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은 인간입니까 - 인지과학으로 읽는 뇌와 마음의 작동 원리
엘리에저 J. 스턴버그 지음, 이한나 옮김 / 심심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신경의학자이자 신경과학자인 엘리에저 J. 스턴버그가 열일곱 살 때 쓴 것인데 인간의식에 관한 과학자와 철학자들의 이론을 통해 인간과 자유의지, 기계와 인공지능의 의미를 자세히 분석, 의식탐구가 인공지능과 로봇공학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알고자 하는 이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 - 인지과학으로 읽는 뇌와 마음의 작동원리- 

 

 

 

 

이 책의 구성은 15장 체제이며, 1장 의식이라는 불가사의한 힘을 시작으로 2장 기계속의 유령 순으로 만들어진 마음, 무의식에서 피어난 의식, 마음을 만드는 방법, 튜링 테스트, 기계의 우월성, 중국어 방 논증, 10장 머릿속의 작은 악마들, 지극히 개인적인 경험과 좀비들의 행진, 의식에 대한 부정, 컴퓨터의 한계, 새로운 관념의 토대까지, 지은이는 실제 연구 결과들을 열거하는 대신에 비유, 이야기, 사고실험에 기대어 상상력을 자극하고 있다. 

 

우리가 뇌에 관한 모든 사실을 안다면 어떻게 될까?

 

만약 우리가 뇌에 관한 모든 사실을 안다면 우리는 매 순간 무슨 생각을 하는지도 알 수 있을까?, 우리의 행동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한 것일까? 우리 마음을 전부 읽을 수 있을까? 우리의 관점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 과연 어떤 느낌인지 이해할까?, 내가 나 자신으로 살아간다는 것이 어떤 느낌인지도 알게 될까? 꽤 심각한 질문을 해본다. 과연 그 답이 있나?, 이 책은 그 답을 찾아가는 과정만을 이야기할 뿐이다. 충분히 상상해보라고…. 자, 그렇다면 기계와는 어떻게 다른 것인가? 여기서 기계는 물리적인 각각의 부분이 상호작용하여 형성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작동한다고 보자. 

 

과학자는 뇌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마음속을 뚫어볼 수 있을까? 의식을 갖춘 기계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 다시 원초적으로 돌아가서 ‘의식’이라는 게 뭘까? 이런 모든 문제에 관한 답, ‘인간의 의식을 둘러싼 논쟁에 끼어든 이들의 생각을 들여다보고, 생각해보자 우리는 기계인가?,

 

의식=자기+자유의지, 자기란 생각하고 의사결정의 주체로서 명확한 의사를 가지고 있다. 자유의지란 자기 생각과 신체의 움직임을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이다. 거기에 정서를 경험하는 능력 또한 중요하다. 기계는 가능할까?, 소설 속에서 인공지능이 생각하기 시작했다. 울고, 웃고, 슬퍼하고, 그러면 의식이 존재한다고 해야 할 것인가? 이런 상상은 가능할지도 혹은 그저 상상으로 끝날지도 모를 일이다. 

 

 

 

 

의식은 미지의 세계 그 자체다. 아직까지는 초보적 수준

 

의식은 아직 미지의 세계 그 자체다. fMRI로 뇌를 스캔한다고 하지만,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의식을 알아내는 것은 어떨까? 처음으로 돌아가 뇌에 관한 모든 사실을 안다면 이란 조건 자체가 인정될 수 있는가 하는 문제다. 과학은 어떤 현상에 체계적인 조사가 가능하다면, 밝혀낼 수도 있겠다. 의식은 철학의 문제인가, 신경과학의 문제인가를 묻는 자체가 우습기도 하지만, 뭐 접근방법이 다르기에….

 

이 책을 읽는 동안 꼬꼬무 수준의 의혹들, 확실히 지은이가 말하듯이 생각을 끊임없이 하게 하는 물음들, 인간의식에 관한 연구는 아직도 초보 수준임을….

 

또한, 이 책은 의식에 관한 문제들과 의식의 본질, 의식의 기원 등, 본질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고민해보는 기회, 즉,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모두가 스스로 “생각하도록” 말이다. 

 

 

<출판사에서 보내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