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 편지에 마음을 볶았다 - 귀농하고픈 아들과 말리는 농부 엄마의 사계절 서간 에세이
조금숙.선무영 지음 / 한겨레출판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해의 잡초를 헤치고 피어난 이해의 말들

 

이 책은 귀농하고픈 아들과 말리는 농부 엄마의 사계절 에세이라는 부제가 붙었다. 

우리 사회 지금, 현재의 모습, 현실이다. 10년 차 농부, 엄마 조금숙, 귀농을 꿈꾸는 아들 선무영이 지은 이 책<그 편지에 마음을 볶았다> 마음을 담은 정도가 아니라 복잡한 심경이 불판 위에서 톡톡 소리가 나면서 튀듯이 타는 심정을 담은 이야기로 읽힌다. 

 

아들 선무영의 마중하는 말, 내게 달라는 진 것은 시골 마을 변호사의 꿈이 지금은 농부라는 직함으로 바뀐 것밖에 없다. 자유로운 삶을 살고 싶다. 최소한의 생계를 유지하면서도 끊임없이 재밌는 일을 찾고자 한다. 엄마는 사람은 하고 싶은 것만 하고 살 수 없다고 했다. 이 책은 누군가에게 “생각의 씨앗이 될 수 있으면 참 좋겠다”라는 생각으로 썼다. 

 

 

 

 

이 책은 4부로 이루어졌다. 1부 봄싹은 힘겹게 돋는다. 아들과 엄마의 글들이…. 2부 여름, 풀과의 전쟁은 농사초년생 분투기다. 3부 가을 햇볕 아래 노랗게 익어가고, 청년들이 농촌에 올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를 생각하며, 4부 콩깍지 이불을 포개어 덮는 겨울까지 사계절의 이야기가 담겨있다.

 

여기에 실린 글들은 한겨레신문에 8개월 남짓 엄마와 아들 사이에 주고받은 글을 책으로 엮은 듯하다. 귀농을 해야 할 이유와 귀농을 반대하는 이유... 꽤 재밌는 내용이다. 

 

지은이들의 사적인 교감이라는 생각보다는 이 책 속에 담겨있는 것은 대한민국의 현실이요, 현주소라는 생각이 든다. 

 

변호사 시험공부를 접고, 귀농인지 귀촌인지를 결심한 아들의 이야기 속에는 다람쥐 쳇바퀴 돌 듯, 귀중한 내 인생, 과연 뭐를 위해서 사는 겐지라는 철학적 물음…. 롤모델을 좇아 모범인생 모두로부터 부러움을 받는 어엿한 직업과 사회경제적 지위…. 이는 한낱 신기루에 지나지 않음을, 뭔가를 손에 쥐는 것 뒤에 오는 허탈감과 공허함, 나는 뭘 위해 여기까지 전력 질주를 했을까?, 

 

자중자애, 나는 나대로 살자. 아마도 아들의 편지 중 다산이 했다는 말 “세상을 호령하는 열복과 유유자적 풍류를 즐기는 청복이 있는데 열복만큼 청복도 큰 복”이라는 말로 이른바 출세 지향의 삶보다는 나를 중히 여기며 자유스레 살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이에 지은이인 엄마는 다산의 의지를 빌어 답한다. “자신의 묵던 방을 사의제라 불렀단다. ‘생각을 담백하게, 외모를 장엄하게, 언어를 과묵하게, 행동을 신중히’ ”(53쪽), 하라는 말로, 농촌 생활이 그리 녹록지 않기에 거듭거듭 생각해보란다. 

 

농촌의 실상, 귀농이라지만, 결국에는 정부의 농촌정책, 귀농에 시골 일자리 마련이 다가 아님을, 앞으로 태어날 아이들의 교육 걱정 의료 등등….

 

이 책은 대한민국의 농촌사회경제문화 교육을 다룬 어느 보고서보다 많은 내용을 담고 있다. 귀농과 귀촌, 귀어 다 좋다. 하지만 이는 낭만스러움이 아니다. 삶의 치열한 전장이다. 피난처로 농촌을 생각하지 말라는 뜻도 담겨있다. 은둔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 생활보다 더 많은 희생, 감내를 해야 할지도….

 

마치, 대한민국 사회의 문제점을 하나하나 지적하고 있다. 이 책은 에세이다. 개념과 가치에 관한 평가도 사족일 듯하여, 그저 적힌 그대로 거기에 담긴 엄마의 마음을….

 

엄마와 아들 사이의 오해는 아니다. 현실을 보는 눈이 방향이 의미와 가치가 다르지만 서로 이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수렴돼 가는 과정이다. 지은이 선무영의 유유자적한 삶의 일기를 기대해 본다 아마도 <유유자적한 농부 선무영일기>, <청복일기- 귀농 후의 삶>라는 제목이 어울릴 듯 한데...이 또한 사족이겠다. 

 

 

<출판사에서 보내 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