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인종, 계급 Philos Feminism 2
앤절라 Y. 데이비스 지음, 황성원 옮김, 정희진 해제 / arte(아르테)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유의 전사, 흑인, 레즈비언, 페미니스트 

 

여성, 인종, 계급을 흑인 여성의 시각에서 본 미국사, 이 책은 미국의 페미니스트 안젤라 이본 데이비스가 1981년에 발표한 여성학 이론의 고전이다. 40년 전에 쓴 이 책을 관통하는 개념은 “평등”이다. 

 

이 책에서 다루는 여성과 인종, 그리고 계급 개념은 그리 간단하지 않다. 인종과 계급, 지역처럼 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차이나 개인의 성격에 따라 젠더나 여성성(페미니티)을 실행하는 방식이 다른 여성들도 있다. 이 중 누구를 여성이라 말할 수 있을까. 가부장제 사회에서 규범적 여성-젊고 예쁜 중산층 여성-은 남성이 정한다. 여성주의는 아줌마, 할머니, 노예 여성, 트랜스젠더 여성도 여성이라고 주장하며 여성의 범위를 확장한다. 페미니즘 이론과 운동의 목표는, 개별적인 인간인 여성을 남성 공동체를 위한 성 역할 노동자 집단으로 환원시킨 성차별체제에 대한 도전이자 여성의 개인화와 인간화다. 페미니즘은 여성이 억압받는 존재라는 자각과 함께, 여성이라는 범주를 만들어 권력을 해체하자는 주장이다. 이 책을 해제한 여성학자 정희진은 페미니즘은 여성의 같음과 다름을 동시에 주장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 책은 13장으로 구성됐다. 1장은 흑인 페미니즘의 의의는 여성이 어떤 집단에 속해 있는지에 따라 여성주의가 다른 모습이 될 수 있음을…. 그리고 2장에서 9장까지는 참정권 운동에서 인종과 성별의 연대와 배제 등 복잡한 역사를 정리하고 있다. 10장은 흑인 여성 공산주의자를 소개한다. 11장에서 13장은 흑인 여성의 몸, 섹슈얼리티와 관련된 부분이다. 상품으로서 인간-노예-외에는 우생학적 측면에서 장애 여성이나 흑인 여성의 출산을 제재해야 한다는 남성 공동체의 생각, 또한 여성을 가장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강간과 강간 문화는 가부장제 유지에 핵심적인 제도다. 남성지배문화는 남성 간의 차이를 이용하여 이를 우연적이고 일탈적인 사건으로 만든다. 백인 여성이 백인 남성과 흑인 남성의 몸을 비교한다는 신화 등….

 

성차별, 인종주의는 지배세력이 정한 규정

 

서구인, 백인, 남성은 개인으로 간주하지만 그 외 나머지 사람들은 집단으로 취급하고 그들 안의 차이는 무시된다. 백인 대 유색인종, 유색인종인 아시아인과 흑인의 피부색 차이는 아시아인과 백인의 피부색 차이보다 크다. 이는 장애인집단 내부 개개인의 차이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차이보다 큰 것과 비슷한 이치다. 이는 권력이 규정하는 임의적인 경계다. 

 

여성이 흑인, 노예, 가난한 사람일 때의 여성성과 페미니즘 이론은 완전히 달라진다

 

보편성의 반대는 특수성이라 한다. 현재 통용되는 특수성은 보편의 기준을 바꾸지 못한 채 특수하고 예외적인 타자만을 생산하는 방식이다. 페미니즘은 기존의 방식을 비판하고 차이를 드러낸다. 남성 중심적 보편성이든, 백인 여성 중심의 보편성이든 모든 보편성은 차이를 드러내야만 해체된다는 점을 지은이는 이 책에서 주장하고 있다. 

 

모성은 여성과 자녀의 관계가 아니라 여성과 남성과의 관계를 의미한다. 즉 여성이 당연히 모성을 갖는다는 보편성은 재고돼야 한다는 의미이며, 모성은 학습해야 할 과제이지 생물학적 본능이 아니다. 그렇지 않다면 근친 성폭력 가해자나 아동 학대를 이해할 수 없다. 여자로 태어났으면 페미니즘을 공부하지 않아도 페미니스트인가, 라는 문제 제기, 기존의 페미니즘은 백인 중산층, 이성애자, 고학력 비장애인 젊은 여성의 경험, 이는 페미니즘뿐만 아니라 중산층의 경험은 모든 지식의 기반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기존의 서구 페미니즘을 상대화하고, 내가 선 자리, 로컬에 맞는 지속적인 재해석과 새로운 언어가 필요하다는 의미다. 

 

한국 사회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가 여성의 인권침해가 아니라 한일 관계와 민족주의 의제로만 제기될 때 동원력을 갖는 것이 현실이다. 강간은 성별 권력 관계의 산물이지만, 민족주의와 인종주의는 이를 남성들 간의 힘의 대결로 만든다. 여성의 몸을 남성들의 대리 전쟁터로 만든다. 

 

이 책을 읽는 동안 한없이 밀려드는 의문들, 여성이 흑인이고 또 가난할 때는 그 여성성은 달라진다는 점, 페미니즘은 정해진 어떤 형상이 없다. 꾸준히 변화해가면서 유동적이라는 점…. 지은이는 페미니즘을 계급 환원적으로 이해하는 듯하지만….

 

이 책은 꽤 많은 숙제와 고민해야 할 것들을 던져주고 있다. 여성이건 남성이건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 그 사화를 통치하는 정치경제적, 문화적, 심리적 규범이라는 의미라면, 우리에게 던진 화두 또한 명확해진다.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