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교육처럼
이지현 지음 / 지우출판 / 2022년 11월
평점 :
절판


프랑스 교육처럼

 

 

프랑스 교육방식과 내용을 벤치마킹, 연구대상, 주목해서 봐야 한다 등등, 북유럽의 핀란드 등과 함께 선진교육이라고 하는데, 뭐가 선진적이지 전체 모습으로는 긍정적인 면이 분명 보이기는 하지만, 교육의 목적에 뭐가 다르냐는 점에서는 특별히 기억나는 게 없다. 

 

이 책에서 교육의 목적은 공부를 잘하는 데 있는 게 아니라 가치 계발에 있다. 즉, 원리원칙을 아무리 잘 외우고 몸에 익혔다 할지라도 어떻게 쓸모 있게 만들 것인가, 즉 가치 계발을 하는 데 있다고 하는 말은 맞다. 동감한다. 지은이는 15살 때, 고등학교 진학에 실패한 후, 프랑스로, 전공을 살려 음악을 하겠다는 목표 외에는 아무것도…. 그렇게 해서 시작된 프랑스에서의 고교생활과 대학진학 법학을 공부했지만, 음악에 대한 열정으로 또다시 음대에서 플루트를 전공…. 범상치 않은 삶이다. 

 

 

 

 

프랑스의 고등학교 철학 시간, 자신이 생각하는 의견을 모두 앞에서 자기 논리로 목소리로 밝히는 것, 누군가의 질문에 답하는 방법들, 이른바 주장과 토론의 연습과 실천의 장이 학교 교실이다. 

 

지은이가 이 책에서 말하고자 하는 프랑스 교육법은 지금의 교육환경과 체계 안에서 생각에 관한 생각을 더 하고 기르며 내재한 ‘기회’와 ‘희망’을 찾는 데 도움이 될 구체적인 해결법이라는 것인데, 위의 철학 시간 교실 모습과 다르지 않다. 물고기를 잡아 주는 교육이 아니라 물고기 잡는 법을 가르쳐주는 교육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듯하다. 

 

부제로 “엄마들의 대반란 교육 프로젝트”, 우리의 아이들이 세상을 바꾸는 힘을 갖게 할 비법 대공개, 

이 책은 7장 체제다. 1장 없음- 무에 대한 취향, 2장 몰입-생각을 기르는 수업, 3장 각성-바칼로레아의 마법, 4장 실전-바칼로레아 논술 작성법과 예시 답안, 5장 인성- 학생 권리 vs 교사 권리, 6장 일상화- 삶을 바꾸는 클리셰, 프랑스 예체능 교육, 7장 전문성- 학문은 대학에서, 전문 기술은 직업 전문학교에서

 

없음과 몰입, 각성, 실전, 인성, 일상화, 전문성이라는 키워드는 연속적이거나 독립적이다. 이 책의 특성이기도 하다.

 

우리 사회, 학생 권리 대 교사 권리

 

이 책은 좋은 교육을 받을 권리와 좋은 수업을 제공할 권리, 맞담배를 피우는 교실 밖 대 권위를 존중하는 교실 안, 존중으로부터 나오는 교사의 권위, 독특한 방학 시스템

존중으로부터 나오는 교사의 권위에 눈길이 간다.

 

지은이의 경험 속에서, 고등학교 때 예술을 하는 학생들이 다니는 클래스를 다녔다. 음악사와 미술사를 가르치는 선생님이 담임교사였다. 그에는 지은이는 예술을 접고 법학을 공부하겠다고 말했을 때, 법학은 어려운 공부라며 진지하게 함께 고민해주었고, 결국에는 지은이의 선택을 존중해주었다는 대목을 소개하고 있다. 글쎄다 모든 프랑스 교사가 다 그런가, 일반적인가 하는 문제는 언급이 없어서 모르겠다. 다만, 이런 경향성이 있다는 점은 이미 여러 교육 관련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바가 있기에…. 다만, 이 대목을 비롯하여 이 책을 읽을 때 유념해야 할 것이 있다. 

 

이 책의 지은이는 자신의 경험했던 프랑스 고등학교 교육체계와 내용과 프랑스 사회의 교육에 대한 관념과 접근 태도, 교육목적 등과의 연관 속에서 살펴야 할 점들이 적지 않다는 점이다. 

 

일반교양, 연구는 대학에서 하고, 직업교육은 전문학교에서 하는 게 맞다. 통상 어느 나라에서건 고등교육에 관한 일반적인 틀이다. 어차피, 독일, 프랑스, 영국 등의 교육제도와 미국 교육제도가 혼합, 혼용된 채로 계수된 때문인데, 문제는 교육 내용에 뭘 담아낼 것인가, 이는 교육목적과 목표와 상관된다. 홍익인간, 널리 사람을 이롭게 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인가?, 갑자기 궁금해졌다. 

 

우리 교육기본법 제2조 교육이념에서

 

“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이 인격을 도야(陶冶)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함으로써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국가의 발전과 인류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정해두고 있다. 얼추 프랑스 교육목적과도 통한다고 본다. 

 

실제 이런 교육이 이뤄지고 있는가?, 지금 용산이나, 여의도를 보면, 전혀 그렇지 않다는 생각이 들 수밖에…. 이른바 지덕체를 갖춘 일반 시민을 길러내는 게 교육이라면, 지금 교육은 완전히 실패다. 

 

헌법에서는 뭐라 했는가 보자, 헌법 제31조는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가 있다고 했다. 

이제는 개천에서 용이 나지 않는다는 말 또한 참으로 무서운 말이다. 신분 상승의 기회, 고속 혹은 수직상승의 티켓을 얻기 위해…. 한 마리의 용이 나오면 나머지 99.99%는 뭐란 말인가, 대한민국에서 태어난 아이들이 한참 뛰놀고 하고 싶은 놀이, 공부, 활동해야 할 나이에 이 학원 저 학원으로 돌아다니면서 기계적, 기능적 학습을 한다. 수학은 왜 해야 하는지 잘 모른다. 그저 좋은 대학 가기 위해서…. 좋은 대학이란 뭔가, 취업이 잘 되고, 학벌은 물론 학맥 이른바 동문이 짱짱해야…. 그 그룹과 집단에 들어가기 위해 많은 시간을 허비해야 하는가?

 

사회 구조 전반, 교육에 대한 인식, 이런 게 바뀌지 않고서야, 엄마들의 대반란은 그저 한두 명의 창의적이고 자립적, 자율적인 인간을 길러내는 데 만족해야 할까?

 

왜 하필 프랑스 교육인가? 라는 지은이의 물음, 주어진 교육 현실과 체제 안에서 아이들의 자기 계발을 돕고 자아실현의 길로 이끌 것인가? 이런 유의 책들이 자주 나와야 한다. 이 책은 예술을 목표로 했던 지은이가 프랑스에서 자신이 경험한 교육 내용, 그리고 프랑스의 교육체제를 소개하고 있다. 꽤 흥미로운 이야기가 담겨있다. 한편으로는 학술적인 접근이 아니라서 공감을 얻기 쉬운 면도 있다. 글쎄다. 프랑스 교육처럼이라는 이야기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할 텐데….

 

 

<출판사에서 보내 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