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바디프로필 한 권으로 끝내기 - 재활의학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오현승 지음 / 대한의학서적 / 2022년 6월
평점 :
바디 프로필은 어떻게 해야 하나
이 책의 지은이는 재활의학과 전문의다. 직접 자신이 바디프로필(뭐 콩글리쉬이긴 하지만)을 자신의 몸을 알리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후 어떻게 해야 건강을 해치지 않는지를 함께 알자고 책을 썼다. 무엇보다도 지은이가 직접 바디프로필을 찍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직접 경험했고, 이 가운데서 느낀 점 등을 바탕으로 엮은 글이란 점에서 흥미롭다. 나도 이대로 따라하면 뭔가 되지 않을까라는 믿음이 생길 수도 있겠다는 믿음이...
몸짱 만들기는 여러 가지 이유에서 비롯된다. 삶의 가치라든가 하는 등등 획일적이지 않아서 좋다. 어쨌든 중요한 것은 자기 몸에 자신감을 느끼고 또 이를 계기로 뭔가를 이루려는 힘으로 작동된다면 매우 긍정적이지 않겠는가, 나 이렇게 ‘자기 관리’를 충실히 잘하고 있다는 것을 공개하는 것이기에…. 지은이는 우리나라는 지금까지 선진국에 비해 낮은 운동 실천율과 높은 비만 유병률을 보인다고, 이는 운동과 식단에 관한 뭐랄까 인식과 노력 거기에 의지 부족까지 부족함을 말한다.

어차피 바디프로필을 하려면, 제대로 해보자는 것이다. 그럼 뭘 어떻게 준비하고, 주의해야 하는지, 이 책은 크게 바디프로필 준비를 어떻게 해야 하고, 촬영하자 2개의 부로 나누어 각각 내용을 장으로 구분 짓고 있다. 1부는 바디 프로필하기 결심, 본격적인 준비-초보를 위한 기초용어설명에서 몸짱 되기 필수 아이템, 스튜디오 체크 포인트, 태닝-등을, 식단은 건강하게, 6대 영양소, 운동 때 물의 중요성, 채소를 먹어야 하는 이유, 나만의 식단 짜보기, 헬스 할 때 커피는 효과적일까? 까지…. 먹는데 뭘 어떻게 먹어야 하고, 뭘 조심해야 할지…. 눈으로 따라가면 이미지가 그려진다. 자 그다음으로 본격적인 몸짱 만들기, 유산소와 무산소운동, 러닝머신 속도-지방이 잘 타는-, 그리고 복근 만들기, 지은이의 운동 루틴 소개까지….
바디 프로필 디데이를 향해
일주일 전부터 점검, 헤어 메이크업, 제모 예약하기, 촬영 포지션 연습하기, 그리고 3일 전부터는 수분조절-푸석푸석하게 보이지 않게 하기-, 탄수화물 밴딩과 로딩은, 촬영 전날 운동을 해야 할까 말까?, 이렇게 훌륭한 사진을 찍은 후…. 뭐가 문제일까,
장기검사- 간, 신장 검사를 다시 하면서 바디프로필 후 운동으로 관리를 새롭게 시작해야 한다.
근육맨하면 이 또한 편견이겠지만, 아둔한 머리에 무식한 힘…. 전략도 전술 없는 무뢰배라는 인상, 위협적이다…. 아무튼 희화한 영화 등에서 무의식적으로 세뇌 혹은 형성된 편견일 수도 있다. 그런데 요즘은 그게 아니라네, 자기 관리를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를 드러내 보이는 것이 몸매와 체중 그리고 적당한 근육이 붙은 것이라는데, 엉뚱하지만, 국민건강보험의 지출이 절약될 만큼 건강한 사람이 늘었으면 좋겠다. 몸매 관리는 사치와 미의 상징이 아니라 건강의 상징이다. 과음하지 않을 게 아닌가, 때로는 절주도, 그리고 금연도…. 꽤 부수적인 효과가 있어 긍정적이다.
지은이의 생각은 이제 바디프로필이라는 게 소수의 마니아층만 즐기는 게 아니라 보편성을 획득해 나가는 과정이다. 그렇다면, 본래 목적이 뭔지를 생각하면서, 자신의 몸을 혹사, 즉, 남에게 보여주기식으로 운동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여기에 강조점이 있다. 운동 전 탄수화물 섭취는 중요한 에너지원이고 글리코겐이 소모된 운동 후반부에는 더욱 중요하게 사용된다. 식사 후 바로 운동은 효율이 높지 않다. 언제 밥을 먹어야 할까?, 아니 밥 먹고 얼마나 지나서 운동을 해야 할까, 2~3시간이다. 물론 우리 보통 식단을 기준, 탄수화물함량이 높고, 낮은 지방 비율의 식단일 경우다. 이 밖에도 근력 운동 후 식사 타이밍 등에 자세하게 적혀있다. 꽤 도움이 될 듯하다.

대사증후군, 고혈압, 고지혈, 당뇨환자도 응용이 가능한 건강유지 관리법
이 책은 바디프로필을 하려는 사람을 위한 안내서이지만, 건강생활을 하려는 사람도 도움이 된다. 유산소냐 무산소냐에 대한 이해에서, 걷기운동이라도 제대로 하려면, 밥은 언제 먹고, 또 지속해서 근육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뭘 어떻게 하는 게 좋은지 등, 말 그대로 제목보다 꽤 많은 건강 유지와 증진을 위한 정보를 담고 있다. 배가 나온 사람, 운동 부족인 사람도 이 책이 도움이 될 듯하다. 무엇보다 대사증후군, 대한민국의 3대 성인병, 고혈압, 고지혈, 당뇨…. 극복하기에도 도움이 될 듯하다. 읽고 뭔가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 정도면, 괜찮은 게 아닌가?
<출판사에서 받은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