아름다우며 정의로운 삶도 있을 수 없음을…. 가르치고 있다.

 

에피쿠로스의 철학, 원자론적인 우주관과 세계관, 즉 유물론에 터 잡은 자연철학이었기에 인간의 영혼과 신도 물질적인 존재로 보고 신화적인 신의 개입을 철저하게 배제했다. 신의 세계, 신의 나라였던 중세에는 에피쿠로스 철학이 필연적인 이단이 될 수 밖에 없는 운명이었다. 또 보자. 야심과 경쟁으로 마음의 평정을 해칠 수 있는 공적인 삶을 멀리하였다. 아마도 이런 점에서 보면, 공자와 노자를 비교했던 최진석<홀로 읽는 도덕경>의 한 대목이 떠오른다. 본보기(군자의 도, 모범, 이상형)를 정해놓고 정진하는 이들은 늘 대상과 같이 되지 못함을 불만스레 여기기도 하고 열등하게 생각하기도 하여, 실제 범인의 경지를 넘어섰는데도 만족하는 삶을 추구하지 못한다. 한편 노자는 나를 귀하게 여기며 세상의 주인공이 내 자신임을 잊지 말라고…. 물론 여기에서 공자를 남성성으로 이미지로 노자를 여성성의 이미지로 보기도 하지만….

묘하게 에피쿠로스의 어록과 도덕경 속 생각나는 구절들이 비슷한 맥락처럼 느껴진다. 

 

<출판사에서 보내 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