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라우마는 어떻게 삶을 파고드는가 - 최신 신경생물학과 정신의학이 말하는 트라우마의 모든 것
폴 콘티 지음, 정지호 옮김 / 심심 / 202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라우마에서 벗어나기

 

이 책<트라우마는 어떻게 삶을 파고드는가>의 지은이 폴 콘티는 신경생물학과 심리학을 기반으로 트라우마가 개인과 사회에 미치는 위험성과 트라우마를 이겨내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을 알리고 있다. 한편, 지은이는 우울증을 겪은 당사자로서 자살 가족으로 겪은 트라우마 경험을 토대도 트라우마 위험성을 누구보다 실감하고 있다. 그래서 경종을 울리기 위해 이 책을 썼다.

 

 

 

 

우리 사회에서 자주 들을 수 있게 된 ‘트라우마’란 도대체 뭔가?

 

지은이가 정의하는 트라우마는 감정적 또는 신체적 고통을 일으키며 나이가 들면서 한 개인에게 상처를 남기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 이는 어디서 비롯된 것이며, 어떨 때 일어나는 현상인지, 트라우마란 보이지 않지만, 실제로 뇌의 생리와 심리에 변화를 일으키는 감정 또는 신체적 고통을 말한다. 인간의 회복력은 보통은 꽤 괜찮은 편이지만, 많은 사람은 상상 이상의 방식으로 오랫동안 고통을 겪기도 한다.

 

트라우마 바이러스- 미래의 자녀,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자녀에게 영향을 끼칠 정도

 

코로나 19 팬데믹보다 더한 것이 트라우마라고, 실체는 보이지 않고, 조용하고 음흉하게 작용하는 양상만 드러난다고, 트라우마는 한 사람에게 해를 입히면서 스스로 복제하고, 다른 사람에게서 또 다른 사람에게로 퍼뜨리고 돌아서 본래 사람에게 돌아오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트라우마 바이러스는 아직 태어나지도 않은 자녀에게 영향을 끼칠 정도다. 트라우마는 유전적 특징이 대를 이어 어떻게 전달되는지 보여주는데, 이는 미래의 유전정보에 기록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엘리자베스 로즈너<생존자카페>는 트라우마의 유산 그리고 기억의 미로라는 부제를 붙였는데, 최근 후성유전학 연구의 결과, 부모세대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가 자손에게 유전적으로 대물림된다고 쓰고 있는데, 결국, 이 바이러스는 인류의 생존 고리를 무너뜨려 그 해악을 대대로 증폭시키는 게 아닌가,

 

트라우마의 장기적 영향을 더 의미 있게 살펴보려면, 외상후증후군의PTSD)의 예를 보는 것도 좋겠다. 급성, 만성, 대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전문의조차 발견 못 할 수도 있다는 점을 유의해야 한다. 증상(노출, 재경험, 과잉 각성, 기본불안 수준의 증가, 기저선 기분, 수면 부족 그리고 행동 변화 이상의 7가지다). 어찌 됐든 이 트라우마의 바이러스 증식의 주범은 ? 부정적인 변화-다.

 

이 책은 ‘트라우마’라는 주제로 다양한 설명을 하고 있는데, 우리가 이제껏 상식 수준에 알고 있는 것을 훨씬 넘어선 내용이 담겨있다. 4부 체제로 엮었는데, 1부는 트라우마의 파괴력이 어느 정도인가, 그 유형과 정의 그리고 트라우마에서 ‘수치심’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설명하고 있다. 2부는 ‘트라우마 사회학’이다. 실제 사회에 만연된 트라우마를 다루면서 현재 의료체계의 취약성을 지적한다. 아울러 사회환경과 인종차별 문제가 트라우마를 얼마나 증폭시키는지도…. 3부는 우리 뇌 사용설명서, 트라우마가 뇌의 생리, 정서, 기억, 질병과 통증의 신체적 경험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적고 있다. 4부에서는 트라우마 함께 물리치기로 극복방안을 제시했다.

 

마음의 병은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난다. 신간이 편해야 나을 수 있는 병이라고, 화병이 바로 이런 류가 아닐까 싶다. 자, 이제 이 책에서 강조하는 몇 가지를 보자

 

첫째, 트라우마와 수치심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둘째로 자신과 타인, 주변 사회에서 트라우마를 인식하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셋째, 개인이나 집단 트라우마가 사회적 차원에서 작용하는 방식을 알 필요가 있다. 그리고 넷째로는 트라우마를 그 길목에서 저지할 동기, 또 자신과 타인을 도울 수많은 실용적 도구에 관해서도 알아둬야 한다.

 

 

 

 

트라우마가 뭐야?, 불 끄는 소방관이 불을 끄다가 트라우마, 직업인데 전문가잖아…. 그런데 왜? 라는 이해가 현재 수준이다. 외국에서는 경찰관이 사건 해결 과정에서 총기를 발사했다 치면 그는 현장근무에서 우선은 배제다. 심리상태에 관한 전문가의 진단과 테스트를 거쳐서 업무 복귀가 정해지는 프로토콜이라고나 할까, 아직 우리 사회에서는 터프가이 무지막지한 폭력배들과 치고 박고 하는 싸움도 각오하고 뛰어든 직업이 아니냐고…. 하지만, 제복을 입었다고 모두가 트라우마에 강한 것은 아니다. 지금까지 집단으로 봤지, 그 안에서 일하는 개개인은 보지 못한 탓, 아니 일부러 외면했는지도 모른다. 또 트라우마라고 알려지는 순간, 능력을 의심받거나, 약하다는 평가를 받게 되면 출셋길이 막힌다는 문화가…. 오히려 철저히 숨겨야 하고, 드러내지 않아야 한다는 강박으로 이어지는 게 아닌가 싶다.

 

아무튼, 이 책은 트라우마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자세한 안내서다. 트라우마는 실체가 없어, 개인마다 그 현상은 다양하다. 아무리 의지가 강하고, 무쇠 강철같은 사람이라도 한번, 이 바이러스에 당하면 속수무책일 수도…. 예방 차원에서라도 우선은 읽어두자. 그리고 내가 어떤 상태인지 점검해보자….

우리 모두는 내면에 상처를 치유할 자질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 잊지말라.

 

<출판사에서 보낸 책을 읽고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