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자 - 악함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EBS 오늘 읽는 클래식
배기호 지음, 한국철학사상연구회 기획 / EBS BOOKS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악함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라는 화두

 

오늘을 읽는 클래식, 지은이 배기호 선생의 <순자>, 성악설을 주장한 사상가로 널리 알려진 순자, 유가의 계승자이자 이단아, 평가가 독특하다. 이단아라는 말은 사고가 유가의 패러다임을 깨고 새로운 주장과 개척의 기치를 올렸다는 것으로 들린다. 지은이의 박사학위논문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풀어내고 있다. 이른바 순자론의 전문가가 본 순자 이야기라는 말이다.

 

왕도정치가 최선이지만 차선의 패도정치도 인정하자

 

현실적인 타협론일 수도 있다. 현실을 발을 딛고 서서 허무맹랑한 소리를 떠드는 구케우언(구식 케케묵은 어리석은 말)을 일삼는 이들보다야 몇 배 낫지만, 요즘 말하는 협치?

 

유가의 법도라 할까, 기조는 인문주의와 현세주의가 대표적인 특징이라고 배기호 선생은 말한다. 이런 측면에서 보자면 순자는 유가의 정통을 이어받았지만, 성악을 주장한 점에서는 이단아라고 불릴 수 있다.

 

이 책은 3장으로 구성됐다. 1장에서는 선한 세상을 꿈꾼 순자, 공자를 닮고 싶어 했는데, 2장, 순자 읽기다. 혼란의 원인은 사람의 내면이라 생각한 순자, 세상이 혼란한 까닭에 천착, 인간의 본성이 악하여 이를 변화시켜 인위를 일으킨다는 생각을 갖게 된 게 아닐까, 그리고 3장에서는 공자 언행론 논어를 소개하고, 순자의 맞수 맹자를, 유가의 맞수 묵자를 법가의 실천가 상군서, 순자의 엇나간 제자 한비자를…. 이렇게 순자를 중심으로 다른 사상가들과의 접점이라 할까, 함께 읽어볼 만한 책들을 소개해두고 있다.

 

 

 

선한 세상의 실마리를 찾아서

 

순자는 그가 사는 세상을 혼란하다고 규정했다. 혼란은 악이자 해결해야 할 문제로 여겼다. 혼란의 진정한 원인은 사람의 욕구다. 재화는 한정돼있으나, 사람의 욕구는 한정이 없다. 이를 서로 가지려 다투면 세상은 혼란해지고, 그렇게 되면 모두 곤란해진다는 것이다. 아마도 제로섬게임의 이론이지 않을까, 승자독식의 세계를 제대로 관찰했다. 매슬로의 욕구 5단계 설도 묘하게 맥락적으로는 통하는 구석이 있다.

 

순자가 꿈꾸는 세상은 “선한 세상” 과연 어떤 세상인가? 예와 같은 외재적 선의 기준을 두고, 모두가 이를 바탕으로 공부하고 반성하며 실천하는 데 노력한다면 혼란한 세상은 질서가 잡힐 것이라고 믿었다. 묘하게 오늘 우리 사회와 통하는 듯하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의 욕망이란 늘 그렇듯 전쟁의 원인이 된다. 평화라는 것은 힘의 우위, 우월적 지위에 있을 때, 균형도 통제도 가능하듯이, 또한 전쟁은 혼란의 끝장, 즉 정점이다. 위정자는 백성을 전쟁으로 내몰고, 필요한 물자를 생산 공급하는 이도 백성이다. 전쟁은 처음부터 끝까지 그 이유도 원인도 알 수 없는 백성들이 내몰림을 당하는 아수라장이다.

 

혼란 시대는 시대 상황이 제아무리 달라졌다 하더라도 그 밑바탕에 흐르는 근본 원인이 인간의 욕구와 규칙 없는 싸움이 계속되는 한 끝나지 않는다. 지금 시대도 형태와 양상이 달라졌을 뿐 변함은 없다. 물질 만능, 무한경쟁, 빈부격차, 갈등, 차별, 공정과 상식의 실종 등 스펙트럼이 다양화되고 세분됐을 뿐이다. 그렇다면 순자는 이를 어떻게 해결하려 했을까?

 

 

 

본성을 변화시켜 인위를 일으키다

 

순자가 생각하는 선한 세상을 위한 구상이다. 먼저 예를 통해 인간 내면의 악을 선으로 바꿔야 한다. 그의 말을 들어보자. “성인은 자신의 본성을 변화시켜 의식적 행위를 일으키고, 의식적 행위를 일으켜 예의를 만들고, 예의를 만들어 법도를 제정했다.” 즉 롤모델인 “성인”이다. 마치 공자가 롤모델을 만들고 이를 따라 배우기를 하지만 말도 일맥상통한다. 공자를 말할 때 인(仁)을 빼놓을 수 없듯, 순자에게서 예(禮)를 빼고서는 말할 수 없을 듯하다. 순자는 사람의 도리를 예라 했다. 예는 사람들의 욕구 충돌로 사회가 혼란해질 것을 위해 성인이 만든 사회적 법도로, 사람이 추구해야 할 극치라고 했다. 이 대척점에 선 것이 ‘악’이다. 마치 교도소 담장처럼, 예와 악은 어찌 보면 동전의 양면인 듯 보인다. 예를 얻기 위해 학문과 수신을, 예를 실천하기 위해 마음의 공부를 해야 한다고….

 

정치는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어디서 많이 들어본 말들이 나온다. 위가 제대로 서야 하고, 아래를 사랑해야 한다는 말, 그리고 ‘공정’한 인재 등용, 공명정대한 정치실현, 지은이는 순자를 넘어선 정치에서 위는 물론이거니와 아래도 제대로 서야 한다. 위아래 모두 제대로 서지 않으면 균형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지난 정권도 그러하지만, 새 정권 또한 참으로 공명정대한 정치실현을 위한 노력이 없다면, 법가의 한비자처럼 모든 것을 다 법으로 때려잡겠다는 발상 그 자체가 참 허망한 이상이요. 망상의 논리처럼 들린다. 제갈량의 읍참마속이란 내로남불이 아닌 공명정대다, 나를 없애고 우리를 모두를 거기에 둔다면 밝음이 찾아온다. 즉 공명정대해진다는 말이다. 이 말이 주는 어감이 달라진다. 느낌이 달라진다. 두고두고 읽어야 할 고전은 언제 읽어도 얻는 게 있다. 맹자도 공자도, 순자도, 묵자, 노자, 장자도 말이다. 지은이의 순자론은 꽤 산뜻한 느낌으로 다가온다.

 

 

<출판사에서 보내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