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의 철학 - 실체 없는 불안에 잠식당하지 않고 온전한 나로 사는 법
기시미 이치로 지음, 김윤경 옮김 / 타인의사유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불안의 철학

 

지은이 기시미 이치로는 제3의 심리학이라 불리는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을 일본 사회에 알려왔으며, <미움받을 용기>,<아들러 심리학을 읽는 법> 등을 썼다. 그는 이 책<불안의 철학>에서 불확실성의 시대를 어떻게 살아야 할지에 관한 그의 생각을 적고 있다. 불안을 제어할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는 알랭 드 보통의 말에 반박한다. 세상을 인생을 좀 더 긍정적으로 살아갈 수 있다고…. 이 책은 자신의 인생관을 피력한다. 낙관적으로 세상을 보자고, 불안의 철학이라 쓰고 낙관의 철학이라고 읽을 법한 내용을 담았다.

 

이 책은 불안이 무엇인지, 그 종류는 그리고 어떻게 해야 극복할 수 있는지에 관한 해법을 8장으로 나눠서 이야기한다. 불안의 실체가 무엇인지(1장), 한 동안 물론 지금도 이어지는 코로나 19와 같은 팬데믹과 불안(2장)마치 집단광기처럼 번지는 사회불안을, 그리고 3장~7장에서는 사람들과의 관계, 일, 질병, 나이 듦, 죽음(인생의 통과의례처럼 여겨지는 그런 것들, 하지만 늘 내 곁에 함께하며, 일생을 따라다닌다. 때로는 가까이 또 때로는 나와는 관계없는 것처럼 더 멀리 떨어져서 그렇게 불안은 같이 가는 것이다)

 

불안의 실체

 

불안은 어디서 비롯된 것일까? 꽤 철학적인 물음이다. 실체로 보자, 기시미는 불안은 대상이 없으니 해소되는 건 아니라고 했다. 아들러는 불안의 원인이 아닌 목적에 주목했다. 인간관계처럼 피해갈 수 없는 인생의 과제를 회피하고 싶은 마음이나 결정을 미루기 위해 만들어 낸 감정, 경험에 기대어 내세울 핑계이기도 하며, 한편으로는 다른 사람을 지배하는 도구로도 이용된다. 불안, 아주 전방위적인 자기 방어기제로서 작동함을 알 수 있다.

 

기시미는 아들러의 관점에서 불안을 정의한다. 이렇게 목적을 가진 불안은 목적 자체가 무의미해지면 자연히 사라질까? 이는 다른 차원의 문제인 듯하다. 불안은 증폭, 꼬꼬무다(꼬리에 꼬리를 물 듯이).

 

불안의 종류는 관계와 일, 질병과 늙음, 그리고 죽음

 

대인관계와 일, 그리고 어느 날 불현듯 찾아온 병, 늙음과 죽음(생로병사), 인간이 경험하는 매 순간 파고드는 불안감과 공포, 자라 보고 놀란 가슴 솥뚜껑 보고 놀란다. 즉 불안이 부지불식간에 트라우마로 변하기도 한다. 생애주기 유아, 학령기의 청소년 시절 부모나 보호자와 관계 설정이 중요하다. 또한, 사회생활을 하면서 일과 생활을 하게 되는데, 일(과업, 과제 수행)속에서 끊임없이 겪게 되는 불안, 불확정성 등, 그리고 질병, 과연 내 병을 나을 수 있을까(암, 불치병 등 고약스러운 병들), 나이가 들어가는 데(허망, 내가 이제껏 해온 게 뭐고 남긴 게 뭔지, 그리고 내일은 내 건강은 따위의 고민거리가 불안을 불러오기도 한다. 뭐 개인차는 있겠지만, 누구나가 어느 정도는 불안을 느끼는 주제이니 그렇다 치자. 죽음 역시 인생 항로에서 피할 수 없는 사건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편안하게 삶을 정리하는가 하면, 분노와 회한으로 자신과 주변을 원망하기도…. 이 역시 모두가 같지는 않다.

 


 

자 그러면 어떻게 불안을 극복할 것인가 그 해법은

 

기시미는 먼저 남과 다른 인생을 살라고 조언한다. 즉 나만의 인생을, 독창적?, 그저 상식적으로 살아가는 이들에게 어느 날 갑자기 변화가 찾아오면, 상식적인 가치관은 무너지고 인생은 ‘무’ 위에 존재하며 인생의 중심이 명확하게 주어져 있지 않음을 알게 된다. 인생은 정해진 레일 위를 달리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만들어 가야 한다. 그렇다. 독창적으로 살 수 있다는 것 또한 인간의 특징이기에 예로부터 일상적인 도덕을 기준으로 적당히 평범하게 사는 삶을 설득당해왔다고…. '적당히'가 아닌 방법으로 색다르게 살아가지 못할 이유가 없음을….

 

그리고 ‘기대를 거스를 용기를 가지라’고 한다. 우리 생활은 기대 위에 성립됐다. 다른 사람의 기대에 어긋나게 행동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 그래서 적당히 주변과 맞춰가면서 살려 한다. 그러다 보면 어느덧 나 자신이 내가 아님을 알게 된다. 부모가 결혼을 반대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 다른 사람의 기대에 반해 행동할 용기를 갖지 못하면 어떻게 될까?

 

진심으로 화를 내고, 인생을 여행으로 보라

 

참 와닿는 말이다. 진심으로 화를 내 본 적이 얼마나 있을까, 세상이 다 그렇지 뭐, 수동적인 삶 속에 똬리를 틀고 있는 불안, 누군가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을까 하는 불안, 기시미는 인생을 여행처럼 생각하라고, 그저 둘러보고 즐기면서 살라고 말한다.

 

내 안의 자리한 또 다른 나는 성공을 위해서 달리려고 할 테고, 또 다른 나는 그저 즐기자고 할 수 있다. 내가 내 인생을 어쩌지 못할 때 찾아오는 불안, 아마도 이런 종류의 불안을 책머리에서 아들러의 말을 인용했던 것과 상통한다.

 

자신의 인생에서 자신은 타인이 되는 자기의 타자화가 곧 불안의 원인이다. 기대받는 삶, 성공해야 한다는 일에 대한 강박, 자연스레 늙어감에 대한 거부, 죽음을 피하려는 몸부림, 이는 누구에게다 있는 본성일지도 모르겠다.

 

기시미의 <불안의 철학>은 일본의 사상가, 작가들을 인용하면서 개인의 자존감, 행복감을 불안이 자리한 곳에서 불안을 밀어내고 희망으로 자신감으로 미래지향적으로 채우라고 한다. 즉, 자존감, 내가 내 인생의 주체가 됐을 때, 불안을 떨쳐낼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일본사회가 광기에 휩싸이면서 어처구니 없는 결과를 불러일으켰던 1920년대 관동대지진과 조선인린치 탄압사건, 재난으로 여기저기 건물이 무너지고 한 치 앞도 가늠할 수 없는 상황에서 군중 속으로 퍼진 헛소문, 조선인들이 우물에 독을 풀었다거나 불을 지르고 다닌다는 발없는 말이 천리를 가듯 불안은 들볼처럼 번져 집단 광기로 변해, 어제까지도 착한기만 했던 이웃 일본인들이 조선을 찾아다니기 시작했다. 불안은 개인 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의 이성을 잃게 만든다.

 

내가 내 삶의 주인으로 살면, 불안과 동거라 할지라도 통제가 가능할 테니 말이다.

 

대인관계와 일에서 웬지 모를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질병과 싸우는 이들에게, 노년의 삶을 어떻게 대비할 것인가를 고민하는 사람들이 꼭 봐야 할 책이다.이 책은 여러 갈래의 길이 있음을 보여줄 것이다. 어떤 길을 선택할 것인가, 읽는 이의 판단에...

 

<네이버독서카페 리딩투데이에서 지원받은 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